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6322

유도쌍극자, 유발쌍극자, 분극성, 편극성 유도쌍극자, 유발쌍극자, 분극성, 편극성 induced dipole, polarizability --------------------------------------------------- [1] 유도 쌍극자 또는 유발 쌍극자 (induced dipole) ▶ 무극성 (비극성) 분자에 존재하는 쌍극자 ⇨ 가까이 있는 극성 분자의 영구 쌍극자(또는 이온의 전하) 때문에 무극성 분자의 전자들은 한쪽으로 쏠린다. 이때 발생하는 쌍극자를 ‘유도 쌍극자’라 한다. ① 영구 쌍극자-유도 쌍극자 힘: 극성 분자와 무극성 분자 사이의 힘 ( 극성 분자와 무극성 분자 사이의 쌍극자간 힘 ) ② 이온-유도 쌍극자 힘: 이온과 무극성 분자 사이의 힘 ▶ 유도 쌍극자의 세기는 “극성 분자의 쌍극자 세기” (또는 “이온의 전하.. 2014. 6. 3.
쌍극자(dipole), 쌍극자모멘트(dipole moment), 분자의 극성 ★ 쌍극자(dipole), 쌍극자모멘트(dipole moment), 분자의 극성   ---------------------------------------------------▶ 모든 극성 분자는 쌍극자를 갖는다.▶ 그렇지만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쌍극자를 갖는 모든 분자가 극성 분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1] 영구 쌍극자(permanent dipole)염산(HCl)과 같은 공유결합에서두 원자의 전기음성도 차이로 인해,( 참고: 전기음성도 https://ywpop.tistory.com/2567 )   전자의 공유 형태는 비대칭(불공평)이기 때문에,분자의 양 끝에 부분전하가 형성된다.   이때, 분자의 양 끝에.. 2014. 6. 3.
분자간 힘,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 (1) ★ 분자간 힘,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 (1) --------------------------------------------------- ▶ 참고: 제11장 액체와 분자간 힘.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274 ] --------------------------------------------------- ★ 분자간 힘 (intermolecular force) > 이상 기체: no interaction. But, > 실제 기체: yes interaction. But, 매우 약하다. > But, 액체, 고체: 약하지 않다, 상당히 중요하다. * 응축상 (condensed phases) ★ 분자내 힘과 분자간 힘 > 분자내 힘(화학 결합) : 화학적.. 2014. 6. 2.
Sulfur Tetrafluoride(SF4) 분자의 Seesaw Molecular Geometry 설명 Sulfur Tetrafluoride(SF4) 분자의 Seesaw Molecular Geometry 설명       [참고] SF4 루이스 구조 그리기. Lewis structure of SF4[ https://ywpop.tistory.com/9976 ]         Sulfur Tetrafluoride (사플루오린화 황) 분자의 중심 원자는 황(S)이고,황의 전자 영역은 5개(결합전자쌍 4개 + 비결합전자쌍 1개)이므로,Sulfur Tetrafluoride 분자의 전자 영역의 기하 구조는삼각이중피라미드(Trigonal Bipyramidal)이다.( 참고: 전자영역의 기하구조 https://ywpop.tistory.com/11542 )         [그림] Trigonal Bipyramid.. 2014. 5. 30.
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 모형으로 분자의 기하 구조 예측 (3) 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 모형으로 분자의 기하 구조 예측 (3)Valence Shell Electron Pair Repulsion, VSEPR   ---------------------------------------------------▶ 참고: 제9장 분자의 기하학적 구조와 결합 이론.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257 ]---------------------------------------------------   이번에는 중심 원자에 비결합 전자쌍(Lone Pair)이 없는 분자와1개 이상 있는 분자의 기하 구조를 비교해보자.       중심 원자를 E, 주위 원자를 X, 비결합 전자쌍(Lone Pair)을 Y 라 하면,중심 원자에 비결합 전자쌍이 1개 이상 있는.. 2014. 5. 29.
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 모형으로 분자의 기하 구조 예측 (2) 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 모형으로 분자의 기하 구조 예측 (2) Valence Shell Electron Pair Repulsion, VSEPR --------------------------------------------------- ▶ 참고: 제9장 분자의 기하학적 구조와 결합 이론.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257 ] --------------------------------------------------- 먼저 메탄이나 이산화탄소처럼, 중심 원자에 비결합 전자쌍(Lone Pair)이 없는 분자부터 알아보자. 중심 원자를 E, 주위 원자를 X, 비결합 전자쌍(Lone Pair)을 Y 라 하면, 중심 원자에 비결합 전자쌍(Lone Pair)이 없는 분자는 EX_m.. 2014. 5. 29.
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 모형으로 분자의 기하 구조 예측 (1) 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 모형으로 분자의 기하 구조 예측 (1)Valence Shell Electron Pair Repulsion, VSEPR   ---------------------------------------------------▶ 참고: 전자 영역 (Electron Domains)[ https://ywpop.tistory.com/2569 ]---------------------------------------------------   중심 원자의 전자 영역 개수만 알면,( 전자 영역 = 입체수, steric number )대략적인 분자의 기하 구조는 바로 예측할 수 있으며,그 구조는 아래 표와 같다.     [표] 전자 영역별 기하 구조     > 직선형 linear, 삼각평면 trigon.. 2014. 5. 28.
분자의 기하 구조와 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 모형 (VSEPR model) 분자의 기하 구조와 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 모형 (VSEPR model)(1) 전자 영역 (Electron Domains)   ---------------------------------------------------▶ 참고: 제9장 분자의 기하학적 구조와 결합 이론.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257 ]---------------------------------------------------   복잡한 수식이나 이론 대신,그냥 분자의 구조식, 예를 들면, 루이스(Lewis) 구조만 보고,분자의 기하 구조를 예측할 수는 없 • 을 • 까?   ↓   ↓   ↓   있다.   결합전자쌍 수와 비결합전자쌍 수를 보고,분자의 기하 구조(3차원 모양)를 쉽게 예측할 수 있다... 2014. 5. 27.
형식 전하와 루이스(Lewis) 구조. CO2의 루이스 구조 형식 전하와 루이스(Lewis) 구조. CO2의 루이스 구조   ---------------------------------------------------▶ 참고: 루이스 구조[ https://ywpop.tistory.com/2541 ]---------------------------------------------------   이산화탄소의 루이스 구조를 그려보면,2가지 구조를 그릴 수 있는데,둘 다 팔전자 규칙을 만족한다.         그렇다면 어느 구조가실제 이산화탄소의 루이스 구조일까?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각 원자의 형식 전하를 계산해봐야 한다.( 참고: 형식 전하 https://ywpop.tistory.com/2544 )                 형식 전하를 .. 2014. 5. 27.
전기음성도 (electronegativity) ★ 전기음성도 (electronegativity)       [ 관련 글: 공유 결합의 종류, 분류 https://ywpop.tistory.com/2566 ]               [첫 번째 그림] 공유 결합 전.     [두 번째 그림] 공평한 공유 결합 상태.이 상태라면 부분 전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세 번째 그림] 불공평한 공유 결합 상태.Cl의 전기음성도가 H보다 더 크기 때문에,Cl은 공유전자쌍을 자신 쪽으로 당겨온다.전자는 음의 전하(–)를 띤다.그 전자(수소의 전자)를 자신 쪽으로 당겨왔으니,당겨온 만큼 Cl은 음 전하를 더 갖게 되므로,Cl은 부분 음전하(δ–)를 띠게 된다. 반대로,H는 자신의 전자를 빼앗긴 만큼 부분 양전하(δ+)를 띤다.         [참.. 2014. 5.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