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학/용액의 농도

Quinine 수용액 348 nm 0.636 흡광도 25.7 ppm 0.903

by 영원파란 2025. 3. 30.

AdSense@ywpop

728x170

Quinine 수용액 348 nm 0.636 흡광도 25.7 ppm 0.903

 

 

Quinine 수용액 25.0 mL를 50.0 mL로 묽히고 나서

2.50 cm 시료 용기(셀)에서 측정할 때

348 nm에서 0.636의 흡광도를 얻었다.

두 번째 25.0 mL 용액을 quinine 25.7 ppm을 포함하는

10.00 mL 용액과 혼합하고 나서 50.0 mL로 묽혔다.

이 용액의 흡광도는 0.903이었다(2.50 cm 시료 용기).

시료에서 quinine의 농도를 ppm 단위로 계산하시오.

 

------------------------

 

Beer-Lambert 법칙

A = ε • C • L

> A: 흡광도

> ε: 몰흡광계수(용질과 관련된 상수)

> C: 용질의 몰농도(M)

> L: 시료 용기의 길이(cm)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905 )

 

---> 용질과 시료 용기가 동일하므로,

흡광도(A)는 농도(C)에 비례한다.

A ∝ C

 

 

 

희석 전 quinine 농도(M1)를 x (ppm)라 두면,

희석 후 quinine 농도(M2)를 계산하면,

M1V1 = M2V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M2 = M1V1 / V2

= (x ppm × 25.0 mL) / (50.0 mL)

= x × 25.0 / 50.0

= 0.5x (ppm)

 

 

 

A ∝ C 비례식의

비례 상수, k를 계산하면,

A = k × C

 

k = A / C

= 0.636 / 0.5x

= 1.272/x

 

 

300x250

 

 

[두 번째 실험]

희석 후 25.0 mL 시료 속 quinine 농도

= x × 25.0 / 50.0

= 0.5x (ppm)

 

 

 

25.7 ppm quinine 10.00 mL의

희석 후 농도

= (25.7 ppm × 10.00 mL) / (50.0 mL)

= (25.7 × 10.00) / (50.0)

= 5.14 ppm

 

 

 

희석 후 전체 농도

= 0.5x + 5.14 (ppm)

 

 

 

A = k × C 로부터,

x를 계산하면,

0.903 = (1.272/x) (0.5x + 5.14)

 

0.903 = 0.636 + 6.53808/x

 

6.53808/x = 0.267

 

x = 6.53808 / 0.267

= 24.487

 

 

 

답: 약 24.5 ppm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471399 ]

25.0 mL quinine 50.0 mL 0.656 at 348 nm 25.7 ppm 0.976

 

 

 

[키워드] quinine 용액의 흡광도 기준, quinine 용액의 농도 측정 기준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