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진조각1076

[국보 제264호] 영일 냉수리 신라비 (복제품), 포항 냉수리 신라비 * 국보 제264호.* 명칭 : 포항 냉수리 신라비 (浦項 冷水里 新羅碑)* 소재지 : 경북 포항시 북구 신광면 토성리 342-1 신광면사무소- - -이 비는 1989년 마을주민이 밭갈이를 하던 중 발견하였으며, 재산분배를 확인하는 증명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형태는 네모난 자연석으로 밑부분이 넓고 위가 줄어드는 모습이며, 앞면과 뒷면, 그리고 윗면의 3면에 글자를 새겼다. 비문은 거의 닳지 않아 눈으로 읽을 수 있을 정도로 보존상태가 좋다. 글자는 총 231자이고 서체는 해서체로 보이나, 예서체의 기풍이 많이 남아 있어 비문의 형태와 글씨체면에서 중원고구려비(국보 제205호), 울진 봉평 신라비(국보 제242호)와 매우 비슷하다. 비문은 절거리(節居利)라는 인물의 재산소유와 유산상속문제를 결정한 사실.. 2011. 8. 4.
경북대학교 박물관 십이지석관 경상남도 김해군 진례면 송정리에서 출토된 통일신라시대 집모양의 석관이다. 뚜껑은 맞배지붕 형태이고 몸체 아래쪽 둘레에 반쯤 앉은 모양의 십이지상이 조각되어 있다. 가형석관은 매우 드문데 일제 때 조사된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940) 부도 아래에서 출토된 예와 전남 광양의 옥룡사지 추정 도선국사 부도전 아래에서 출토된 예가 있으나 십이지상이 새겨지지는 않았다. 신라 말에서 고려 중기까지의 승려들 가운데 화장을 한 예는 드물고 오히려 전통적인 이차장 즉 부도(전)를 만들기 전 매장하여 육탈을 시킨 다음 뼈를 모아 석관에 넣는 세골장을 일반적으로 한 듯하다. 십이지상은 통일신라시대의 왕릉의 호석에 새기거나 그 둘레에 곱돌로 조각하여 묻은 것, 화장뼈단지 둘레에 토기로 만들어 호위하듯이 묻은 것, 청동으로 만.. 2011. 8. 4.
[보물 제516호] 대구 무술오작비, 대구 무술명 오작비 * 보물 제516호.* 대구 무술명 오작비(大邱 戊戌銘 塢作碑).* 소재지 : 대구 북구 산격동 1370 경북대학교 박물관.- - -1946년 대구시 대안동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가 7, 8년 동안이나 행방을 알 수가 없었는데, 그 후 다시 경북대학교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비(碑)는 길쭉한 모양의 자연석으로, 아래는 직선으로 잘려 있고 윗부분은 원형으로 처리되어 있다. 아랫부분의 모습으로 보아 본래 받침돌 위에 세웠거나 암반 위를 파고 세웠던 것으로 여겨진다. 비의 내용은 건립날짜와 저수지 축조내용 및 관계된 사람들에 대한 것이다. 글자가 상당수 깎여나가 해석을 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나, 신라시대 수리시설이나 사회사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1946년 대구시(大邱市) 대안동(大安洞)에서 발견, .. 2011. 8. 4.
경북대학교 박물관 제7전시실 평소에는 자물쇠로 굳게 잠겨있는데, 방학을 맞이하여 지역 초중고학생들을 위해 개방한 것 같습니다. 2011. 8. 4.
매미 허물 2011. 7. 29.
장미허브 장미허브. 2011. 7. 28.
경북대 정문 가는 길 대구 날씨 흐림. 2011. 7. 27.
매미 허물 숲속 나무에서 발견한 매미 허물을 실내 창 방충망 위에 올려놓고 촬영한 사진입니다. 2011. 7. 22.
150원 자판기 커피 며칠 전 신문 방송에서 요즘 커피 가격 많이 올랐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대학교내 자판기 커피는 150원이네요. 제가 복학하고 대학교 다닐 땐 100원 했었는데... 그때가 90년대 초. 2011. 7. 22.
7월 중순의 맑은 하늘 뒤에 보이는 건물은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입니다. 2011. 7.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