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화학/[08장] 화학결합의 기본 개념

(더 높은, 더 많은) 형식전하를 가진 루이스구조가 불안정한 이유

by 영원파란 2017. 2. 17.
728x170

(더 높은, 더 많은) 형식전하를 가진 루이스구조가 불안정한 이유

 

------------------------

 

어떤 분자 주변에

(+)전하 또는 (–)전하를 띤 이온들이 있다고 가정합시다.

예를 들면, H^+ 이온, OH^- 이온...

 

 

 

이때, 이런 이온들이

형식 전하가 없는 분자를 공격하기 쉬울까요? 아니면,

형식 전하가 존재하는 분자를 공격하기 쉬울까요?

( 참고: 형식 전하 https://ywpop.tistory.com/2544 )

 

 

 

당연히, 상식적으로,

형식 전하를 가진 분자를 공격하기 쉬울 겁니다.

( 정전기적 상호작용 때문에... )

 

H^+ 이온이라면, (–) 형식 전하를 갖는 원자를 공격할 것이고,

OH^- 이온이라면, (+) 형식 전하를 갖는 원자를 공격하겠지요.

 

 

 

 

 

 

공격당한다 = 반응한다” 이므로,

형식 전하를 가진 분자는 그렇지 않은 분자보다

화학적으로 불안정합니다.

 

이 때문에

형식 전하를 가진 루이스 구조는

불안정한 구조이므로,

분자의 (실제, 진짜) 루이스 구조를 결정할 때

배제(제외)시키는 것입니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568 )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7633 ]

분자의 루이스 구조를 그리는 이유

 

 

 

[키워드] 형식전하를 가진 분자 기준, 형식전하가 있는 분자 기준, 형식전하가 존재하는 분자 기준, 안정한 루이스 구조 기준, 불안정한 루이스 구조 기준, 루이스 구조 결정 기준, 형식전하를 가진 분자 사전, 형식전하가 있는 분자 사전, 형식전하가 존재하는 분자 사전, 안정한 루이스 구조 사전, 불안정한 루이스 구조 사전, 루이스 구조 결정 사전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