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6368

0.1 M CH3COOH 50 mL + 0.1 M NaOH. 당량점 pH 0.1 M CH3COOH 50 mL + 0.1 M NaOH. 당량점 pH 0.1 M CH3COOH(시료) 50 mL를 0.1 M NaOH(표준 용액)로 적정할 때, 중화점(당량점)에서의 pH를 구하시오. --------------------------------------------------- ▶ 참고: 약산-강염기 적정 [ https://ywpop.tistory.com/2736 ] --------------------------------------------------- CH3COOH와 NaOH는 1 : 1 반응하므로, NaOH 50 mL를 가하면, 시료인 약산은 표준 용액인 강염기에 의해 완전히 중화된다. 그러나 이때 생성된 염의 가수분해 반응 때문에, 용액은 중성이 되지 않는다. ( 참고: 가수.. 2014. 11. 3.
이온화 에너지와 전자 친화도 ★ 이온화 에너지와 전자 친화도 --------------------------------------------------- ▶ 참고: 제7장 원소의 주기적 성질.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245 ] --------------------------------------------------- [1] 이온화 에너지. ionization energy > 정의: 기체 원자로부터 전자 1개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 기체 원자 1 mol에서 전자 1 mol을 떼어내는데 필요한 에너지 M(g) + E → M^+(g) + e^- ⇨ 항상 양(+)의 엔탈피 값을 가진다. 즉, ΔH > 0.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7192 ] 1차 이온화 에너지 <.. 2014. 11. 3.
약산 ascorbic acid 용액의 pH. 250 mg / 250 mL 약산 ascorbic acid 용액의 pH. 250 mg / 250 mL 아스코브산(ascorbic acid, C6H8O6) 250 mg을 포함하는 비타민 C 정제를 250 mL의 물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의 pH는 얼마인가? (아스코브산의 Ka = 8.0×10^(-5), 몰질량 = 176 g/mol) --------------------------------------------------- ▶ 참고: 약산의 초기농도, Ka, pH 관계식 [ https://ywpop.tistory.com/4294 ] --------------------------------------------------- [1] 아스코브산의 몰농도 계산 [2] 평형에서 수소 이온의 몰농도 계산 (0.00568 – x) ≒ 0.005.. 2014. 11. 3.
이온결합 화합물의 용해도 지침. solubility guidelines 이온결합 화합물의 용해도 지침. solubility guidelines> 가용성염과 난용성염(불용성염), 수용성염과 앙금(침전물)   ---------------------------------------------------▶ 참고: 가용성염, 난용성염(앙금) 설명[ https://ywpop.tistory.com/6892 ]▶ 참고: 앙금 생성 반응은 교환(복분해) 반응[ https://ywpop.tistory.com/3364 ]---------------------------------------------------   어떤 이온결합 화합물이 물에 잘 용해될지, 안될지를 설명할 수 있는이론, 법칙, 또는 수식은 없다.   즉, 왜 NaCl은 물에 잘 용해되고, 왜 AgCl은 물에 거의 용해되지 않는.. 2014. 11. 2.
진성 반도체와 불순물 반도체의 띠 구조 진성 반도체와 불순물 반도체의 띠 구조 --------------------------------------------------- ▶ 참고: 고체의 띠 이론 [ https://ywpop.tistory.com/3467 ] --------------------------------------------------- ▶ 진성 반도체. intrinsic semiconductor > 불순물을 첨가하지 않은 순수한 반도체 > 결정에 결함이 없는 반도체 > 불순물 원자나 결정 결함을 포함하지 않는 순수한 반도체 > 영어 머릿글자로부터 “I형 반도체”라고도 한다. ▶ 불순물 반도체. extrinsic semiconductor > 순수한 진성 반도체에 불순물(도펀트)를 소량 첨가(도핑)한 반도체 > 불순물 때문에 순수.. 2014. 10. 31.
탄소(carbon), 산소(oxygen)의 혼성 오비탈(hybrid orbital) 탄소(carbon), 산소(oxygen)의 혼성 오비탈(hybrid orbital)   ---------------------------------------------------▶ 참고: 혼성 오비탈. hybrid orbital[ https://ywpop.tistory.com/2639 ]---------------------------------------------------   [1] 탄소(carbon)의 sp3 혼성 오비탈( 예: Methane, CH4 분자에서 C의 혼성 오비탈 )     > s 오비탈 1개와 p 오비탈 3개를 혼합해서 만들었다고, sp3 혼성 오비탈이라 명명.> 홀전자를 가진 4개의 sp3 혼성 오비탈 → 4개의 시그마 결합(σ-bond) 형성.           [ .. 2014. 10. 30.
약산의 Ka와 짝염기의 Kb 사이의 관계식, conjugate acid-base pairs ★ 약산의 Ka와 짝염기의 Kb 사이의 관계식. conjugate acid-base pairs       A. 약산의 화학 평형과 Ka (acid dissociation constant)           B. (약산의) 짝염기의 화학 평형과 Kb (base dissociation constant)       [주의] B)의 CH3COO^- 이온은 A)에 나오는 CH3COO^- 이온이 아니다.CH3COONa(aq) → Na^+(aq) + CH3COO^-(aq)(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7215 )   ( 위 반응은 염기 이온화 반응이자, 또한 가수분해 반응이다. )( 염기 이온화 상수, Kb = 가수분해 상수, Kh )         C. 약산의 Ka와 짝염기.. 2014. 10. 30.
기체의 밀도와 몰질량 (몰분자량, 분자량) ★ 기체의 밀도와 몰질량 (몰분자량, 분자량)Determining the density and molar mass of a gasfrom the ideal gas law       ▶ 밀도의 정의     밀도 = 질량 / 부피 (단위: g/L)( 참고 https://ywpop.tistory.com/8460 )         From 이상 기체 방정식,     > M은 기체의 분자량 (= 몰질량).( 참고: 몰질량 https://ywpop.tistory.com/7113 )   > W는 기체의 실제 질량 (저울 등으로 측정한 또는 계산한).( 참고: PV = nRT https://ywpop.tistory.com/3097 )       n/V = P/RT 식 양변에 몰질량(g/mol), M을 곱하면 .. 2014. 10. 29.
한 벌의 양자수. a set of quantum numbers ★ 한 벌의 양자수. a set of quantum numbers   ---------------------------------------------------▶ 참고: 제6장 원자의 전자 구조.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222 ]---------------------------------------------------   [파동 방정식과 양자수]( https://ywpop.tistory.com/7108 )---> 이 글을 먼저 읽어보길 권장합니다.         [1] 주양자수 (principal quantum number, n)▶ 오비탈의 크기 결정. ‘껍질 (shell)’▶ n = 1, 2, 3, ... : 정수     ( 참고: 전자껍질의 이름이 K부터 시작.. 2014. 10. 29.
양자(quantum)와 양자 역학(quantum mechnics)에 대한 짧은 개념 양자(quantum)와 양자 역학(quantum mechnics)에 대한 짧은 개념 --------------------------------------------------- ▶ 참고: 제6장 원자의 전자 구조.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222 ] --------------------------------------------------- 양자 역학이란 학문을 설명하기 전에 먼저 양자(quantum)란 무엇일까요? 먼 그리스 시대부터 사람들은 ‘물질을 잘게 쪼개면 결국에는 어떻게 될까?’에 대해 의문을 가졌었고, 그 결과 한때나마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물질인 '원자(atom)'에 도달한다고 결론을 지었습니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 원자도 더 잘게 쪼갤 수 있다는 것이,.. 2014. 10.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