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화학/[10장] 기체

20℃, 101 kPa에서 산소 기체의 밀도(kg/m3)

by 영원파란 2025. 1. 18.

AdSense@ywpop

728x170

20℃, 101 kPa에서 산소 기체의 밀도(kg/m3)

 

------------------------

 

> O2의 몰질량 = 32 g/mol

 

 

 

1 atm = 101325 Pa 이므로,

101000 Pa × (1 atm / 101325 Pa)

= 0.9967925 atm

 

 

 

d = PM / RT

> R = 0.08206 atm•L/mol•K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933 )

 

 

 

d = PM / RT

= [(0.9967925 atm) (32 g/mol)]

/ [(0.08206 atm•L/mol•K) (273.15 + 20 K)]

= [(0.9967925) (32)] / [(0.08206) (273.15 + 20)]

= 1.326 g/L

 

 

 

(1.326 g/L) (1 kg / 1000 g) (1000 L / 1 m3)

= 1.326 kg/m3

 

 

 

또는

> O2의 몰질량 = 32 g/mol = 0.032 kg/mol

 

 

 

1 J = 1 Pa•m3 이므로,

R = 8.314 J/mol•K

= 8.314 Pa•m3/mol•K

 

 

 

d = PM / RT

= [(101000 Pa) (0.032 kg/mol)]

/ [(8.314 Pa•m3/mol•K) (273.15 + 20 K)]

= [(101000) (0.032)] / [(8.314) (273.15 + 20)]

= 1.326 kg/m3

 

 

 

답: 1.326 kg/m3

 

 

 

 

[키워드] 기체의 밀도 기준, 밀도와 분자량 기준, 분자량과 밀도 기준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