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식초의 몰농도
단, 식초의 밀도 = 1 g/mL, 아세트산의 분자량 = 60
------------------------
※ 용액은 균일 혼합물이므로,
용액이 50 g있든지, 250 g있든지,
100 mL있든지, 500 mL있든지...
용액의 양에 상관없이 용액의 농도는 같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0963 )
계산하기 쉽게, 또는 이해하기 쉽게,
6% 식초가 100 g 있다고 가정하면,
6% = (6 g 용질 / 100 g 용액) × 100 이므로,
이속에는 6 g 아세트산이 들어있다.
( 식초는 “아세트산 + 물”로 이루어진 아세트산 수용액이다. )
아세트산의 몰질량(분자량) = 60 g/mol 이므로,
6 g 아세트산의 몰수를 계산하면,
6 g / (60 g/mol) = 0.1 mol 아세트산 (용질)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6% 식초의 밀도 = 1 g/mL 이므로,
( 만약 식초의 정확한 밀도 값을 알고 있다면,
여기서 1 g/mL대신 알고 있는 값으로 계산한다. )
100 g 식초의 부피를 계산하면,
100 g / (1 g/mL) = 100 mL 식초 (용액)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 0.1 mol / 0.100 L
= 1 mol/L
= 1 M
---> 6% 식초의 몰농도를 계산하면,
대략 1 M 정도가 된다.
이 식초 50 mL 중화에 필요한
0.5 M NaOH(aq)의 부피를 계산하면,
MV = M’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89 )
M(산 농도) × V(산 부피) = M’(염기 농도) × V’(염기 부피)
(1 M) (50 mL) = (0.5 M) (? mL)
? = (1) (50) / (0.5)
= 100 mL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7176 ]
식초 정량분석. 산-염기 중화적정으로 식초의 함량 계산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7165 ]
식초 5.00 mL 속 아세트산의 mol수
[키워드] 식초 기준, 식초의 몰농도 기준, 식초의 몰농도 사전
'화학 > 용액의 농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독용 에탄올] 83% 에탄올을 희석시켜 70% 에탄올 만들기 (2) | 2020.02.28 |
---|---|
How is 1 ppm = 1 mL/m3 ? (4) | 2019.12.25 |
98% 황산 시약(d 1.84, FW 98)의 몰농도와 노르말농도 (0) | 2019.12.09 |
15.0% MgCl2 용액의 몰랄농도 (1) | 2019.12.06 |
5% 염산 용액의 몰농도 (2) | 2019.10.23 |
3.0 M H3PO4 용액의 노르말농도 (1) | 2019.10.20 |
12 g KOH를 포함한 500 mL 용액의 노르말농도 (0) | 2019.10.14 |
0.500 M 아세트산 수용액의 밀도는 1.0042 (0) | 2019.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