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도의 단위와 농도의 단위에서 의문이 생긴다면
------------------------
어느 날
밀도의 단위와 농도의 단위에서 의문이 생긴다면,
학생은 밀도의 정의와 농도의 정의를 공부할 때,
각각 반틈만(50%만) 공부하고 넘어갔기 때문이다.
[참고] (기체의) 밀도를 “g/L” 또는 “kg/m3”로 나타내고,
(몰농도를 배우기 전에)
수용액의 농도를 “g/L” 또는 “kg/m3”로 나타내기도 하므로,
밀도와 농도의 단위가 같아서
밀도와 농도를 혼동할 수도 있다.
밀도의 단위는 g/mL 또는 kg/m3인데,
여기서
질량인 kg의 대상과
부피인 m3의 대상은
서로 같은 물질이다.
( 참고: 밀도의 정의 https://ywpop.tistory.com/8460 )
가령, 물의 밀도는
1 g/mL 또는 1000 kg/m3인데,
이것의 의미는
“물 1000 kg의 부피는 1 m3이다.”라는 것이다.
즉, 물 1000 kg = 물 1 m3
또 어떤 소금물의 밀도가 1200 kg/m3이라면,
“소금물 1200 kg의 부피는 1 m3이다.”라는 것이다.
즉, 소금물 1200 kg = 소금물 1 m3
[정리] 물질 A의 밀도가 1 kg/m3이라면,
밀도 = A의 질량 / A의 부피
= 1 kg/m3
농도를 나타내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5 )
위에서 나온 밀도의 단위와 비슷해서
혼동할 수 있는 mol/m3를 가지고
얘기해보자.
mol/m3 농도 단위에서
mol은 ‘용질’의 양이고,
m3는 ‘용액’의 양으로,
대상이 서로 다르다.
( 참고로,
kg/m3도 농도의 단위가 될 수 있는데,
질량인 kg은 ‘용질’의 양이고,
부피인 m3는 ‘용액’의 양이 된다. )
가령, 어떤 소금물의 농도가 2 mol/m3이라면,
2 mol은 용질인 소금의 양이고,
1 m3는 용액인 (소금 + 물)의 양이다.
즉, 소금물 1 m3 속에 들어있는(존재하는)
소금의 양이 2 mol이라는 것이다.
[정리] 용질 A를 용매 B에 용해시켜 만든
용액의 농도가 1 mol/m3이라면,
농도 = A의 몰수 / (A + B)의 부피
= 1 mol/m3
[키워드] 밀도와 농도 기준, 밀도와 농도 사전, 농도와 밀도 기준, 농도와 밀도 사전
'일반화학 > [01장] 서론: 물질과 측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25센트 동전 91.67% 구리 8.33% 니켈 (2) | 2025.03.21 |
---|---|
속력 환산. Convert 8.75 mm/s to km/h (1) | 2025.03.19 |
속력 환산. 50. m/s를 mi/h로 (1) | 2025.03.17 |
지구에서 달까지 거리 240,000마일. 미터로 얼마인가 (3) | 2025.03.17 |
concrete column diameter 350 mm length 2 m density 2.45 Mg/m3 (3) | 2025.03.17 |
2.5 ML는 몇 m3인가? (1) | 2025.03.16 |
미국인 1.5 kW 전기 소비 태양 에너지 제곱미터당 300 W 도달 (8) | 2025.03.16 |
silver 80.56 g 10.0 mL 15.90 mL density 10.5 g/cm3 (2) | 2025.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