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환원 반응의 유형. 산화-환원 반응의 종류
다음 산화-환원 반응을 유형별로 확인하시오.
a) Fe + H2SO4 → FeSO4 + H2
b) 2Ag + PtCl2 → 2AgCl + Pt
c) S + 3F2 → SF6
------------------------
[참고] 산화-환원과 전자의 이동 그리고 산화수
[ https://ywpop.tistory.com/6525 ]
a) 금속과 산 사이의 산화-환원 반응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1598 )
b) 금속과 금속 염 사이의 산화-환원 반응
c) 비금속과 비금속 사이의 산화-환원 반응
[공통점]
반응물 중 어느 1개 원자는
원소 → 화합물, 이렇게 변한다.
원소에서 원자의 산화수는 0이고,
화합물에서 원자의 산화수는 0이 아니기 때문에,
반응물 중 어느 1개 원자는
산화수가 변한다.
즉, 산화수가 변한 물질이 있으면,
그 반응은 산화-환원 반응이다.
(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 https://ywpop.tistory.com/2719 )
산화된 물질만 산화수를 비교해 보면,
a) Fe + H2SO4 → FeSO4 + H2
> Fe → FeSO4
> Fe 원소 → Fe 화합물
> Fe의 산화수는 0에서 +2로 증가.
> Fe는 산화되었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428 )
b) 2Ag + PtCl2 → 2AgCl + Pt
> Ag → AgCl
> Ag 원소 → Ag 화합물
> Ag의 산화수는 0에서 +1로 증가.
> Ag는 산화되었다.
c) S + 3F2 → SF6
> S → SF6
> S 원소 → S 화합물
> S의 산화수는 0에서 +6으로 증가.
> S는 산화되었다.
[키워드] 산화-환원 반응의 종류 기준, 산화-환원 반응 구분 기준, 산화-환원 반응의 종류 사전, 산화-환원 반응 구분 사전, redox 종류 기준, redox 구분 기준, redox 종류 사전, redox 구분 사전
'일반화학 > [04장] 수용액 반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HCl(aq) + Zn(s) → H2(g) + ZnCl2(aq) (0) | 2020.04.19 |
---|---|
알짜 BaCl2 + Na2SO4. BaSO4 침전 (1) | 2020.04.17 |
알짜 CaCl2 + Na3PO4. Ca3(PO4)2 침전반응 (0) | 2020.04.17 |
반쪽 반응이 산화 반응인지 환원 반응인지 분류 (0) | 2020.04.15 |
HClO3의 산화수 (0) | 2020.03.26 |
전해질 세기 순서. NaCl NH3 H2O CH3CH2OH (2) | 2020.03.24 |
redox balance. Fe^2+ + Cl2 → Fe^3+ + Cl^- (1) | 2020.03.14 |
난용성염. NiS (0) | 2020.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