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유에너지5

ΔG = –nFE. Cr2O7^2-(aq) + 3Sn^2+(aq) + 14H^+(aq) ΔG = –nFE. Cr2O7^2-(aq) + 3Sn^2+(aq) + 14H^+(aq) 25℃에서 표준 전지전위가 1.21 V인 다음 반응에 대하여 표준 자유에너지 변화는 얼마인가? Cr2O7^2-(aq) + 3Sn^2+(aq) + 14H^+(aq) → 2Cr^3+(aq) + 3Sn^4+(aq) + 7H2O(l) --------------------------------------------------- 반쪽 반응을 보면, 3Sn^2+ → 3Sn^4+ + 6e^- 2Cr^6+ + 6e^- → 2Cr^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82 ) 산화-환원 반응 시 이동한 전자의 몰수 = 6 ΔG = –nFEcel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006.. 2014. 12. 11.
기전력과 자유에너지. Sn + I2 → Sn^2+ + 2I^- 기전력과 자유에너지. Sn + I2 → Sn^2+ + 2I^- Gibb's Free Energy and Cell Potential (emf) 볼타 전지의 반응이 다음과 같을 때, Sn(s) + I2(s) → Sn^2+(aq) + 2I^-(aq) 표준상태에서 75.0 g의 Sn이 소비되었다면, 이 전지의 최대 전기적 일은 몇 J인가? --------------------------------------------------- ΔG = -nFEcell 이 값은 1 mol Sn이 소비되었을 때의 최대 일이다. 따라서 75.0 g의 Sn이 소비되었을 때의 최대 일은 [키워드] 기전력과 자유에너지 2014. 11. 27.
ΔG = -nFE. 2Au(s) + 3Ca^2+(1.0 M) ΔG = -nFE. 2Au(s) + 3Ca^2+(1.0 M) 위 반응에 대한 25℃에서의 표준자유에너지변화(kJ/mol)를 구하시오. 단, Au와 Ca에 대한 25℃에서의 표준환원전위는 다음과 같으며, 1 F는 96500 J/V․mol이다. --------------------------------------------------- 이 문제는 다음 공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산화-환원 반응식을 보고, 주고받은 전자의 수를 구합니다. 주고받은 전자 수는 6입니다. 전지의 표준전위(기전력)는 다음 식으로 구합니다. 따라서 표준자유에너지변화는 [참고] ΔG > 0 이므로, 이 반응은 자발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키워드] 전지반응의 표준자유에너지변화 계산 기준문서 2014. 11. 19.
깁스 자유 에너지(Gibbs free energy), ΔG = ΔH – TΔS 식의 부호 깁스 자유 에너지(Gibbs free energy), ΔG = ΔH – TΔS 식의 부호 반응 온도에 따른 ΔG의 부호. 반응 온도와 ΔG의 부호 반응 온도에 따른 자발적 반응. 반응 온도와 자발적 반응 --------------------------------------------------- ΔH와 ΔS의 부호, 그리고 온도에 따라 ΔG의 부호가 위와 같이 결정된다는 것이 쉽게 이해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이 적당한 수치를 ΔG = ΔH – TΔS 식에 대입시켜 계산해보면 어떨까요? ① ΔH = +500 ② ΔH = –500 ③ ΔS = +2 ④ ΔS = –2 ⑤ T = 100 (저온) ⑥ T = 1000 (고온) [I]의 경우, ②③에 해당되므로 ②③⑤ 조합이면, ΔG = (–500) – [100 ×.. 2014. 11. 19.
열화학. 자유 에너지와 온도. 온도와 반응의 자발성 열화학. 자유 에너지와 온도. 온도와 반응의 자발성 다음 반응은 발열반응이다. 이 반응은 낮은 온도에서만, 혹은 고온에서만 자발적인지, 아니면 모든 온도에서 자발적인지 여부를 설명하시오. --------------------------------------------------- 발열반응이니까(ΔH 엔트로피 항]이기 때문에, 자발적(ΔG 0)이 됩니다. --------------------------------------------------- 온도에 따라.. 2014. 10.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