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 300 mg/L 폐수 20 mg/L 유지 최초 제거효율 30% 최종 제거효율
폐수량 500 m3/day, BOD 300 mg/L인 폐수를
표준활성슬러지공법으로 처리하여
최종방류수 BOD 농도를 20 mg/L 이하로 유지하고자 한다.
최초침전지 BOD 제거효율이 30%일 때 포기조와 최종침전지,
즉 2차 처리 공정에서 유지되어야 하는 최종 BOD 제거효율(%)은?
① 약 82.5
② 약 85.5
③ 약 90.5
④ 약 94.5
최초 제거 후, BOD 농도를 계산하면,
(300 mg/L) × (70/100) = 210 mg/L
---> 300 mg/L BOD를
제거효율 30%로 1차 처리하면
210 mg/L BOD가 된다.
최종 BOD 제거효율(%)을 계산하면,
제거효율, η = [1 – (BOD_o / BOD_i)] × 10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829 )
= [1 – (20 mg/L / 210 mg/L)] × 100
= [1 – (20 / 210)] × 100
= 90.5%
답: ③ 약 90.5
[ 관련 예제 https://ywpop.blogspot.com/2024/03/bod-4000-mgl-20-2-40-mgl.html ]
분뇨를 1차 처리한 후 BOD 농도가 4000mg/L이었다. 이를 약 20배로 희석한 후 2차 처리를 하려 한다. 분뇨의 방류수 허용기준 이하로 처리하려면 2차 처리 공정에서 요구되는 BOD 제거 효율은? (단, 분뇨 BOD 방류수 허용기준 = 40mg/L,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키워드] 최종 BOD 제거율 기준, 최종 BOD 제거효율 기준, 폐수량 500m3/day, BOD 300mg/L인 폐수를 표준활성슬러지공법으로 처리하여 최종방류수 BOD 농도를 20mg/L이하로 유지하고자 한다. 최초침전지 BOD 제거효율이 30%일 때 포기조와 최종침전지, 즉 2차 처리 공정에서 유지되어야 하는 최전 BOD 제거효율(%)은?
'공학&기술 > 수질환경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R. Na^+ 360 mg/L, Ca^2+ 80 mg/L, Mg^2+ 96 mg/L ★ (1) | 2023.07.26 |
---|---|
SAR. Na^+ 50 mg/L, Ca^2+ 40 mg/L, Mg^2+ 80 mg/L (2) | 2023.07.26 |
4.0 mg/L DO소모를 바란다면 BOD 200 mg/L로 예상되는 폐수를 실험 (6) | 2023.07.26 |
BOD 측정 300 mL BOD병에 하수를 15 mL 주입 (1) | 2023.07.26 |
1000 m3 하수 최초침전지 생성 슬러지 양(m3) (3) | 2023.07.25 |
3 mol 글리신 분해에 필요한 이론적 산소요구량(gO2) (4) | 2023.07.25 |
폐수량 500 m3/day 처리에 필요한 Al2(SO4)3의 양(kg/day) (10) | 2023.07.23 |
건조고형물량 3000 kg/day 생슬러지 저율혐기성소화조 처리 (8) | 2023.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