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 묽힘. 2.00 μg Cs/mL 용액 만들기
원자 발광 분석에 표준 물질로 사용하기 위하여
2.00 μg Cs/mL(실제로는 Cs^+)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려고 한다.
250, 500, 1000 mL 부피 플라스크와
5, 10, 25 mL 옮김용 피펫을 가지고 있다고 하자.
무게를 네 자리까지 정확하게 측정하려면
순수한 CsCl 1 g을 mg 단위까지 정확하게 측정해야 한다.
순수한 CsCl을 이용하여 진한 농도의 용액을 제조하고,
이 용액을 연속적으로 묽혀서
2.00 μg Cs/mL 용액을 만드는 과정을 설계하시오.
------------------------
1000 μg Cs/mL 용액 1000 mL에
들어있는 Cs의 질량 = 1 g
(1000 μg Cs/mL) (1 g / 10^6 μg) (1000 mL)
= (1000) (1 / 10^6) (1000)
= 1 g Cs
[1] 1000 μg Cs/mL 용액 1000 mL 만들기 (A 용액)
CsCl의 몰질량 = 168.36 g/mol 이고,
Cs의 몰질량 = 132.91 g/mol 이므로,
1.000 g Cs를 포함하는 CsCl의 질량
= (1.000 g Cs) (168.36 g CsCl / 132.91 g Cs)
= 1.267 g CsCl
1000 mL 부피 플라스크에 1.267 g CsCl을 가하고,
약 500 mL의 증류수를 가해 CsCl을 완전히 용해시키고,
플라스크 표선까지 증류수를 가해,
1000 μg Cs/mL 용액 1000 mL를 만든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615 )
[검산] (1.000 g Cs) (10^6 μg / 1 g) / (1000 mL)
= (1.000) (10^6) / (1000)
= 1000 μg Cs/mL
[2] 20 μg Cs/mL 용액 500 mL 만들기 (B 용액)
묽힘법칙
M1V1 = M2V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20 μg Cs/mL 용액 500 mL 제조에 필요한
1000 μg Cs/mL 용액의 부피(V1)를
묽힘법칙으로 계산하면,
V1 = M2V2 / M1
= (20 μg/mL) (500 mL) / (1000 μg/mL)
= 10 mL
500 mL 부피 플라스크에
1000 μg Cs/mL 용액 10 mL를 가하고,
( 10 mL 옮김용 피펫 사용 )
플라스크 표선까지 증류수를 가해,
20 μg Cs/mL 용액 500 mL를 만든다.
[3] 2 μg Cs/mL 용액 250 mL 만들기 (C 용액)
M1V1 = M2V2
V1 = M2V2 / M1
= (2) (250) / (20)
= 25 mL
250 mL 부피 플라스크에
20 μg Cs/mL 용액 25 mL를 가하고,
( 25 mL 옮김용 피펫 사용 )
플라스크 표선까지 증류수를 가하면
2 μg Cs/mL 용액 250 mL가 된다.
[ 관련 글 https://en.wikipedia.org/wiki/Serial_dilution ]
Serial dilution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3227 ]
눈금 피펫(graduated pipette)과 홀 피펫(hole pipette)
[키워드] 연속 묽힘 기준, 연속 묽힘 사전, 연속 희석 기준, 연속 희석 사전, 연속 사전, serial dilution dic, serial dic
'화학 > 용액의 농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760 mmHg에서 10 mg/m3 CS2의 ppm 농도 (1) | 2025.04.12 |
---|---|
소금물 300 g에 물 20 g과 소금 15 g을 넣어 12% 소금물 (1) | 2025.04.12 |
0.1 M 수용액 100 mL로 0.01 M 수용액 100 mL 만들기 (2) | 2025.04.11 |
30% H2SO4 용액(d 1.22)의 노르말농도와 몰농도 (2) | 2025.04.09 |
23 μM C29H60의 ppm 농도 (2) | 2025.03.31 |
10 mg/mL 칼슘 농도를 노르말농도로 환산 (1) | 2025.03.31 |
몰랄농도를 질량 백분율로 환산 (2) | 2025.03.30 |
Quinine 수용액 348 nm 0.636 흡광도 25.7 ppm 0.903 (3) | 2025.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