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끓는점. 증기압 70℃ 290 mmHg, 증발열 37600 J/mol
A 물질의 증기압은 70℃에서 290 mmHg, 85℃에서 503 mmHg,
증발열은 37600 J/mol.
이 물질의 정상 끓는점을 구하시오.
---------------------------------------------------
▶ 액체의 정상 끓는점: 액체의 증기 압력이 760 mmHg일 때의 온도
T1 = 273 + 70 = 343 K, P1 = 290 mmHg
T2 = ? K, P2 = 760 mmHg
클라우지우스-클라페이롱 식
ln(P1/P2) = ΔH_vap/R (1/T2 – 1/T1)
( 식 설명 https://ywpop.tistory.com/3133 )
ln(290 / 760) = (37600 / 8.314) (1/? – 1/343)
1/? – 1/343 = ln(290 / 760) / (37600 / 8.314)
1/? = ln(290 / 760) / (37600 / 8.314) + (1/343)
? = 1 / [ln(290 / 760) / (37600 / 8.314) + (1/343)]
= 370.04
답: 370 K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12829 ] 물질 A의 정상 끓는점이 78℃, 증발 엔탈피가 4.35×10^4 J/mol 일 때, 50℃에서의 A의 증기압을 구하시오.
[키워드] 증기압과 끓는점 기준문서, 정상 끓는점과 증기압 기준문서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 kg/m2를 N/cm2로 환산 (1) | 2020.01.21 |
---|---|
생성된 CO2의 부피. 6.4 g CH3OH + 3.2 g O2 반응 (0) | 2020.01.21 |
수처리 약품 주입 후 중량비율(%) (0) | 2020.01.20 |
원소 1 g씩 취해서 산소와 반응시켜 산화물을 만들 때 (0) | 2020.01.20 |
금속 산화물의 화학식. 금속 산화물 3.04 g 환원하였더니 2.08 g 금속 (1) | 2020.01.20 |
기체의 밀도와 분자량. 기체의 밀도 1.25 g/L (0) | 2020.01.20 |
[유기화합물 명명법] 2-ethyl-1-isobutyl-3-methylcyclohexane (0) | 2020.01.20 |
PVT 관계식. 30℃, 750 mmHg 대기가스 100 m3 (2) | 2020.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