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학/유효숫자

1.0×10^(-3) M ZnCl2 용액 1.75 L에 녹아있는 Cl^- 이온의 몰수

by 영원파란 2024. 4. 22.

AdSense@ywpop

1.0×10^(-3) M ZnCl2 용액 1.75 L에 녹아있는 Cl^- 이온의 몰수

 

 

 

ZnCl2 : Cl = 1 : 2 개수비(= 몰수비)

---> Cl^- 이온의 몰수는 ZnCl2의 몰수의 2배 이므로,

 

2 × [(1.0×10^(-3) mol/L) × (1.75 L)]

= 2 × [(1.0×10^(-3)) × (1.75)]

= 0.0035 mol

 

 

 

답: 3.5×10^(-3) mol

 

 

 

 

[유효숫자 처리 관련]

> 일반적으로

계산 도중(중간)에는 유효숫자 처리하지 않는다.

---> 실제 실험에서도 이렇게 한다.

 

 

가령,

1.0×10^(-3) M ZnCl2 용액 1.75 L에 들어있는 ZnCl2의 몰수

= (1.0×10^(-3) mol/L) × (1.75 L)

= 0.00175 mol ZnCl2

인데,

이걸 유효숫자 처리하고, 2를 곱하면,

2 × 0.0018 mol = 0.0036 mol Cl^-

---> 위의 답과 다른 결과가 나오기 때문이다.

 

 

근데,

학생 입장에서 답답한 점은

어떤 문제 풀이에서는

계산 도중(중간)에도

매 계산 과정(단계)마다

유효숫자 처리하는 예제도 있다는 것이다.

 

 

 

정리하면 (조언하면),

원칙은 유효숫자 처리는

마지막 최종 계산에서 딱 한 번만 한다는 것이다.

 

 

만약,

계산 도중(중간)에 매 계산 과정(단계)마다

유효숫자 처리하는 예제가 나오면,

아~ 이 교재 저자는

유효숫자 처리하는 방법을

학생들에게 연습(교육)시켜 주고 싶어서

이렇게 하는구나... 라고 생각하면 된다.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3300 ]

실제 실험실에서 유효숫자 처리(다루기)

 

 

 

[키워드] 유효숫자 처리는 마지막 기준, 유효숫자 처리는 한번만 기준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