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12781 묽힘법칙. 매우 묽은 농도의 용액 만들기 묽힘법칙. 매우 묽은 농도의 용액 만들기 ------------------------ 일반적으로 10^(-5) M과 같이매우 묽은 용액은진한 용액을 먼저 만들고,만든 진한 용액을다단계로 희석시켜(묽혀) 만듭니다. 가령,몰질량(분자량)이 175.19 g/mol인 용질로10^(-5) M 용액 500 mL를 만들고 싶다면,먼저2 M 용액 100 mL를 만들고,이때 필요한 용질의 질량은(2 mol/L) (0.100 L) (175.19 g/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24161 ) = (2) (0.100) (175.19)= 35.038 g이므로,100 mL 부피 플라스크에용질 35 g을 넣어서2 M 용액 100 mL를 만듭니다. 2 M 용액.. 2025. 7. 14. 1 M HCl(aq)의 퍼센트농도 1 M HCl(aq)의 퍼센트농도단, HCl의 분자량 = 36.5 이고,HCl(aq)의 밀도 = 1.18 g/mL 이다. ------------------------ 1 M HCl(aq)= 1 M HCl 용액= 1 mol HCl / 1 L 용액(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HCl의 몰질량(분자량) = 36.5 g/mol 이므로,1 mol HCl의 질량= 1 mol × (36.5 g/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 36.5 g= 용질 질량 HCl(aq)의 밀도 = 1.18 g/mL 이므로,1 L(= 1000 mL) 용액의 질량= 1000 mL × (1.18 g/mL)( 참고 https.. 2025. 7. 8. 0.18% 포도당 수용액의 몰농도와 몰랄농도 0.18% 포도당 수용액의 몰농도와 몰랄농도단, 포도당의 분자량 = 180 이고,포도당 수용액의 밀도 = 1 g/mL 이다. ------------------------ 0.18% 포도당 수용액이100 g 있다고 가정하자.( 참고: 100 g https://ywpop.tistory.com/4321 ) 0.18% 포도당 수용액 100 g에들어있는 포도당의 질량= 100 g × (0.18/100)( 참고 https://ywpop.tistory.com/9293 ) = 0.18 g= 용질의 질량 “용액 = 용질 + 용매” 이므로,( 포도당 수용액 = 포도당 + 물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0 ) 포도당 수용액 100 g에들어있는 물의 .. 2025. 7. 8. 1 M KOH 용액 500 mL 만들기 ★ 1 M KOH 용액 500 mL 만들기1 N KOH 용액 500 mL 만들기(단, KOH의 FW는 56.11, 시약의 순도는 85%) ------------------------ KOH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4105 ) 또는 KOH는 1가염기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3 ) KOH의 노르말농도 = KOH의 몰농도---> 1 N KOH 용액 제조 방법= 1 M KOH 용액 제조 방법 [1] 1 M KOH 용액 500 mL에 들어있는KOH의 몰수를 계산하면,(1 mol/L) × (500/1000 L)= 0.5 mol KOH( 참고 https://ywpop.tisto.. 2025. 7. 5. 0.5 kgf/cm2, 2.5 m3 압축 12 kgf/cm2, 0.2 m3 변화 엔탈피 0.5 kgf/cm2, 2.5 m3 압축 12 kgf/cm2, 0.2 m3 변화 엔탈피 10 kg의 어떤 가스가압력 0.5 kgf/cm2, 체적 2.5 m3의 상태에서 압축되어압력 12 kgf/cm2, 체적 0.2 m3의 상태로 변화하였다.만일 가스의 내부에너지의 변화가 없다고 할 때엔탈피의 증가량은 얼마인가? ------------------------ H = U + PV(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72 ) ΔH = ΔU + Δ(PV) ΔU = 0 이므로,ΔH = Δ(PV) Δ(PV) = P2V2 – P1V1 > 1 kgf/cm2 = 98.0665 kPa( 참고 https://ywpop.tistory.com/470642 .. 2025. 6. 27. 4% NaOH(aq) 500 mL 용액의 밀도는 1.05 g/mL 4% NaOH(aq) 500 mL 용액의 밀도는 1.05 g/mL 다음 문장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시오.4% NaOH(aq) 500 mL가 있다.용액의 밀도는 1.05 g/mL이다.NaOH의 화학식량은 40이다.[1] 4% NaOH 수용액 500 mL에 포함된 용질의 양은 21 g이다.[2] 위 용액에 물을 넣어 전체 부피가 1 L가 되게 만든용액의 몰농도는 0.525 M이다. ------------------------ [1] 4% NaOH 수용액 500 mL에 포함된 용질의 양은 21 g이다.---> 옳다. 용액의 밀도 = 1.05 g/mL 이므로,500 mL × (1.05 g/mL)= 525 g---> 용액의 질량( 참고 https://ywpop.tistory.com/8460 ) .. 2025. 6. 25. 95% 에탄올로 75% 에탄올 40 mL 만들기 95% 에탄올로 75% 에탄올 40 mL 만들기75% 에탄올 40 mL 제조에 필요한 95% 에탄올의 부피 ------------------------ [참고] 에탄올 수용액의 퍼센트 농도는일반적으로, 부피 백분율(v/v %)이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3164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034 ) 묽힘법칙, M1V1 = M2V2(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묽힘법칙으로75% 에탄올 40 mL 제조에 필요한95% 에탄올의 부피(V1)를 계산하면,V1 = M2V2 / M1= (75%) (40 mL) / (95%)= 31.6 mL [용액 제조 방법]95% 에.. 2025. 6. 20. 핸드폰 충전기는 충전하는 동안 뜨거워진다 핸드폰 충전기는 충전하는 동안 뜨거워진다 핸드폰 충전기는 충전하는 동안 뜨거워진다. 충전에 이용되는 에너지의 일부분은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되고 나머지는 열로 소모된다.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255 J의 에너지가 필요하고 375 J이 열로 소모된다면, 핸드폰을 충전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몇 J인가? ------------------------ 255 J + 375 J = 630 J 630 J의 에너지를 공급하면,255 J은 배터리 충전에 사용되고,375 J은 열손실. 열기관의 열효율에 비유하면,630 J = Q_H255 J = W375 J = Q_L Q_H = W + Q_L( 참고 https://ywpop.tistory.com/21949 ) 630.. 2025. 6. 17. 30℃ NO2 농도 35 ppb 0℃ 기준 환산 농도 30℃ NO2 농도 35 ppb 0℃ 기준 환산 농도 어느 여름철 오후 NO2의 농도가 35 ppb로 관측되었다.만약 이때 온도가 30℃였다면,0℃를 기준으로 환산하였을 때의 농도는 얼마인가? ------------------------ C1T1 = C2T2처음농도 × 처음온도 = 나중농도 × 나중온도( 참고 https://ywpop.tistory.com/9591 ) C2 = C1T1 / T2= 35 × (273 + 30) / (273 + 0)= 38.846 답: 약 38.85 ppb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3974 ]30℃에서 NO2의 농도가 350 ppb로 관측되었는데 온도를 0℃로 환산하면 NO2의.. 2025. 6. 9. 식초의 몰농도. 희석액 적정에 0.1 M NaOH 20.37 mL 소비 식초의 몰농도. 희석액 적정에 0.1 M NaOH 20.37 mL 소비 식초 10 mL와 증류수 40 mL를 혼합하여 1차 희석액을 만들고,1차 희석액 10 mL와 증류수 30 mL를 혼합하여 2차 희석액을 만들었다.2차 희석액 적정에 0.1 M NaOH 용액 20.37 mL가 소비되었다면,식초의 몰농도는 얼마인가? ------------------------ 적정에 소비된 NaOH의 몰수= (0.1 mol/L) (20.37/1000 L)= 0.002037 mol “식초 = 아세트산 수용액” 이고,CH3COOH : NaOH = 1 : 1 반응하므로,CH3COOH + NaOH → CH3COONa + H2O NaOH의 몰수 = CH3COOH의 몰수= 0.002037 mol .. 2025. 6. 5. 이전 1 2 3 4 ··· 127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