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기화의 정의. 증발과 끓음
---------------------------------------------------
▶ 기화의 정의
> 액체 상태의 물질이 기체 상태로 변하는 현상
> 물질의 상태가 액체에서 기체로 변하는 현상
( 참고: 기체와 증기 http://ywpop.tistory.com/1918 )
▶ 증발
> 물질의 끓는점 미만에서, 액체 상태의 물질이 기체 상태로 변하는 현상
> 표면에 존재하는 물질만 기체로 변한다.
( 참고: 액체의 증기압 http://ywpop.tistory.com/2651 )
▶ 끓음
> 물질의 끓는점에서, 액체 상태의 물질이 기체로 변하는 현상
> 내부에 존재하는 물질도 기체로 변한다.
> 액체 내부에서 기체로 변한 것을 기포(공기방울)라 한다.
( 참고: 기포가 뭉쳐있으면, 거품. )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 M HNO3 용액의 pH. 0.002 M H2SO4 용액의 pH (1) | 2018.11.12 |
---|---|
98% H2SO4 용액으로 38% H2SO4 용액 100 mL 만들기 (0) | 2018.11.12 |
얼음의 녹음열(융해열). 얼음 26.413 g. 얼음 21.668 g (0) | 2018.11.12 |
Methylcyclopropane의 입체 구조 (1) | 2018.11.11 |
산화물의 염기성도. CrO Cr2O3 CrO3 (2) | 2018.11.10 |
질산나트륨의 용해도. 80℃의 물 100 g에 질산나트륨 (0) | 2018.11.10 |
1.25 g HCl을 물에 녹여 전체 부피가 500 mL인 HCl 수용액의 pH (2) | 2018.11.09 |
4.00 g NaOH를 250 g 물에 녹여 용액을 만들었을 때, 용액의 몰랄농도 (0) | 2018.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