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21장] 핵화학85 핵분열과 핵융합의 이용 핵분열과 핵융합의 이용 --------------------------------------------------- ▶ 참고: 제21장 핵화학.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6810 ] --------------------------------------------------- [1] 긍정적인 이용사례 1. 핵분열 ① 전력 생산: 원자력발전소 ② 방사성 추적자(radio-tracer)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121 ) ---> 한 원소의 모든 동위원소들은 화학적 성질이 모두 같다. (∵ 전자의 수가 모두 같다.) ---> 방사성 동위원소로 화학 반응의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 광합성 반응 연구, 반응 속도 연구, 의학적 응용(암.. 2017. 10. 19. 핵융합. fusion 핵융합. fusion --------------------------------------------------- ▶ 참고: 제21장 핵화학.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6810 ] --------------------------------------------------- 매우 높은 온도를 견딜 수 있는 핵융합 반응 용기(핵융합로)를 만들 수 없어서 아직도 핵융합 발전소는 건설 못하고 있다. 현재 저온 핵융합 기술을 개발 중이다. 그러나 핵융합 반응을 이용한 물건(?)은 벌써 발명했다. ( 참고: 원자폭탄과 수소폭탄의 원리 https://ywpop.tistory.com/4647 ) [ 그림 출처 Wikimedia ] 중수소와 삼중수소의 핵융합에 의한 헬륨-4의 생성. Fu.. 2017. 7. 2. 핵 반응식의 규칙. 핵 반응식 균형 맞추기 예제 핵 반응식의 규칙. 핵 반응식 균형 맞추기 예제 balance nuclear reaction Identify the missing species X in each of the following nuclear equations: a) (212,84)Po → (208,82)Pb + X b) (90,38)Sr → X + (0,–1)β c) X → (18,8)O + (0,+1)β --------------------------------------------------- ▶ 핵 반응식의 규칙 ① 질량수 보전: 반응물의 질량수 합 = 생성물의 질량수 합 ② 원자번호 보전: 반응물의 원자번호 합 = 생성물의 원자번호 합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4 ) a) (212,84)Po →.. 2017. 4. 15. 방사성 붕괴의 종류 방사성 붕괴의 종류 ▶ 방사성 붕괴> 붕괴: 한 원자핵이 다른 원자핵으로 변하면서 에너지를 잃는 과정> 이때 α선, β선, γ선과 같은 방사선이 방출된다고, “방사성 붕괴”라 한다. ▶ 방사성 붕괴의 종류① 알파 붕괴 (Alpha Decay)② 베타 방출 (Beta Emission)③ 양전자 방출 (Positron Emission)④ 전자 포획 (Electron Capture)-----------------------------⑤ 감마선 방출 (Gamma Emission) --------------------------------------------------- ① 알파 붕괴 (Alpha Decay)= the loss of an α-particle (a hel.. 2016. 7. 2. 방사성 추적자 (radio-tracer) 방사성 추적자 (radio-tracer) ---------------------------------------------------▶ 참고: 제21장 핵화학. 목차[ https://ywpop.tistory.com/16810 ]--------------------------------------------------- ▶ 한 원소의 모든 동위원소들은 화학적 성질이 모두 같다.( ∵ 전자의 수가 모두 같기 때문 )⇨ 방사성 동위원소로 화학 반응의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 이때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방사성 추적자”라 한다. 예) 광합성 반응 연구: 탄소-14, 산소-18 > “반응물인 CO2의 C-14 = 생성물인 글루코스의 C-14” 이므로,글루.. 2016. 4. 20. 철(Fe)이 가장 안정한 이유 철(Fe)이 가장 안정한 이유 철은 자연계에서 안정한 원소라고 배웠습니다.왜 안정한가요? 알아보니 18족 원소도 아니던데... ---------------------------------------------------▶ 참고: 제21장 핵화학. 목차[ https://ywpop.tistory.com/16810 ]--------------------------------------------------- 비활성기체(18족)를 제외한 모든 원소가 그렇듯이,철 원소 자체는 자연계에서 불안정합니다. 이 때문에 철 역시 원소 자체로 존재하지 않고,주로 2가 또는 3가의 화합물 형태로 존재합니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96 ) 안정하다는 것은 철.. 2016. 3. 19. 핵반응. 핵분열과 핵융합의 원리와 이유 핵반응. 핵분열과 핵융합의 원리와 이유 --------------------------------------------------- ▶ 참고: 제21장 핵화학.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6810 ] --------------------------------------------------- 모든 원자 중에서, 핵결합에너지가 가장 높은 원자는, 따라서 가장 안정한 원자는 철(Fe)입니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45 ) 이 때문에, 철을 기준으로, 철보다 원자번호가 높은 원자는 핵분열을 통해서, ( 핵분열하면 원자번호가 감소하기 때문에, 철과 비슷해집니다. ) 철보다 원자번호가 낮은 원자는 핵융합을 통해서, ( 핵융합하면 원자번호가 증가하.. 2016. 1. 18. 베타 방출, 베타 붕괴 (Beta Emission, Beta decay) 베타 방출, 베타 붕괴 (Beta Emission, Beta decay) = the loss of a β-particle (a high-energy electron) --------------------------------------------------- ▶ 참고: 방사성 붕괴 [ https://ywpop.tistory.com/5541 ] --------------------------------------------------- ⇨ 핵 속의 중성자 1개가 양성자와 전자로 변환. ⇨ 이때 변환된 전자가 방출되는 것을 베타 방출 또는 베타 붕괴라 한다. [키워드] 베타방출 기준문서, 베타붕괴 기준문서 2016. 1. 11. 핵 이성질체. nuclear isomer 핵 이성질체. nuclear isomer 방사성 동위원소 Sn-121, Sn-121m, Sn-126에서,m은 무슨 의미인가요? ------------------------ [참고] 제21장 핵화학. 목차[ https://ywpop.tistory.com/16810 ] 숫자 뒤 m은 핵 이성질체(nuclear isomer)를 나타냅니다. 동위원소의 경우, 중성자의 개수가 서로 다른 반면에,(이 때문에 질량수가 서로 다릅니다.)( 참고: 동위원소 https://ywpop.tistory.com/7405 ) 핵 이성질체는 중성자의 개수까지 같습니다.이 때문에 질량수도 서로 같습니다. 다만, 핵의 안정도가 서로 다릅니다.양성자 또는 중성자가 들떠서 준안.. 2016. 1. 8. 원자 폭탄과 수소 폭탄 원자 폭탄과 수소 폭탄 --------------------------------------------------- [1] 임계 질량 (critical mass) ▶ 일정한 속도로 핵분열 연쇄 반응을 유지할 수 있는 질량 [2] 임계 질량 이하 (subcritical mass) ▶ 중성자 손실 속도 > 중성자 생성 속도 ---> 핵분열 연쇄 반응 중단 [3] 초임계 질량 (supercritical mass) ▶ 중성자 손실 속도 핵분열 연쇄 반응 속도 급격히 증가 ---> 핵폭발 원자 폭탄은 [TNT + (우라늄-235) + (우라늄-235)]로 구성되어 있다. 우라늄-235는 임계 질량 미만 질량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다. TNT를 터트리면 분리되어 있던 우라늄-235끼리 .. 2016. 1. 7. 이전 1 ··· 5 6 7 8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