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화학/[01장] 서론: 물질과 측정

밀도의 단위와 농도의 단위에서 의문이 생긴다면

by 영원파란 2025. 3. 25.

AdSense@ywpop

728x170

밀도의 단위와 농도의 단위에서 의문이 생긴다면

 

------------------------

 

어느 날

밀도의 단위와 농도의 단위에서 의문이 생긴다면,

학생은 밀도의 정의와 농도의 정의를 공부할 때,

각각 반틈만(50%만) 공부하고 넘어갔기 때문이다.

 

 

 

[참고] (기체의) 밀도를 “g/L” 또는 “kg/m3”로 나타내고,

(몰농도를 배우기 전에)

수용액의 농도를 “g/L” 또는 “kg/m3”로 나타내기도 하므로,

밀도와 농도의 단위가 같아서

밀도와 농도를 혼동할 수도 있다.

 

 

 

밀도의 단위는 g/mL 또는 kg/m3인데,

여기서

질량인 kg의 대상과

부피인 m3의 대상은

서로 같은 물질이다.

( 참고: 밀도의 정의 https://ywpop.tistory.com/8460 )

 

 

 

가령, 물의 밀도는

1 g/mL 또는 1000 kg/m3인데,

이것의 의미는

“물 1000 kg의 부피는 1 m3이다.”라는 것이다.

즉, 물 1000 kg = 물 1 m3

 

또 어떤 소금물의 밀도가 1200 kg/m3이라면,

“소금물 1200 kg의 부피는 1 m3이다.”라는 것이다.

즉, 소금물 1200 kg = 소금물 1 m3

 

 

 

[정리] 물질 A의 밀도가 1 kg/m3이라면,

밀도 = A의 질량 / A의 부피

= 1 kg/m3

 

 

300x250

 

 

농도를 나타내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5 )

 

위에서 나온 밀도의 단위와 비슷해서

혼동할 수 있는 mol/m3를 가지고

얘기해보자.

 

 

 

mol/m3 농도 단위에서

mol은 ‘용질’의 양이고,

m3는 ‘용액’의 양으로,

대상이 서로 다르다.

 

( 참고로,

kg/m3도 농도의 단위가 될 수 있는데,

질량인 kg은 ‘용질’의 양이고,

부피인 m3는 ‘용액’의 양이 된다. )

 

 

 

가령, 어떤 소금물의 농도가 2 mol/m3이라면,

2 mol은 용질인 소금의 양이고,

1 m3는 용액인 (소금 + 물)의 양이다.

즉, 소금물 1 m3 속에 들어있는(존재하는)

소금의 양이 2 mol이라는 것이다.

 

 

 

[정리] 용질 A를 용매 B에 용해시켜 만든

용액의 농도가 1 mol/m3이라면,

농도 = A의 몰수 / (A + B)의 부피

= 1 mol/m3

 

 

 

 

[키워드] 밀도와 농도 기준, 밀도와 농도 사전, 농도와 밀도 기준, 농도와 밀도 사전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