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BaSO4가 물에서보다 산성 용액에서 용해도가 증가하는 이유
------------------------
BaSO4는 순수한 물에서
극히 일부나마 다음과 같이 해리된다.
BaSO4(s) + H2O(l) ⇌ Ba^2+(aq) + SO4^2-(aq) ... ①
산성 용액에서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H^+ 이온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SO4^2-(aq) + H^+(aq) ⇌ HSO4^-(aq) ... ②
②번 반응이 일어나면,
용액 속 SO4^2- 이온의 농도가 감소한다.
그 결과, 르 샤틀리에의 원리에 따라,
①번 반응의 정반응이 일어나고,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85 )
이 때문에 BaSO4의 용해도가 증가하는 것이다.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5813 ]
0.1 M H2SO4 용액의 pH
HSO4^-(aq) ⇌ H^+(aq) + SO4^2-(aq)
[키워드] 산성 용액에서 BaSO4의 용해도 기준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일반화학 > [04장] 수용액 반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오황산나트륨과 황산을 반응시킨 용액은 산 폐액통에 (1) | 2025.05.22 |
---|---|
5.00 mL 위산 시료 중화에 0.0112 M KOH 11.25 mL 필요 (1) | 2025.05.14 |
CrS3의 산화수 (5) | 2025.03.22 |
100 g cane sugar dextrose C12H22O11 stream oxygen air 25℃ (3) | 2025.03.18 |
화학 반응식은 암기할 필요가 없다? (1) | 2025.03.08 |
50% NaOH 용액 3 L 중화에 필요한 35% 염산의 부피(L) (4) | 2025.03.05 |
수용액에서 앙금으로 존재하는 물질 (7) | 2025.03.01 |
redox Fe2O3 + H2S → 2FeO + S + H2O (1) | 2025.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