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6471 CO + H2O → CO2 + H2 반응은 발열 반응 CO + H2O → CO2 + H2 반응은 발열 반응수성가스 전환 반응. water-gas shift reaction (WGSR) ------------------------ [수성가스 전환 반응]CO + H2O → CO2 + H2 반응은일반적으로 “발열 반응”이다. CO + H2O → CO2 + H2 ... ΔH° = –41.2 kJ/mol [ 관련 글 https://en.wikipedia.org/wiki/Water%E2%80%93gas_shift_reaction ]Water-gas shift reaction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0351 ]수성 가스는 1000℃에서 석탄에 수증기를 통과시켜 만든 CO와 H2 혼합물C(s) + H.. 2025. 7. 13. 100℃ 물과 50℃ 물을 같은 양으로 섞으면 평형 온도 100℃ 물과 50℃ 물을 같은 양으로 섞으면 평형 온도 100℃ 물과 50℃ 물을 같은 양으로 섞으면 평형 온도는? ------------------------ [참고] 열용량과 비열q = C m Δt[ https://ywpop.tistory.com/2897 ] q = C m Δt 에서,같은 물질이므로, 비열(C) 소거하고,같은 양이므로, 질량(m) 소거하면,q = Δt( Δt = 나중 온도 – 처음 온도 ) 나중 온도 = x 라 두면,고온 물이 잃은 열(–q) = 저온 물이 얻은 열(+q) –(x – 100) = +(x – 50) –x + 100 = x – 50 2x = 150 x = 150 / 2= 75 또는평형 온도 = 두 .. 2025. 7. 11. PV는 일정. 2 L 용기 A에 1기압 질소 기체 용기 B는 진공 PV는 일정. 2 L 용기 A에 1기압 질소 기체 용기 B는 진공 그림과 같이 부피가 2 L인 용기 A 속에1기압의 질소 기체가 채워져 있고,용기 B는 진공 상태이다.콕을 열었더니 용기 전체의 압력이 0.4기압으로 되었다.용기 B의 부피는 몇 L인가? ------------------------ > 용기 A의 부피 = 2 L = V1> 용기 B의 부피 = x L 보일의 법칙P1V1 = P2V2(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77 ) > V2 = V1 + x = 2 + x> P1 = 1기압> P2 = 0.4기압---> P1V1 = P2V2 식에 대입하면,(1) (2) = (0.4) (2 + x) 2 = 0.8 + 0.4x .. 2025. 7. 8. SiO4^4- 루이스 구조 그리기. silicate SiO4^4- 루이스 구조 그리기. silicateLewis structure of SiO4^4- ion ------------------------ [참고] 루이스 구조 그리기[ https://ywpop.tistory.com/6302 ] [1단계] 각 원자의 원자가전자 수의 합을 구한다.SiO4^4- = (Si) + 4(O) + 4e^-= (4) + 4(6) + 4 = 32 [2단계] 화합물의 기본 골격 구조를 그린다.( 단일결합 수만큼 전자 수를 뺀다. ) 32 – 4(2) = 24 [3단계] 주위 원자들이 팔전자 규칙에 맞도록 전자를 한 쌍씩 그린다.( 무조건, 그냥 주위 원자 주변에 전자쌍 3개씩 그린다. )( 그린 전자 수만큼 뺀다. ).. 2025. 7. 7. ΔH 계산. 2N2(g) + 5O2(g) → 2N2O5(g) ΔH 계산. 2N2(g) + 5O2(g) → 2N2O5(g) Calculate ΔH° for this reaction:2N2(g) + 5O2(g) → 2N2O5(g)using the following three equations:1) 2H2(g) + O2(g) → 2H2O(l) ... ΔH° = –571.7 kJ2) N2O5(g) + H2O(l) → 2HNO3(l) ... ΔH° = –76.6 kJ3) N2(g) + 3O2(g) + H2(g) → 2HNO3(l) ... ΔH° = –348.2 kJ ------------------------ [참고] 헤스의 법칙[ https://ywpop.tistory.com/3376 ] ※ 헤스의 법칙을 이용한 이런 유형의 문제는간단한 원리만 이해하.. 2025. 7. 3. Hill system H2O OH^- Hill system H2O OH^- ------------------------ H2O는 중성 분자이고,OH^-는 이온인데,중성 분자의 표기법과이온의 표기법이 다릅니다. 중성 분자는, 기본적으로,Hill system에 따라화학식을 표기합니다.( 참고: 힐 시스템 https://ywpop.tistory.com/6611 ) 따라서H2O. 그리고H2O는다른 이유 다 필요 없이,옛날부터 널리 알려진 물질이기에,( 힐 시스템이 만들어지기 훨씬 더 이전부터 )H2O라고 표기합니다.이런 것을 “관용명”이라 합니다. OH^-는2개 이상의 원자로 이루어진다원자 이온(또는 원자단)이고,( 참고: 원자단 https://ywpop.tistory.com/2968.. 2025. 6. 29. 비열 0.5 kcal/kg•℃ 질량 500 g 온도 20℃ 열량 5 kcal 비열 0.5 kcal/kg•℃ 질량 500 g 온도 20℃ 열량 5 kcal 비열이 0.5 kcal/kg•℃이고 질량이 500 g인물체의 온도를 측정하였더니 20℃이었다.이 물체에 5 kcal의 열량을 가했을 때 물체의 온도는? ------------------------ 비열 관련 문제는q = C m Δt(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97 ) 이 아주 간단한 공식 하나만 암기하면,거의 대부분의 문제는아주 쉽게 풀 수 있다. 이 문제는주어진 데이터를공식에 대입/계산만 하면 되는“난이도 최하”의 문제이다. 단, 이런 문제의 함정(주의사항)이라면,“단위 통일”이다.( “단위 통일”은 모든 문제의 함정이기도 하다. ) 비열의 단위.. 2025. 6. 29. 속도 환산. 8 m/s를 km/hr로 환산 속도 환산. 8 m/s를 km/hr로 환산 ------------------------ [참고] 환산 인자[ https://ywpop.tistory.com/3121 ] ▶ 환산 인자> 1 km = 1000 m> 1 hr = 60 min = 3600 sec 거리, 시간 순으로 환산하면,(8 m/s) (1 km / 1000 m) (3600 s / 1 hr)= (8) (1 / 1000) (3600)= 28.8 km/hr 답: 28.8 km/hr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3980 ]속도 환산. 65 km/hr를 m/s로 환산 [키워드] 속도 환산 기준, 속력 환산 기준, convert ms t.. 2025. 6. 26. 물과 아세트산 중에서 분자간 인력이 더 큰 물질 물과 아세트산 중에서 분자간 인력이 더 큰 물질 물과 아세트산 중에서 분자간 인력이 더 큰 물질은? ------------------------ 두 물질의 분자간 인력을 비교할 때,특히, 상온에서 둘 다 액체 상태라면,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각 물질의 끓는점이다.> 물(H2O)의 끓는점 = 100℃> 아세트산(CH3COOH)의 끓는점 = 118℃ 일반적으로 물질의 끓는점과물질의 분자간 인력은 비례하므로,끓는점이 더 높은 아세트산이물보다 분자간 인력이 더 크다. 또한물과 아세트산, 둘 다 수소결합을 하지만,아세트산은 수소결합을 통해 이합체를 형성한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9072 ) 이 때문에아세트산의 분자간 인력은 매우 크다. .. 2025. 6. 25. ΔH 계산. 철의 제련 반응 ΔH 계산. 철의 제련 반응 주어진 반응식을 이용하여,1) 2Fe(s) + 3/2 O2(g) → Fe2O3(s) ... ΔH = –824 kJ2) CO(g) + 1/2 O2(g) → CO2(g) ... ΔH = –283 kJ 철의 제련 반응의 반응 엔탈피를 구하시오.Fe2O3(s) + 3CO(g) → 2Fe(s) + 3CO2(g) ... ΔH = ? ------------------------ [참고] 헤스의 법칙[ https://ywpop.tistory.com/3376 ] ※ 헤스의 법칙을 이용한 이런 유형의 문제는간단한 원리만 이해하면, 끼워 맞추기 ‘놀이’에 불과하다. Fe2O3(s) + 3CO(g) → 2Fe(s) + 3CO2(g)---> 이 식을 ‘타깃’이라.. 2025. 6. 24. 이전 1 2 3 4 ··· 64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