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류지점의 BOD. 폐수처리시설의 BOD 제거율
유량 20000 m3/day, BOD 2 mg/L인 하천가에 공장이 있다.
이 공장에서 유량 500 m3/day, BOD 500 mg/L인 폐수가 발생된다.
1) 이 폐수가 폐수처리를 거치지 않고 하천에 유입되었을 때 하천수의 유량과 오염도는 얼마인가?
2) 이 공장에 폐수처리시설을 설치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하천에 방류하였을 때 하천수의 오염도를 BOD 3 mg/L로 하고자 한다면, 이 공장에 설치되는 폐수처리시설의 BOD 제거율은 최소 몇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단, 폐수처리 전, 후에 유량에는 변화가 없다.)
---------------------------------------------------
하천 유량 20000 m3/day, 하천수와 폐수의 밀도는 순수한 물의 밀도와 같고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1) 폐수처리 전 하천 합류지점
> 총괄물질수지: 20000 + 500 = 20500 m3/day
> 오염물질수지: (20000×2) + (500×500) = 20500×?
? = [(20000×2) + (500×500)] / 20500 = 14.15 mg/L
2) 폐수처리 후 하천 합류지점
> 총괄물질수지: 20000 + 500 = 20500 m3/day
> 오염물질수지: (20000×2) + (500×?) = 20500×3
? = [(20500×3) - (20000×2)] / 500 = 43 mg/L
> BOD 제거율 = [(500 – 43) / 500] × 100 = 91.4%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9829 ]
---------------------------------------------------
(A의 농도 × A의 유량) + (B의 농도 × B의 유량) = C의 농도 × C의 유량
( 식 설명 https://ywpop.tistory.com/10012 )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전해질 약전해질. 이온의 개수 (0) | 2018.10.06 |
---|---|
HCl + NaCN 짝산-짝염기 (1) | 2018.10.05 |
알짜이온반응식. HCl + NaCN. 염기성염의 산-염기 반응 (0) | 2018.10.05 |
알짜이온반응식(약산 약염기). HCOOH + NH3 중화반응 (0) | 2018.10.05 |
탄소 75%, 수소 20%, 황 2%, 산소 3% 연료 100 kg (0) | 2018.10.04 |
프탈산수소포타슘(KHP) 0.2 g과 NaOH 용액 24.8 mL (0) | 2018.10.04 |
유기화합물 명명법. 삼중결합+이중결합 (알카인, alkyne) (0) | 2018.10.04 |
질량 백분율. 철광석은 질량으로 38%의 Fe2O3를 포함 (1) | 2018.10.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