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1 M 포도당 수용액 500 mL를 1 L로
1 M 포도당 수용액 500 mL에
증류수를 가하여 수용액의 부피를 1 L로 만들었다.
이때 포도당 수용액의 몰농도는?
---------------------------------------------------
MV = M’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1 M) (500 mL) = (? M) (1000 mL)
? = (1) (500) / (1000) = 0.5 M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M H2SO4 용액 200 mL 중화에 필요한 NaOH 용액 만들기 (0) | 2020.05.22 |
---|---|
80% 황산(FW 98, d 1.4)의 몰농도 (0) | 2020.05.22 |
10% 염화칼슘 수용액 450 mL의 몰농도 (0) | 2020.05.22 |
[유기화합물 명명법] (S)-3-methylcyclohex-1-ene (0) | 2020.05.22 |
농도를 모르는 시료 25 mL를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0) | 2020.05.22 |
0.1 M HAc 용액의 전리도는 2.2% (0) | 2020.05.22 |
제논 25.2 mol이 732 torr에서 645 L의 부피를 가질 때 (0) | 2020.05.22 |
PVT는 일정. 공기의 밀도는 STP에서 1.29 g/L (0) | 2020.05.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