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값이 다른 두 용액의 혼합
pH 7.5 용액과 미지시료를 9:1로 섞어서 pH 5.0이 나왔습니다.
이때 미지시료의 pH는 몇일까요?
----------------------------------------------
pH 5.0의 수소 이온(H+) 농도를 구하면,
pH = -log[H+] = 5.0
[H+] = 10^(-5.0) = 1.0×10^(-5) M
pH가 7.5이면 염기성이므로, 수산화 이온(OH-)의 농도를 구하면,
pH + pOH = 14
pOH = 14 – pH = 14 – 7.5 = 6.5
pOH = -log[OH-] = 6.5
[OH-] = 10^(-6.5) = 3.2×10^(–7) M
pH 7.5 용액 900 mL에 들어있는 OH-의 몰수는
3.2×10^(–7) mol/L × 0.9 L = 2.9×10^(–7) mol
미지시료 100 mL에 들어있는 H+의 몰수를 x라 두면,
H+(aq) + OH-(aq) → H2O(l)
즉 H+와 OH-는 1:1 반응하므로,
미지시료 100 mL와 pH 7.5 용액 900 mL를 섞었을 때,
중화반응 결과 남은 H+의 몰수 = 1.0×10^(-5) mol
[ 1.0×10^(-5) mol/L × (0.9 L + 0.1 L) = 1.0×10^(-5) mol ]
x - 2.9×10^(–7) = 1.0×10^(-5)
x = 1.0×10^(-5) + 2.9×10^(–7) = 1.0×10^(–5) mol
따라서 x의 몰농도와 pH는
1.0×10^(–5) mol / 0.1 L = 0.0001 M
pH = -log[H+] = -log(0.0001) = 4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도 법칙에서 반응 차수는 몇 차까지 있다고 정해져 있는 값이 있나요? (0) | 2015.06.30 |
---|---|
Zn(s) + CuSO4(aq) → ZnSO4(aq) + Cu(s) (0) | 2015.06.30 |
3% w/v KCl 용액 500 mL 만들기 (0) | 2015.06.30 |
표준 상태와 표준 온도와 압력(STP) ★ (1) | 2015.06.30 |
12% 용액을 0.4 ppm 용액으로 희석하기 (0) | 2015.06.29 |
물리적 변화와 화학적 변화 (0) | 2015.06.29 |
가상 화합물인 CaCl의 생성 엔탈피 계산 (0) | 2015.06.29 |
탄소 원자와 산소 분자의 반응. 이산화탄소 분자 생성 (0) | 2015.06.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