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학에서 가정, 정의, 기준, 약속
---------------------------------------------------
과학자들이
새로운 자연 현상을 발견하고,
그 현상을 이론적으로 설명(해석)할 때
자주 사용하는 기법(기술, 테크닉)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가정’이다.
여기서 가정의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사실이 아니거나 또는
사실인지 아닌지 분명하지 않은 것을
임시로 인정함.”
가령, X라는 새로운 자연 현상을
수학적으로 계산해보니
X = 1000 이라는 것은 분명히 알겠는데,
근데 X가 1000이 되기 위해서는
A란 어떤 값이 10이 되어야만 하는데,
근데 아무리 계산해도
A가 10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없을 경우,
이때 과학자들은 A = 10 이라 ‘가정’하는 것이다.
( 훗날 다른 과학자가 증명해줄거라 기대하면서... )
이렇게 하면, 즉
A = 10, 이 간단한 가정만 받아들이면,
현재 상황에서,
왜 A가 10이 되는지 그 이유를 전혀 몰라도
X라는 새로운 자연 현상을
완벽히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과학자들 뿐만 아니라,
처음으로 과학을 공부하기 시작하는 학생들도
이 ‘가정’이라는 기법을
받아들이고 사용하게 되면,
과학 진도를 나갈 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로, 필자는 정의, 기준, 약속 등의 용어를
‘가정’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할 때가 있다.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984 ] 원자와 분자, 원소와 화합물
그리드형(광고전용)
'일반화학 > [01장] 서론: 물질과 측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on 69 pm mass 3.35×10^(-23) g density (0) | 2023.03.13 |
---|---|
density air 25℃ 1.19 g/L mass 4.5 m × 5.0 m × 2.5 m (1) | 2023.03.13 |
측정값인지 확정값인지 식별 (0) | 2023.03.13 |
2000 Tegla Loroupe 20000 meter 1:05:26.6 mi/h (0) | 2023.03.07 |
1 g/mol을 mg/μmol로 환산 (2) | 2023.02.04 |
g/mL 단위로 밀도 구하기 (1) | 2023.01.30 |
1 W/cm^2 = 10^4 J/s•m^2 (0) | 2022.10.30 |
근의 공식. x^2 + 2.4x – 3.6 = 0 (0) | 2022.10.24 |
댓글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