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진조각1076

세천교-세천리-서재리-와룡산-새방골 세천교-세천리-서재리-와룡산-새방골 세천교에서 진밭골(진밭들)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 사진 왼쪽에 모선재가 보입니다. 세천교 건너 세천리(서재리) 방향. 내고향 세천리. 세천교 방향으로 되돌아본 모습. 앞쪽으로 서재리와 와룡산이 보입니다. 서재 진흥더블파크 106동 뒤편(코사마트 대각선 방향)에 등산 진입로가 있습니다. 와룡산을 오르면서 걸어온 방향을 촬영. 사진 왼쪽에 보이는 산은 궁산입니다. 와룡산. 해발 약 300 m. 와룡산 헬기장. 신축공사 중인 계성고등학교. 2012. 10. 14.
다사읍 매곡리 경주최씨 재실 모선재(慕先齋) 다사읍 매곡리 경주최씨 재실 모선재(慕先齋) 모선재는 경주최씨 광정공파 다사 왕선마을 입향조인 광언공지하 종중에서 건립한 재실입니다. 광언공은 신라말 대석학 고운선생의 27세손이며, 조선개국원종공신인 광정공파조의 16세손이요, 대구입향조인 맹산현감 휘 맹연(孟山縣監 諱 孟淵)의 14세손이며, 임진의사(壬辰義士)인 한천공(寒川公)의 9세손이요, 문과목사(文科牧使)인 휴헌공(休軒公)의 7세손이며, 후학양성에 일생을 바친 인서공(仁瑞公)의 아들입니다. 경주최씨 광정공파 왕선종중 묘역 기적비(紀蹟碑). 모선재 바로 옆에 있는 경주최씨 묘역. 모선재는 세천교 지나 금호강 자전거도로가 끝나는 지점에 있습니다. 2012. 10. 14.
달성군 가창면 남지장사 달성군 가창면 남지장사 남지장사 대웅전. 남지장사 광명루. 2012. 10. 14.
대구 강창교에서 세천교까지 트레킹 대구 강창교에서 세천교까지 트레킹 대구 달서구 파산마을. 대구 달서구 파호동 이락서당 (1) (2). 금호강 강태공. 금호강 자전거도로. 강창교 아래 달성군 묘포장. 대구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세천교. 금호강 고수부지 시설물 배치도. 총 이동거리 : 약 16 km 2012. 10. 9.
빈 강의실 빈 강의실 2012. 10. 5.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 박물관 주변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 박물관 주변 보물 제258호의 명칭이 “석조부도”에서 “대구 산격동 사자 주악장식 승탑”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전 사진 및 자료] 보물 제135호의 명칭이 “석조부도”에서 “대구 산격동 연화 운룡장식 승탑”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전 사진 및 자료] 2012. 10. 3.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永川 銀海寺 居祖庵 靈山殿) (3)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永川 銀海寺 居祖庵 靈山殿) (3) 오전 10시 37분. 거조암 대형 주차장. 대형 주차장 입구 바로 옆에 방생하는 곳(저주지)으로 내려가는 길이 있습니다. 이 녀석은 사과 해충인 노린재? 오후 12시 18분. 신원리 마을을 한 바퀴 돌고 다시 거조암으로 돌아왔더니 대형 주차장은 전세버스로 꽉 차 있었습니다. 108산사순례기도회가 열리고 있는 거조암. 2012. 10. 1.
경북 영천 신원리 마을, 사과밭 경북 영천 신원리 마을, 사과밭 산에서 내려오는 물이 너무나도 맑고 깨끗합니다. 2012. 10. 1.
영천 신원리(新源里) 불호당(祓護堂) 영천 신원리(新源里) 불호당(祓護堂) 소재지 : 경북 영천시 청통면 거조길 400-13 (청통면 신원리 551) ‘마을의 제액을 없애주고 마을을 수호하는 서낭신을 모시는 집’이란 뜻의 불호당은 동제(洞祭)를 지내는 단칸집으로 경상북도에서도 희귀한 곳이다. 조선 영조 45년(1769년)에 창건하고 1901년(대한광무5년) 중창했다는 기록이 있다. 동제는 마을을 지켜주는 신에게 질병과 재앙으로부터 마을사람들을 지켜주고 농사가 잘되고 고기가 잘 잡히게 해 달라고 빌기 위해 지낸다. 2012. 10. 1.
영천 신원리(新源里) 신원재(新原齋) 영천 신원리(新源里) 신원재(新原齋) 소재지 : 경북 영천시 청통면 거조길 400-29 (청통면 신원리 556) 조선 세종 때 급제하여 이조참의의 벼슬에 오르고 훗날 대재촌(대재촌 : 원래는 자아승촌이었는데 선생의 재주를 찬양하여 대재촌이라고 부르게 하였음)에서 당시의 선비였던 김종직, 서거정, 남효온 선생 등과 성리학을 토론하며 일생을 보낸 죽재(竹齋) 윤긍(尹兢, 1432년~1493년) 선생의 묘소를 수호하기 위해 세운 재실. 윤긍 이조참판 윤헌(尹憲)의 아들이다. 1447년(세종 29) 16세 때 사마시에 합격하고 1450년(문종 즉위) 식년문과에 급제, 약 40년 동안 낮은 벼슬을 지내다가 1489년(성종 20) 헌납을 거쳐 1490년 이조정랑에 전직, 입시하던 중 왕이 묻기를, “내 집에 쥐가 .. 2012. 10.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