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광학150

1H-NMR peak multiplicity. 피크 갈라짐 기호. s d t q m 1H-NMR peak multiplicity. 피크 갈라짐 기호. s d t q m proton NMR peak multiplicity --------------------------------------------------- > s = singlet (단일선) > d = doublet (이중선) > t = triplet (삼중선) > q = quartet (사중선) > quint = quintet (오중선) > m = multiplet (다중선) > dd = doublet of doublets > dt = doublet of triplets > td = triplet of doublets > br = broad signal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3341 ] 1H-.. 2021. 10. 7.
NMR 스펙트럼의 적분 기호 NMR 스펙트럼의 적분 기호 --------------------------------------------------- [참고] [목차] NMR 분광법 [ https://ywpop.blogspot.com/2023/11/nmr.html ] NMR 스펙트럼의 피크에 굽은 가지 모양의 표시는 피크 면적을 적분했다는 표시이다. ( 수학 적분 기호(∫)와 모양이 비슷하다. ) 피크 면적을 적분하면, 수소 원자의 상대적 개수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이 정보는 화합물의 구조를 분석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NMR 스펙트럼을 찍어보면, 보통 피크 면적 결과는 스펙트럼 상에 숫자 값으로 출력되어 나온다. 구글에서 “nmr integration” 키워드로 이미지 검색하면, 아래 참고와 같은 관련 자료를 찾을 수 있.. 2021. 10. 4.
Cl2 mass spectrum. Cl2 질량분석 Cl2 mass spectrum. Cl2 질량분석 --------------------------------------------------- [ 그림 출처 NIST ] Cl2 mass spectrum. > m/z = 35 : [35Cl]^+ > m/z = 37 : [37Cl]^+ > m/z = 70 : [35Cl–35Cl]^+ > m/z = 72 : [35Cl–37Cl]^+ > m/z = 74 : [37Cl–37Cl]^+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23690 ] 자연계에서 Cl의 동위원소는 35–Cl과 37–Cl이 3 : 1의 비율로 존재한다. [키워드] Cl2 mass 기준문서, Cl2 질량분석 기준문서, 염소 질량분석 기준문서 2021. 9. 30.
FT 분광기. Michelson 간섭계 FT 분광기. Michelson 간섭계 --------------------------------------------------- [ 그림 출처 Wikimedia ] The Fourier-transform spectrometer is just a Michelson interferometer, but one of the two fully reflecting mirrors is movable, allowing a variable delay (in the travel time of the light) to be included in one of the beams. “FT 분광기 = Michelson 간섭계” 두 개의 반사 거울 중 하나는 움직일 수 있으므로, 빔 중 하나에 가변 지연(빛의 이동 시간에서)이 .. 2021. 9. 24.
전자기파가 분자에 주는 영향 전자기파가 분자에 주는 영향     전자기파와 분자의 변화       ▶ 참고: E = hν [ https://ywpop.tistory.com/4964 ]       [표] 전자기 스펙트럼의 각 영역에서 일어나는 에너지 전이의 형태   > X-rays (XPS/ESCA): 결합 파괴. Bond breaking> UV/Vis: 전자 전이. Electronic> Infrared: 진동 운동. Vibrational> Microwave: 회전 운동. Rotational> Radiofrequencies: 핵스핀 들뜸. Nuclear spin (NMR)> Radiofrequencies: 전자스핀 들뜸. Electronic spin (ESR)         [ 관련 글 https://ywpop.tistor.. 2021. 5. 3.
Beer-Lambert law. 0.32 M 450 nm 1.0 cm cell 35% Beer-Lambert law. 0.32 M 450 nm 1.0 cm cell 35% 농도가 0.32 M인 화합물 C 용액을 450 nm의 파장에서 1.0 cm의 흡수셀 용기로 측정하였을 때, 35%의 투과율을 보인다. 이때 몰 흡광계수는? --------------------------------------------------- Beer-Lambert Law. 비어-람베르트 법칙 A = εbC > ε의 단위: M^-1 cm^-1 > b의 단위: cm > C의 단위: M %T = 35% ---> T = (35/100) = 0.35 A = –log(T) = –log(0.35) = 0.4559 ε = A / bC = 0.4559 / (1.0 × 0.32) = 1.4247 답: 1.4 [ 관련 글 https.. 2021. 4. 23.
분광기와 프리즘의 차이 분광기와 프리즘의 차이 분광기는, 글자 그대로, 빛을 분석하는 기기장치입니다. ( 또는 빛을 분리하는 기기 ) ( 참고: IR, UV 분광기 https://ywpop.tistory.com/5571 ) 현대 분광기를 구성하는 부품(장치) 중 핵심 부품은 다색광인 빛을 단색광으로 분리시키는 부품인데, 이것을 “단색화장치”라고 합니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6785 ) 이 단색화장치의 원조가, 즉 최초의 단색화장치가 뉴턴이 발명한 프리즘입니다. ( 참고: 프리즘 https://ywpop.tistory.com/2511 ) ( 참고: 최초의 라만 분광기 https://ywpop.tistory.com/2623 ) ---> 프리즘을 단색화장치로 사용함. 정리하면, 분광기는 빛을 분석.. 2021. 4. 17.
H2S^+의 질량 분석 스펙트럼 예측 H2S^+의 질량 분석 스펙트럼 예측 수소에는 두 개의 안정한 동위원소 1-H와 2-H가 있고, 황에는 네 개의 안정한 동위원소 32-S, 33-S, 34-S, 36-S가 있다. ( 수소의 원자번호 = 1, 황의 원자번호 = 16 ) ( 각 동위원소 앞의 숫자는 질량수. ) H2S^+의 질량 분석 스펙트럼에는 몇 개의 피크가 있을지 예측하시오. 이온은 더 이상 쪼개어지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 2개 수소의 가능한 질량수 조합은 1 + 1 = 2 1 + 2 = 3 2 + 2 = 4 ---> 3개. 2개 수소 + 1개 황의 질량수 조합을 나타내면, > 수소의 질량수 합이 2인 경우: 34, 35, 36, 38 > 수소의.. 2021. 4. 1.
7.35 ppm KMnO4 520 nm 1.00 cm cell 0.145 7.35 ppm KMnO4 520 nm 1.00 cm cell 0.145 7.35 ppm KMnO4 용액은 520 nm와 1.00 cm 셀에서 0.145의 투과도를 가진다. 520 nm에서 이 용액의 몰흡광계수를 구하라. A solution containing 7.35 ppm KMnO4 had a transmittance of 0.145 in a 1.00-cm cell at 520 nm. Calculate the molar absorptivity of KMnO4 at 520 nm. --------------------------------------------------- 7.35 ppm KMnO4 = 7.35 mg/L KMnO4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345 ) KMn.. 2021. 4. 1.
질량분석기의 분해능(resolution), R 질량분석기의 분해능(resolution), R질량분석기의 분리능(resolution), R       [참고] 질량 분석법. Mass Spectrometry (MS)[ https://ywpop.tistory.com/2746 ]       R = m / Δm   > Δm: 분리된 두 봉우리 사이의 질량차이> m: 봉우리가 생기는 명목상의 질량       예를 들어, 분리능 = 5000 이면,m/z = 50.00을 m/z = 50.01에서 분리할 수 있다는 의미.---> R = (50.00) / (50.01 – 50.00) = 5000   ---------------------------------------------------   위와 같이 기기분석 교재에 설명이 나오는데,( 저자: G. D. C.. 2021. 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