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6368

산-염기 중화 적정 과정에서 용액의 pH 계산: 약산-강염기 적정 ★ 산-염기 중화 적정 과정에서 용액의 pH 계산: 약산-강염기 적정 --------------------------------------------------- ▶ 참고: 강산 ← 강염기 적정 [ https://ywpop.tistory.com/2732 ] ▶ 참고: 약염기 ← 강산 적정 [ https://ywpop.tistory.com/2742 ] --------------------------------------------------- 이번에는 약산-강염기 적정 과정에서 용액의 pH를 구해보겠다. 시료인 약산을 표준 용액인 강염기로 적정한다고 가정한다. ( 지시약은 페놀프탈레인 https://ywpop.tistory.com/5959 ) [가정] 0.1 M CH3COOH 25 mL (시료) ← 0.1 M.. 2014. 8. 8.
산-염기 중화 적정 과정에서 용액의 pH 계산: 강산-강염기 적정 ★ 산-염기 중화 적정 과정에서 용액의 pH 계산: 강산-강염기 적정       중화 적정은 산-염기의 세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1) 강산-강염기 적정(2) 약산-강염기 적정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736 ](3) 강산-약염기 적정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742 ]     ▶ 약산-약염기 적정에서는염의 가수분해 반응이 2개이기 때문에, 계산이 복잡하다.따라서 이런 중화 적정은 안 한다. 할 필요도 없고, 할 이유도 없다.만약 시료가 약산이면 (2)번 적정으로, 약염기이면 (3)번 적정으로시료의 농도를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일반적으로 표준 용액은 강산 또는 강염기를 사용한다.        .. 2014. 8. 6.
산화수 구하는 규칙(rule) ★★ 산화수 구하는 규칙(rule)rules for assigning oxidation numbers   ---------------------------------------------------▶ 참고: 산화-환원 반응과 산화수[ https://ywpop.tistory.com/6525 ]---------------------------------------------------   A. 원소에서   1. 원소의 산화수 = 0( 원소에서 각 원자의 산화수는, 정의상, 약속에 의해, 0 )( 참고: 원소와 화합물 https://ywpop.tistory.com/2984 )   예) H2 분자에서, H의 산화수 = 0.예) O2(산소), O3(오존)에서, O의 산화수 = 0.예) 마그네슘 금속, Mg(s)에서, .. 2014. 7. 30.
산-염기 적정. 산-염기 중화 적정 ★ 산-염기 적정. 산-염기 중화 적정   ---------------------------------------------------▶ 참고: 제17장 수용액 평형의 다른 관점.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369 ]---------------------------------------------------   1. 부피 분석법이란?▶ 시료 용액(농도를 모르는 용액)과화학량론적(mol vs. mol)으로 반응하는표준 용액(농도를 알고 있는 용액)의 부피를 측정하여,시료의 농도를 알아내는 화학 분석의 한 방법.( 참고: 부피 분석법과 적정 https://ywpop.tistory.com/23 )       2. 적정(titration)이란?▶ 부피 분석법을 이용하는 실제적인 실.. 2014. 7. 30.
[공통 이온 효과] 공통 이온이 존재할 때, pH 계산 [공통 이온 효과] 공통 이온이 존재할 때, pH 계산 0.30 mol CH3COOH + 0.30 mol CH3COONa 용액의 pH 0.3 mol CH3COOH와 0.3 mol CH3COONa를 넣고, 물을 가해 1.0 L가 되도록 만든 용액의 pH를 구하시오. 단, CH3COOH의 Ka = 1.8×10^(-5) --------------------------------------------------- ▶ 참고: 공통 이온 효과 [ https://ywpop.tistory.com/2710 ] --------------------------------------------------- ▶ 약산은 약전해질이고, 가용성 염은 강전해질이기 때문에, ▶ 용액 중, 주요 화학종은? 다수 존재하는 화학종은? ▶ 이.. 2014. 7. 28.
공통 이온 효과 (common ion effect) 공통 이온 효과 (common ion effect) --------------------------------------------------- 다음과 같은 평형 계에, H^+ 이온 또는 CH3COO^- 이온을 포함하는 물질을 첨가하면, 예를 들어 아세트산나트륨 수용액을 가하면, 평형은 어느 쪽으로 이동할까요? 르 샤틀리에의 원리를 생각해 보세요. ( 참고: 르샤틀리에 원리 https://ywpop.tistory.com/2685 ) . . . . . . 르 샤틀리에의 원리에 따라 평형은 왼쪽으로 이동할 것입니다. 그 결과 아세트산의 용해도(이온화)는 감소합니다. 이와 같이 용해되어있는 이온과 공통 이온을 내놓는 물질을 첨가할 때 일어나는 평형의 이동 또는 용해도 감소 현상을 “공통 이온 효과”라고 합니다.. 2014. 7. 28.
pH 값, 산도의 측정 ★ pH 값, 산도의 측정이 수용액은 산성인가? 염기성인가?   ---------------------------------------------------▶ 참고: 제16장 산-염기 평형.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336 ]---------------------------------------------------   25℃, 순수한 물 속에 존재하는 H^+ 이온의 농도는         ‘0 . 0 0 0 0 0 0 1’ 이란 숫자는 너무 작은 값이라서 사용하기 불편하다.       그래서 이 값에다 log를 곱했더니,log(0 . 0 0 0 0 0 0 1) = –7   한자리수의 정수가 나온다.       그런데 이번엔 마이너스 부호가 눈에 그슬리네...그래서.. 2014. 7. 25.
물의 자동이온화와 이온곱 상수, Kw ★ 물의 자동이온화와 이온곱 상수, Kw   ---------------------------------------------------▶ 참고: 물의 자동이온화[ https://ywpop.tistory.com/19786 ]---------------------------------------------------   [1] 물의 자동이온화. auto-ionization of water   ▶ 순수한 물은 매우 약한 전해질이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21807 )   매우 약하긴 해도 전해질이기 때문에,다음과 같이 물 분자는 극히 일부가 이온화된다.     H2O(l) + H2O(l) ⇌ H3O^+(aq) + OH^-(aq)       이것을 “물의 자동이온화”라고 한다.. 2014. 7. 24.
양쪽성양성자성(amphiprotic) 물질 ★ 양쪽성양성자성(amphiprotic) 물질 --------------------------------------------------- ▶ 참고: 제16장 산-염기 평형.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336 ] --------------------------------------------------- ▶ 양쪽성양성자성 물질. 양쪽성 물질 > 브뢴스테드 산 또는 염기, 둘 다 될 수 있는 물질 > 브뢴스테드 산 또는 염기, 양쪽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 ( 참고: 산과 염기의 정의 https://ywpop.tistory.com/2696 ) ▶ 양쪽성 물질은 ① 자신보다 조금 더 강한 염기와 만나면 산이 되고, ---> 양성자 주게 산. ② 자신보다 조금 더 강한 산과 만나면.. 2014. 7. 24.
짝산, 짝염기, 짝 산-염기 쌍(conjugate acid-base pair) ★ 짝산, 짝염기, 짝 산-염기 쌍(conjugate acid-base pair)   ---------------------------------------------------▶ 참고: 산과 염기의 정의 [ https://ywpop.tistory.com/2696 ]---------------------------------------------------   브뢴스테드-로우리(Brønsted-Lowry)의 산-염기 이론에서,산-염기 정의와 더불어 중요한 개념이 “짝산-짝염기” 개념이다.     ▶ 산에서 양성자(H^+)가 제거되고 남은 물질 = 산의 짝염기⇨ 산과 산의 짝염기를 “산-짝염기 쌍”이라 한다.     ▶ 염기에 양성자(H^+)가 결합되어 생긴 물질 = 염기의 짝산⇨ 염기와 염기의 짝산을 “.. 2014. 7.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