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35% w/v 과산화수소수로 1 ppm 용액 2 L 만들기
---------------------------------------------------
1 ppm = 1 mg/L
( 설명 https://ywpop.tistory.com/5345 )
35% w/v 용액이라 가정하면,
35 g / 100 mL = 35000 mg / 0.1 L = 350000 mg/L
( % w/v 설명 https://ywpop.tistory.com/3164 )
1 ppm 용액 2 L 제조에 필요한 35% 과산화수소수의 부피를 계산하면,
MV = M’V’
( 식 설명 https://ywpop.tistory.com/2859 )
(350000 mg/L) (? L) = (1 mg/L) (2 L)
? = 2 / 350000 = 5.7E-6 L = 0.0057 mL
35% w/v 과산화수소수 0.0057 mL에다가
최종 용액의 부피가 2 L 되도록(되게끔) 증류수를 가하면,
1 ppm 용액 2 L가 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5 M 수용액 만들기 (4) | 2019.09.27 |
---|---|
CO2는 산인가? 산성산화물을 산이라 부를 수 있는가? (2) | 2019.09.27 |
고체의 용해도. 염화칼륨 (0) | 2019.09.27 |
N2H4는 N2O4와 반응하여 질소기체와 물을 생성 (3) | 2019.09.26 |
4% 용액 만들기. 5% 용액 + 3% 용액 100 mL (1) | 2019.09.25 |
100 pmol/μL 농도의 시약으로 20 pmol/μL 용액 500 μL 만들기 (0) | 2019.09.25 |
Cl2, HCl, F2, NaF, HF. 아르곤과 가장 가까운 끓는점을 갖는 화합물 (0) | 2019.09.25 |
2.34 g 질소로 암모니아와 하이드라진을 만드는데 필요한 수소 (1) | 2019.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