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2+ 이온과 EDTA와의 착물 MgY^2-를 포함하는 수용액
Mg^2+ 이온과 EDTA와의 착물 MgY^2-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Y^4-는 수소 이온을 모두 잃어버린 EDTA의 한 형태)
1) Mg^2+와 EDTA의 반응은 킬레이트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2) 용액의 pH를 높일수록 해리된 Mg^2+ 이온의 농도는 감소한다.
3) 해리된 Mg^2+ 이온의 농도와 Y^4-의 농도는 서로 같다.
4) EDTA는 산-염기 화합물이다.
---------------------------------------------------
1) Mg^2+와 EDTA의 반응은 킬레이트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 맞음.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1682 )
2) 용액의 pH를 높일수록 해리된 Mg^2+ 이온의 농도는 감소한다.
수용액 중 존재하는 2개의 평형 반응
a) MgY^2-(aq) ⇌ Mg^2+(aq) + Y^4-(aq)
b) Y^4-(aq) + H2O(l) ⇌ YH^3-(aq) + OH^-(aq)
용액의 pH 증가 → [OH^-] 증가
→ b) 평형 반응의 역반응 진행 → a) 평형 반응의 역반응 진행
---> [Mg^2+] 감소
---> 맞음.
3) 해리된 Mg^2+ 이온의 농도와 Y^4-의 농도는 서로 같다.
Y^4- 이온 중 일부가 b) 평형 반응에 의해 감소하므로,
해리된 Mg^2+ 이온의 농도와 Y^4-의 농도는 서로 다르다.
---> 틀림.
4) EDTA는 산-염기 화합물이다.
EDTA는 4개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사양성자산이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811 )
EDTA가 4개의 H^+ 이온을 잃은 형태인 Y^4- 이온은
전이금속 이온에 6개의 전자쌍을 제공하는 루이스 염기이지만,
EDTA 자체가 염기는 아니다.
따라서 4)번 지문도 틀렸다.
그러나 이 문제의 답은 3)번이라고 한다.
[참고]
단, Y^4-는 수소 이온을 모두 잃어버린 EDTA의 한 형태
---> 이 지문 때문에, 4)번 지문을 맞다고 하는 걸까?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금속용기 60℃ 물 500 g 50℃ (0) | 2020.08.28 |
---|---|
redox Mn^3+ → MnO2 + Mn^2+ (2) | 2020.08.27 |
95% 황산(d 1.84, FW 98.08) 시약으로 0.26 N 황산 용액 500 mL 만들기 (0) | 2020.08.27 |
C2H4(g) 298 K –1411.1 kJ/mol CO2(g) -393.5 H2O(l) -285.8 (0) | 2020.08.27 |
메스플라스크. 표준용액 제조 또는 희석할 때 사용하는 유리기구 (0) | 2020.08.26 |
물질의 양 또는 농도와 그 물질의 흡광도와의 관계. 검량선 그래프 (0) | 2020.08.26 |
진동수. 음파가 1초 동안 몇 번 진동하는지를 측정하는 단위 (0) | 2020.08.26 |
얼음과 물의 혼합. 30℃ 물 1000 g + 0℃ 얼음 200 g (1) | 2020.08.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