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광학150

[기기분석] 흡광도 측정해서 미지시료 농도 구하기 [기기분석] 흡광도 측정해서 미지시료 농도 구하기 흡광도로 미지시료 농도 분석 --------------------------------------------------- [1] 시료(용질) A로 농도가 다른 용액을 3~5개 만든다. 가령, 1 M, 0.5 M, 0.1 M, 0.05 M, 0.01 M. 이때 묽힘법칙을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교육 목적이면 3개 정도의 용액이면 되고, 실제 농도 측정 목적이면, 5개 이상 만들 것. [2] UV/Vis 분광기 등으로 각 용액 별로, 흡수세기가 가장 센 특정 피크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그림] 최대 흡수 파장, λ_max. [3] 흡광도 vs. 농도 자료로부터 x-y 그래프를 그리고, 선형 .. 2022. 5. 12.
B_0 함수로서의 스핀 상태 에너지 갈라짐 B_0 함수로서의 스핀 상태 에너지 갈라짐 --------------------------------------------------- [그림] 외부 자기장의 세기, B_0 함수로서의 스핀 상태 에너지 갈라짐. ΔE = k B_0 = hν > k는 비례상수로 k = γ (h/2π) 의 값을 가진다. > γ: 자기 회전 비율. magnetogyric ratio. ΔE = γ (h/2π) B_0 = hν ν = (γ/2π) B_0 > ν: 흡수된 에너지의 주파수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19212 ] 1.41 T 수소 핵의 흡수 주파수(MHz) [키워드] nmr 기준 2022. 4. 1.
분광 광도계에서 시료 용액의 농도를 증가 분광 광도계에서 시료 용액의 농도를 증가 분광 광도계에서 시료 용액의 농도를 증가시켜도 변하지 않는 물리량은? > 흡광도(A) > 몰흡광계수(ε) > 최대 흡수 파장(λ_max) --------------------------------------------------- ▶ 참고: 자외선 분광법 [ https://ywpop.tistory.com/12905 ] --------------------------------------------------- ▶ A = log(I_0 / I) = ε • C • L > 주어진 파장에서, A = 흡광도 I_0 = 시료로 들어가는 빛의 세기 I = 시료를 통과한 빛의 세기 ε = 몰흡광계수(용질과 관련된 상수) C = 용질의 몰농도(M) L = 시료 용기의 길이(cm).. 2022. 2. 14.
핵 스핀 양자수. nuclear spin quantum number 핵 스핀 양자수. nuclear spin quantum number --------------------------------------------------- [표] 주요 핵종의 스핀 양자수, I ( 참고: 원자핵 표기법 https://ywpop.tistory.com/6994 ) ▶ 질량수 and/or 원자번호가 홀수이어야 한다. ---> I > 0 이고, NMR ○. > 만약 둘 다 짝수면, ---> I = 0 이고, NMR × ▶ 스핀 상태 개수가 2개이므로, 에너지 분리 상태를 쉽게 구분할 수 있는 1-H, 13-C, 19-F, 31-P 등의 핵종이 NMR에 적합하다. [키워드] nmr 기준문서 2021. 12. 29.
IR 스펙트럼에서 cm-1 읽는 법 IR 스펙트럼에서 cm-1 읽는 법 --------------------------------------------------- 예전에는 ‘카이저(kayser)’라고도 했는데, 표준은 글자 그대로 ‘센티미터 마이너스 원’으로 읽으면 됩니다. 예) 1700 센티미터 마이너스 원에서 관찰되는 이 피크는... 저는 의미 그대로 ‘파수 또는 웨이브넘버’라고 읽습니다. 예) 1700 파수에서 관찰되는 이 피크는... 예) 1700 웨이브넘버에서 관찰되는 이 피크는... 또는 강의할때와 같이 말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나 같이 보고 있는 상황에선 그냥 1700에서 관찰되는 이 피크는... 2021. 11. 23.
mass의 이온화 장치. EI와 CI mass의 이온화 장치. EI와 CI --------------------------------------------------- ▶ 참고: 질량 분석법 [ https://ywpop.tistory.com/2746 ] --------------------------------------------------- ▶ EI. Electron Impact > In EI, fast electrons collide with the compound and cause it to break down into fragment ions. ▶ Advantages of EI > 사용하기 간단하다, 편리하다. > 가장 일반적인 이온화 장치. 기본 장치. ( EI가 없는 mass 기기는 없다. ) > It is a well-unde.. 2021. 11. 22.
IR 스펙트럼에서 지문 영역 IR 스펙트럼에서 지문 영역 --------------------------------------------------- IR 스펙트럼에 대해 배울 때 “지문 영역 (fingerprint region)”이란 용어가 나오는데, 필자가 생각하기에, 쓸데없는 용어를 초기 분광학자들이 만들어 놓은 것 같다. ( 이 때문인지 몇몇 분광학 교재에서는 IR을 다룰 때 이 용어를 아예 언급조차 안한다. ) 왜냐하면, 소위 지문 영역이라 설명하는 600 ~ 1400 cm-1 범위뿐만 아니라, ( 또는 400 ~ 1400 cm-1 ) IR 스펙트럼 전체가 화합물의 지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 참고: 지문 영역 외 나머지 범위는 “작용기 영역”이라고도 한다. ) 만약 순수한 두 시료의 IR 스펙트럼이 동일하다면, 그 두.. 2021. 11. 13.
AAS 원자흡수분광법 개요 AAS 원자흡수분광법 개요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그림] The instrumentation of 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A: 불꽃방출분광계, B: 원자흡수분광계, C: 원자형광분광계.       [참고] 원자흡수분광광도법의 장치 구성 순서광원부 → 시료원자화부 → 파장선택부 → 측광부( 참고 https://ywpop.tistory.com/24145 )       ▶ AAS는 주로 ‘금속’ 원소를 분석하기 위해 이용한다.> 준금속, 일부 비금속 원소까지 정량 분석 가능.       ▶ AAS에서 주로 사용하는 광원> 속빈 음극 램프. Hollow Cathode Lamp           [ 그림 출처 Wik.. 2021. 10. 30.
IR 분광법. 반사법. ATR IR 분광법. 반사법. ATR --------------------------------------------------- ▶ 반사방법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ATR (Attenuated Total Reflection) 법. > “내부 반사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크리스탈 위에 샘플을 두고, 크리스탈의 굴절률에 따라 빛을 샘플 내로 침투시키는 방식이다. [ 그림 출처 Wikimedia ] Optical path of IR radiation into ATR crystal. ▶ 크리스탈로 사용하는 몇 가지 물질 > Zinc Selenide (ZnSe) > Diamond > Germanium (Ge) > Silicon (Si) ▶ ATR 측정법 (1) 액체 시료: 크리스탈 위에 샘플을 한방울 떨어뜨.. 2021. 10. 11.
IR 분광법 일반. 적외선 분광법 일반 IR 분광법 일반. 적외선 분광법 일반 --------------------------------------------------- ▶ 대칭 신축진동은 IR “비활성”이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3699 ) ▶ IR은 분자의 “진동”이나 “회전”을 일으킬 수 있는 에너지를 가진다. The infrared portion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is usually divided into three regions; the near-, mid- and far- infrared, named for their relation to the visible spectrum. The higher-energy near-IR, approximately 14.. 2021. 10.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