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진조각1076 보호색 * 계단 바닥에 죽은 듯 붙어있는 나방. 2010. 3. 21. 공사 중인 강당 2010. 3. 20. 우체통 2010. 3. 20. 보리순 * 어린 보리순.* 다원이 데려오려 간 달서초등학교에서 촬영. 2010. 3. 20. 흐린 후 개인 오후 * 창 밖 산. 2010. 3. 15. 청도 이선생 유묵 * 이선생 유묵.* 유묵(遺墨) : 생전에 남긴 글씨나 그림. * 유묵에서 바라본 군자정. * 청도 가는 길 방향. 2010. 3. 14. 임란창의 고성이씨 청도 오의사 숭모단 * 임란창의 고성이씨 청도 오의사 숭모단.* 창의[倡義] : 국난을 당하였을 때 나라를 위하여 의병을 일으킴.* 임란창의 청도 五義士 기린다 내일 오전 숭모단 제막식…화양읍 유등리에 건립 [경북일보 연결] 이경 의사는 고성이씨 16세손으로 예빈시봉사로 종질 이해, 이잠, 이렴, 이철과 결의하여 가재를 기울여 의병을 모아 창의맹약문과 격문을 발하고 진충보국을 맹세했다. 유격장이 된 이경 의사는 왜적의 길목인 유천전투에서 야간에 동지들과 함께 매복하여 잠든 많은 왜병의 목을 자르니 의병들의 사기가 크게 올라 곳곳에서 장정들이 모여들었다. 규합된 힘을 모아 곽재우 장군의 막하에서 공을 세워 선무원종공신 3등에 책록되었으며 대구 망우당공원에 세워진 임란호국 영남충의단에 네 분의 의사와 함께 배향되어있다.이해 의.. 2010. 3. 14. 애국지사 매운 이정희 (梅雲 李庭禧) * 애국지사 매운 이정희 (梅雲 李庭禧) 추모비 및 흉상. 2010. 3. 14. 계명대학교 대명동 캠퍼스 2010. 3. 6. 분청사기연화문편호 * 분청사기연화문편호 (粉靑沙器蓮花文扁壺)* 보물 제268호* 소재지 : 대구 북구 산격동 1370 경북대학교 박물관 (http://museum.knu.ac.kr/)분청사기는 고려말 상감청자가 쇠퇴하면서 백자와는 다른 형태와 무늬, 구도 을 가지고 나타난 매우 독특한 도자기이다. 그 명칭은 백토로 분장한 회청사기, 즉 ‘분청회청사기’라는 말에서 유래되었고 ‘분청’이라고도 한다.높이 19.1㎝, 아가리 지름 5.7㎝, 밑지름 10㎝인 이 병은 분청사기 특유의 획일적으로 무늬를 찍는 인화문과 표면에 백토를 씌우는 분장법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고려청자와 다를 바 없는 질감을 가지고 있어 조선 초기의 작품으로 보인다.무늬를 보면 아가리 밑에 구슬 모양의 띠를 둘렀고, 어깨부분에는 작은 국화 문양을 찍고, 그.. 2010. 2. 17. 이전 1 ··· 85 86 87 88 89 90 91 ··· 10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