아세트산 정량분석. 0.1 N NaOH (f 1.032) 92.95 mL 소모
식초 9.60 g을 100 mL 메스플라스크에 옮겨 표선까지 물을 가한 후, 그 중 20 mL를 빼내어 0.1 N NaOH (f = 1.032)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였더니 92.95 mL가 소모되었다. 미지의 식초 종류는 무엇인가?
1. 시판 식초 (3~5%)
2. 초산 (29~31%)
3. 빙초산 (99%~)
---------------------------------------------------
0.1 N NaOH (f = 1.032) 표준용액 92.95 mL에 들어있는 NaOH의 eq수를 계산하면,
(0.1 eq/L) × 0.09295 L × 1.032 = 0.00959244 eq NaOH
1당량 대 1당량 반응하므로,
0.00959244 eq NaOH와 반응한 아세트산의 eq수 = 0.00959244 eq
아세트산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105 )
반응한 아세트산의 몰수 = 0.00959244 mol
아세트산의 몰농도 = 0.00959244 mol / 0.020 L = 0.479622 M
100 mL에 들어있는 아세트산의 몰수
= (0.479622 mol/L) × 0.100 L = 0.0479622 mol 아세트산
아세트산의 몰질량 = 60 g/mol 이므로,
0.0479622 mol 아세트산의 질량을 계산하면,
0.0479622 mol × (60 g/mol) = 2.877732 g 아세트산
( 계산 설명 https://ywpop.tistory.com/7738 )
식초의 질량 백분율 = (2.877732 / 9.60) × 100 = 29.98%
답: 2. 초산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9981 ]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95% 용액과 20% 용액을 혼합하여 50% 용액 250 g 만들기 (0) | 2019.04.04 |
---|---|
0.1 M 용액으로 1 mM 용액 300 mL 만들기 (0) | 2019.04.04 |
1 M K2Cr2O7 용액 10 mL와 1 M K2CrO4 용액 10 mL 만들기 (0) | 2019.04.03 |
12.6 ppm 염화마그네슘 용액. 염소이온의 몰농도와 ppm(w/v) (0) | 2019.04.03 |
37% 염산(d 1.19, FW 36.5) 시약으로 1 M HCl 용액 200 mL 만들기 (1) | 2019.04.02 |
0.02529 M KIO3 용액 100.0 mL 만들기 (1) | 2019.04.02 |
화학량론. 14.42 mL of 0.008332 M KIO3 + C6H8O6 (0) | 2019.04.02 |
36% 염산(d 1.18, FW 36) 시약으로 0.1 M HCl 용액 500 mL 만들기 (0) | 2019.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