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07장] 원소의 주기적 성질78

Fe^2+와 Fe^3+ 중, 이온 반지름이 더 큰 것은 Fe^2+와 Fe^3+ 중, 이온 반지름이 더 큰 것은? Which is greater in size? Fe^2+ or Fe^3+ Which is larger Fe^2+ or Fe^3+? --------------------------------------------------- 원자 또는 이온의 크기는 전자가 돌아다니는 공간까지 포함한 크기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403 ) 전자가 하나 더 많은 Fe^2+ 이온의 크기가 더 큽니다. 답: Fe^2+ [참고] Fe atom의 radius(반지름): 140 pm > Fe^2+ ion의 radius(반지름): 77 pm > Fe^3+ ion의 radius(반지름): 63 pm [ 관련 예제 https://ywpop.t.. 2017. 12. 4.
등전자이온의 유효핵전하와 이온반지름. F^-, O^2- and N^3- 등전자이온의 유효핵전하와 이온반지름. F^-, O^2- and N^3- --------------------------------------------------- ▶ 참고: 유효 핵전하 [ https://ywpop.tistory.com/2526 ] --------------------------------------------------- > N의 전자배치: 1s^2 2s^2 2p^3 > N^3-의 전자배치: 1s^2 2s^2 2p^6 > N^3-의 Z_eff = Z – S = 7 – 2 = 5 > O의 전자배치: 1s^2 2s^2 2p^4 > O^2-의 전자배치: 1s^2 2s^2 2p^6 > O^2-의 Z_eff = Z – S = 8 – 2 = 6 > F의 전자배치: 1s^2 2s^2 2p^5 > .. 2017. 10. 10.
순차적 이온화 에너지. successive ionization energy ★ 순차적 이온화 에너지. successive ionization energy 금속 원자에서 원자가전자를 1개씩 제거할 때(이온화시킬 때) --------------------------------------------------- ▶ 참고: 이온화 에너지의 정의 [ https://ywpop.tistory.com/2948 ] ▶ 순차적 이온화 에너지 > 첫 번째 전자를 제거할 때 필요한 에너지 = 1차 이온화 에너지 > 두 번째 전자를 제거할 때 필요한 에너지 = 2차 이온화 에너지 > 세 번째 전자를 제거할 때 필요한 에너지 = 3차 이온화 에너지 > n 번째 전자를 제거할 때 필요한 에너지 = n차 이온화 에너지 > M(g) → M^+(g) + e^-: 1차 이온화 에너지 > M^+(g) → M^2+(g.. 2017. 5. 24.
중성인 금속 원자가 양이온이 될 때(이온화될 때) 중성인 금속 원자가 양이온이 될 때(이온화될 때) 중성인 금속 원자가 양이온이 될 때(이온화될 때), 가장 바깥 궤도에 있는 전자가 떨어져 나가는 이유는? 그 이유는 아주 간단합니다. 가장 바깥 궤도에 있는 전자는 원자핵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원자핵의 정전기적 인력이 ( 원자핵의 전자에 대한 영향력이 ) 그만큼 가장 약하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가장 바깥 궤도에 있는 전자는 가장 쉽게 떨어져 나갈 수 있으며, 이 때문에 금속이 이온화될 때는 가장 바깥 궤도에 있는 전자가 떨어져 나가는 것입니다. 이것은 고대 로마제국의 변방에는 로마의 통치권이 가장 약한 이유와 똑같습니다. 이 때문에 반란도 자주 일어나고, 반란을 진압할 때도 훨씬 힘이 힘듭니다. [ 그림 출처 Wikimedia ] 전성기 .. 2017. 4. 25.
원자가 전자의 수가 같은 원자들의 화학적 성질이 유사(비슷)한 이유 ★ 원자가 전자의 수가 같은 원자들의 화학적 성질이 유사(비슷)한 이유 --------------------------------------------------- “화학적 성질 ≒ 화학적 변화 ≒ 화학적 반응” 이라고 할 수 있는데, 원자(atom)가 화학적으로 변해서(반응해서) 분자나 화합물이 될 때, 바로 이들 “원자가 전자”들을 주고받거나(이온결합), 공유(공유결합)하기 때문입니다. ( 참고: 원자가 전자 https://ywpop.tistory.com/10468 ) 즉, 원자(atom)가 갖고 있는 “원자가 전자”들만이 화학 반응에 참여하는데, 그 수가 같다보니, 주고받거나 공유하는 방법이 비슷해서, 화학적 성질이 유사한 것입니다. --------------------------------------.. 2017. 3. 22.
[주기율표] 화학원소이름 (원자번호순) ★ [주기율표] 화학원소이름 (원자번호순)       [참고] 원소기호 이름 규칙[ https://ywpop.tistory.com/23226 ]         [참고] 원자번호 순서 = 양성자수 순서 ≠ 원자량 순서> 아래 표에서 빨간색 원자량을 찾아보세요.       ※ 원소기호 찾기: [Ctrl + F]키를 누르면, 상단 바에 검색창이 생깁니다.   원자번호원소기호원자량한글이름IUPAC이름1H1.0079수소Hydrogen2He4.0026헬륨Helium3Li6.9410리튬Lithium4Be9.0122베릴륨Berylium5B10.8110붕소Boron6C12.0107탄소Carbon7N14.0067질소Nitrogen(Azote)8O15.9994산소Oxygen9F18.9984플루오린/플루오르Fluorin.. 2017. 3. 15.
등전자성 이온들의 이온 반지름. 핵전하 등전자성 이온들의 이온 반지름. 핵전하 등전자 계열(isoelectronic series)에 속하는 이온들의 반지름 An isoelectronic series is a group of atoms/ions that have the same number of electrons. 등전자성 이온들(같은 수의 전자를 갖는 이온들)의 경우, 원자번호(=양성자수)가 증가할수록 원자 반지름은 감소. ⇨ 더 큰 힘(양전하, 핵전하)으로 전자를 구속할 테니, 당연히 반지름은 감소. 예 1) O^2- > F^- > Na^+ > Mg^2+ > Al^3+ > 모두 10개의 전자를 갖는 등전자성 이온 > 원자번호가 가장 큰 Al^3+ 이온의 반지름이 가장 작다. 예 2) S^2- > Cl^- > K^+ > Ca^2+ > 모두 1.. 2016. 12. 22.
주기율표 족 명칭 방법 ★ 주기율표 족 명칭 방법. 족에 붙어있는 A, B의 의미 ▶ 주기율표: 화학적 성질이 유사한 원소들이 같은 세로줄에 오도록 원소를 원자번호 순으로 배열한 표. ▶ 주기율표의 가로줄은 주기(period), 세로줄은 족(group)이라 부른다. ▶ 주기율표에서 족의 명칭에 붙어있는 A, B의 의미 > A, B는 전형 원소와 전이 원소를 구분하여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 기호임. > 즉, A족은 전형원소, B족은 전이원소에 해당한다. 가) 미국식: 전형 원소족=A, 전이 원소족=B. 나) 유럽식: 전형 원소족=B, 전이 원소족=A. 다) IUPAC: 구분 없이 순서대로 숫자 사용. 1~18족 [그림] 18-column periodic table. 장주기형 주기율표 또는 표준 주기율표. ( 참고 https://ywp.. 2016. 10. 4.
동소체. allotrope ★ 동소체. allotrope H2O와 H2O2, H2SO3와 H2SO4는 왜 동소체가 아닌가요? --------------------------------------------------- ▶ 참고: 제7장 원소의 주기적 성질.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245 ] --------------------------------------------------- ▶ 동소체란? > 같은 ‘원소’, 그러나 다른 모양인 물질. Allotropes are different forms of the same element. > 동일상의 같은 ‘원소’가 다른 형태를 갖는 것. 즉, 동소체들은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가 오로지 단 1개인 ‘원소’들이다. [예 1] 산소 원자(O)로만으로 이.. 2016. 9. 8.
모든 원소의 전자 친화도(electron affinity)는 항상 +값일까? 모든 원소의 전자 친화도(electron affinity)는 항상 +값일까? --------------------------------------------------- ▶ 참고: 이온화 에너지와 전자 친화도 [ https://ywpop.tistory.com/2948 ] --------------------------------------------------- 아닙니다. 모든 원소의 이온화 에너지는 항상 +값이지만, 모든 원소의 전자 친화도는 항상 +값이 아닙니다. 반대로, –값이 더 많습니다. 전자친화도의 정의가, ① “기체 원자가 전자 1개를 받아들일 때의 에너지 변화”, 또는 ② “중성 원자와 그 음이온 간의 에너지 차이”인데, 할로겐족 원소처럼, 전자 1개를 받아들일 때 더 안정해지면, –값을 .. 2016. 8.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