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0^(-3) M ZnCl2 용액 1.75 L에 녹아있는 Cl^- 이온의 몰수
ZnCl2 : Cl = 1 : 2 개수비(= 몰수비)
---> Cl^- 이온의 몰수는 ZnCl2의 몰수의 2배 이므로,
2 × [(1.0×10^(-3) mol/L) × (1.75 L)]
= 2 × [(1.0×10^(-3)) × (1.75)]
= 0.0035 mol
답: 3.5×10^(-3) mol
[유효숫자 처리 관련]
> 일반적으로
계산 도중(중간)에는 유효숫자 처리하지 않는다.
---> 실제 실험에서도 이렇게 한다.
가령,
1.0×10^(-3) M ZnCl2 용액 1.75 L에 들어있는 ZnCl2의 몰수
= (1.0×10^(-3) mol/L) × (1.75 L)
= 0.00175 mol ZnCl2
인데,
이걸 유효숫자 처리하고, 2를 곱하면,
2 × 0.0018 mol = 0.0036 mol Cl^-
---> 위의 답과 다른 결과가 나오기 때문이다.
근데,
학생 입장에서 답답한 점은
어떤 문제 풀이에서는
계산 도중(중간)에도
매 계산 과정(단계)마다
유효숫자 처리하는 예제도 있다는 것이다.
정리하면 (조언하면),
원칙은 유효숫자 처리는
마지막 최종 계산에서 딱 한 번만 한다는 것이다.
만약,
계산 도중(중간)에 매 계산 과정(단계)마다
유효숫자 처리하는 예제가 나오면,
아~ 이 교재 저자는
유효숫자 처리하는 방법을
학생들에게 연습(교육)시켜 주고 싶어서
이렇게 하는구나... 라고 생각하면 된다.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3300 ]
실제 실험실에서 유효숫자 처리(다루기)
[키워드] 유효숫자 처리는 마지막 기준, 유효숫자 처리는 한번만 기준
'화학 > 유효숫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5 km/hr을 m/s로 환산 (1) | 2024.04.19 |
---|---|
유효숫자 혼합 계산. [(8.925 - 8.905) / 8.925] × 100 (2) | 2024.04.18 |
아날로그 저울 A와 B로 동일한 물체의 질량을 측정한 결과 (1) | 2024.04.10 |
지수형 유효숫자 덧셈 계산. 6.071×10^(-5) - 8.2×10^(-6) - 0.521×10^(-4) (0) | 2024.04.07 |
유효숫자 혼합 계산. (3.8×10^(-12) + 4.0×10^(-13)) / (4×10^12 + 6.3×10^13) (1) | 2024.04.06 |
35.0분을 시간으로 환산 (0) | 2024.04.02 |
유효숫자 덧셈 계산. 49.3 + 130 ★ (1) | 2024.04.02 |
0의 유효숫자 개수 (0) | 2024.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