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6339 BaSO4가 물에서보다 산성 용액에서 용해도가 증가하는 이유 BaSO4가 물에서보다 산성 용액에서 용해도가 증가하는 이유 ------------------------ BaSO4는 순수한 물에서극히 일부나마 다음과 같이 해리된다.BaSO4(s) + H2O(l) ⇌ Ba^2+(aq) + SO4^2-(aq) ... ① 산성 용액에서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H^+ 이온 때문에,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SO4^2-(aq) + H^+(aq) ⇌ HSO4^-(aq) ... ② ②번 반응이 일어나면,용액 속 SO4^2- 이온의 농도가 감소한다. 그 결과, 르 샤틀리에의 원리에 따라,①번 반응의 정반응이 일어나고,(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85 ) 이 때문에 BaSO4의 용해도가 증가하는 것이다.. 2025. 4. 1. 0.1 M CH3COOH(aq) 30 mL + 0.1 M NaOH(aq) pH 5.74 완충용액 0.1 M CH3COOH(aq) 30 mL + 0.1 M NaOH(aq) pH 5.74 완충용액 0.1 M CH3COOH(aq) 30 mL에0.1 M NaOH(aq)을 첨가하여pH 5.74의 완충용액을 만들고자 할 때첨가하여야 할 NaOH(aq)의 부피는?(단, CH3COOH의 pKa는 4.74) ------------------------ 0.1 M CH3COOH(aq) 30 mL에 들어있는CH3COOH의 몰수= (0.1 mol/L) (30/1000 L)= 0.003 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약산 + 강염기 중화 반응식HA(aq) + OH^-(aq) → A^-(aq) + H2O(l) (가한 염기의 몰수 = x 라 두면,).. 2025. 4. 1. 화합물 수용액이 산성인지 염기성인지 중성인지 구분 화합물 수용액이 산성인지 염기성인지 중성인지 구분 다음 보기의 화합물을 물에 녹였을 때수용액이 띠는 액성이산성인지, 염기성인지, 중성인지 구분하시오.NaClNH4ClKCN(NH4)2SO4MgCl2KNO3CH3COONH4Na2CO3 ------------------------ [참고] 산 염기 구분. 강산 약산 구분. 강염기 약염기 구분[ https://ywpop.blogspot.com/2023/10/blog-post_21.html ] [참고] 산성염 염기성염 중성염[ https://ywpop.tistory.com/4300 ] MgCl2와 CH3COONH4가 약간 까다롭고,나머지는 위 2개의 글을 이해하고 있다면,아주 간단히 구분할 수 있다. NaCl> Na.. 2025. 3. 31. 미정계수법. H2O2 → H2O + O2 미정계수법. H2O2 → H2O + O2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aH2O2 → bH2O + cO2 > H의 개수: 2a = 2b ... (1)> O의 개수: 2a = b + 2c ... (2) a = 1 이라 두면,from (1), b = 1 from (2), 2 = 1 + 2c2c = 1c = 1/2 계수를 정리하면,> a = 1> b = 1> c = 1/2 계수는 정수이어야 하므로,각 계수에 2씩 곱하면,> a = 2> b = 2> c = 1 aH2O2 → bH2O + cO2 2H2O2 → 2H2O + O2 .. 2025. 3. 30. 미정계수법. H2O2 → H2O + H2 미정계수법. H2O2 → H2O + H2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aH2O2 → bH2O + cH2 > H의 개수: 2a = 2b + 2c ... (1)> O의 개수: 2a = b ... (2) a = 1 이라 두면,from (2), b = 2 from (1), 2 = 4 + 2c2c = –2c = –1 계수를 정리하면,> a = 1> b = 2> c = –1 aH2O2 → bH2O + cH2 H2O2 → 2H2O + –H2 또는–H2O2 → –2bH2O + H2---> 계수가 (–)인 반응은 없다.---> 이런 반응은 존재하지 않.. 2025. 3. 30. 질소화 구리(II) PbI2 chromic sulfide FeO 질소화 구리(II) PbI2 chromic sulfide FeO 다음 화합물의 계통명 또는 이름에 해당하는 화학식을 써라.a) 질소화 구리(II) b) PbI2 c) chromic sulfide d) FeO ------------------------ [참고] 이온 결합 화합물 명명법[ https://ywpop.tistory.com/4729 ] a) 질소화 구리(II)> Cu3N2 b) PbI2> 요오드화 납(II) c) chromic sulfide (옛날식 명명법)( 참고 https://ywpop.tistory.com/8745 ) > chromium(III) sulfide> Cr2S3 d) FeO> 산화 철(II) .. 2025. 3. 29. 속도 법칙 구하기. [A]=0.05 M, [B]=0.1 M일 때, 속도 구하기 속도 법칙 구하기. [A]=0.05 M, [B]=0.1 M일 때, 속도 구하기 실험 번호[A] (M)[B] (M)초기 속도(M/s)10.1000.1004.0×10^(-5)20.1000.2004.0×10^(-5)30.2000.10016.0×10^(-5) A + B → C 반응에서,[A] = 0.05 M, [B] = 0.1 M 일 때, 속도를 구하시오. ------------------------ 속도 법칙rate = k [A]^x [B]^y(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 ) ▶ 1번 → 2번: [A] 고정, [B] 2배 증가> 속도 변화 없음> [B]에 대해 0차---> y = 0 이므로, [B]^0( 참고 https://ywpop.tistor.. 2025. 3. 29. NO3^- 이온의 이온전하가 –1인 이유 NO3^- 이온의 이온전하가 –1인 이유 ------------------------ [참고] NO3^- 이온은 다원자 이온[ https://ywpop.tistory.com/2968 ] NO3^- 이온의 이온전하가 –1인 이유는HNO3 화합물에서 H가 이온화될 때,O와 H 사이의 공유 전자쌍을O에게 주고 이온화되기 때문이다. [그림] HNO3의 루이스 구조.( 참고 https://ywpop.tistory.com/7669 ) O와 H 사이의 공유 전자쌍 중,즉 2개 전자 중 1개 전자는 H의 전자이므로,전자 1개를 잃은 H는 H^+ 양이온이 되고,전자 1개를 얻은 NO3는 NO3^- 음이온이 된다. HNO3 → H^+ + NO3^-.. 2025. 3. 27. 미정계수법. CO + O2 → CO2 미정계수법. CO + O2 → CO2미정계수법. (_)CO + (_)O2 → 2CO2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CO2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의 개수가“C 원자 1개, O 원자 2개”라는 것과그래서 2CO2가, 전체적으로,“C 원자 2개, O 원자 4개”라는 것을알고 있는 학생이라면,( 참고 https://ywpop.tistory.com/2968 ) 일부 물질의 계수가 주어진 이런 문제는실제 시험에는 나올 수도 없는아주 쉬운 문제이다. (_)CO + (_)O2 → 2CO2 반응식에서,분자를 “레고 블록으로 만든 장난감”,원자를 “레고 블록”이라 생각해 보자. .. 2025. 3. 27. CO2 헨리 상수 3.3×10^(-2) mol/L•atm 탄산 Ka1 = 4.5×10^(-7) CO2 헨리 상수 3.3×10^(-2) mol/L•atm 탄산 Ka1 = 4.5×10^(-7) 25℃에서 5 L의 물이 1 atm의 순수한 CO2와 평형을 이루고 있다.이때 CO2의 헨리 상수는 3.3×10^(-2) mol/L•atm이고,탄산의 1차 해리 상수, Ka1 = 4.5×10^(-7) 이다.이 용액에 25℃에서 기체 CO2의 압력을 2배로 증가시켰을 때,용액의 pH가 얼마로 변화하는지 계산하시오.(단, 온도와 부피는 변하지 않고,초기 용액의 pH는 탄산의 1차 해리만 고려하여 근사계산한다.) ------------------------ Henry의 법칙C = k P(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11 ) = (3.3×10^(-2) mol/L•atm).. 2025. 3. 26. 이전 1 2 3 4 ··· 63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