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16장] 산-염기 평형514

0.020 M H2C2O4 용액의 pH와 [C2O4^2-] 0.020 M H2C2O4 용액의 pH와 [C2O4^2-] (a) 0.020 M 옥살산(H2C2O4) 용액의 pH를 계산하시오. (Ka1 = 5.9×10^-2; Ka2 = 6.4×10^-5) (b) 이 용액에서 옥살산 이온의 농도, [C2O4^2-]를 계산하시오. --------------------------------------------------- H2C2O4의 1단계 이온화 반응식 H2C2O4(aq) + H2O(l) ⇌ H3O^+(aq) + HC2O4^-(aq) Ka1 = (x)(x) / (0.020–x) = 5.9×10^(-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294 ) 약산(H2C2O4)의 초기농도 값이 작은 편이고, 무엇보다 Ka1 값이 크기 때문에, 0.020–x.. 2019. 12. 6.
HCO3^-은 양쪽성 물질 HCO3^-은 양쪽성 물질 HCO3^-은 수용액에서 NH3나 H3O^+과 반응을 한다. 브뢴스테드-로리의 산-염기 정의를 이용하여 HCO3^-이 양쪽성 물질인 까닭을 설명해 보자. HCO3^-(aq) + NH3(aq) → CO3^2-(aq) + NH4^+(aq) HCO3^-(aq) + H3O^+(aq) → H2CO3(aq) + H2O(aq) 양쪽성 물질은 자신보다 조금 더 강한 염기(NH3)와 만나면 산이 되고, HCO3^-(aq) + NH3(aq) → CO3^2-(aq) + NH4^+(aq) ---> HCO3^- 이온은 양성자 주게 산. 자신보다 조금 더 강한 산(H3O^+)과 만나면 염기가 된다. HCO3^-(aq) + H3O^+(aq) → H2CO3(aq) + H2O(aq) ---> HCO3^- 이.. 2019. 11. 21.
HCl 용액의 pH ★ HCl 용액의 pH. 염산 용액의 pHHNO3 용액의 pH. 질산 용액의 pH       HCl은 강산이므로, 100% 이온화된다고 가정하면,HCl(aq) → H^+(aq) + Cl^-(aq)   HCl : H^+ = 1 : 1 계수비(= 몰수비 = 몰농도비) 이므로,[HCl] = [H^+]           pH = –log[H^+]( 참고: pH의 정의 https://ywpop.tistory.com/2706 )       [참고] HCl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HCl의 몰농도 = HCl의 노르말농도예) 1 M HCl 용액의 농도와 1 N HCl의 농도는 같다.       [참고] 용액은 균일 혼.. 2019. 11. 13.
NaOH 용액의 pH ★ NaOH 용액의 pH.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pHKOH 용액의 pH. 수산화칼륨 용액의 pH   ---------------------------------------------------▶ 참고: 제16장 산-염기 평형.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336 ]---------------------------------------------------   NaOH는 강염기이므로, 100% 이온화된다고 가정하면,NaOH(aq) → Na^+(aq) + OH^-(aq)   NaOH : OH^- = 1 : 1 계수비(= 몰수비 = 몰농도비) 이므로,[NaOH] = [OH^-]           pOH = –log[OH^-]pH + pOH = 14( 참고: pH의 정의 https.. 2019. 11. 13.
약산의 이온화상수와 이온화도의 관계. Ka와 α의 관계 ★ 약산의 이온화상수와 이온화도의 관계. Ka와 α의 관계 약산의 초기농도, 이온화도, 이온화상수의 관계 초기농도가 C이고 이온화도가 α인 약산의 이온화 반응식과 평형에서의 각 물질의 농도를 이온화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A^-(aq)는 약산의 짝염기 (또는 약산의 음이온) > CH3COOH(aq) ⇌ H^+(aq) + CH3COO^-(aq) 평형에서의 각 물질의 농도를 평형상수(산 이온화상수)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Ka = Cα^2 / (1–α)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1913 ) 약산의 이온화도는 1보다 매우 작기 때문에, 1–α ≒ 1 이라 근사처리하면, α = [Ka / C]^(1/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1913 .. 2019. 8. 9.
약산의 이온화 상수 식에서 물의 농도를 상수 취급하는 이유 약산의 이온화 상수 식에서 물의 농도를 상수 취급하는 이유 --------------------------------------------------- 예를 들어, 다음 예제에서, 0.01 M 약산 용액의 pH [ https://ywpop.tistory.com/7128 ] HA(aq) + H2O(l) ⇌ H3O^+(aq) + A^-(aq) [ 또는 간단히 HA(aq) ⇌ H^+(aq) + A^-(aq) ] H2O : H3O^+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고, [H3O^+] = 1×10^(-5) M 이므로, 만약 용액의 부피가 1 L라면, 반응한 물의 몰수는 1×10^(-5) mol. 반응 전 물의 몰수 = 56 mol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76 ) .. 2019. 7. 4.
약산의 Ka 값이 클수록 보다 더 강산인 이유 약산의 Ka 값이 클수록 보다 더 강산인 이유       [참고] 약산과 산 해리 상수, Ka[ https://ywpop.tistory.com/15323 ]       ▶ 약산(HA)의 이온화식HA(aq) ⇌ H^+(aq) + A^-(aq)   > 강산은 H^+ 이온을 거의 전부 내놓는 산,즉, 거의 전부 이온화되는 산.   > 약산은 H^+ 이온을 아주 조금만 내놓는 산,즉, 아주 조금만 이온화되는 산.       ▶ H^+ 이온을 더 많이 내놓는 산일수록,보다 더 강한 산이다.---> 평형에서 H^+ 이온의 양이 더 많을수록,보다 더 강한 산이다.       ▶ 약산의 이온화상수식Ka = [H^+] [A^-] / [HA]   > H^+ 이온의 양을 나타내는 [H^+]가 분자항에 있다.   .. 2019. 6. 13.
0.0302 M 인산 용액의 pH 0.0302 M 인산 용액의 pH pH of 0.0302 M H3PO4 solution. pH of 0.0302 M phosphoric acid 물에 H3PO4 10.5 g을 녹여 3550 mL로 만든 용액의 pH와 pOH는 얼마인가? --------------------------------------------------- H3PO4의 몰질량 = 97.9952 g/mol ≒ 98.00 g/mol 이므로, H3PO4 10.5 g의 몰수 = 10.5 g / (98.00 g/mol) = 0.107143 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몰농도 = 0.107143 mol / 3.550 L = 0.0302 M 인산은 3가산이므로, 다음과 같이 3단계로 이온화된다. H3.. 2019. 6. 1.
pH of 5.789 M HCl solution pH of 5.789 M HCl solution 5.789 M 염산 용액의 pH What is the pH of a 5.789 M solution of HCl? --------------------------------------------------- HCl은 강산이므로, ( 참고: 강산의 종류 https://ywpop.tistory.com/5514 ) 다음과 같이 물에서 100% 이온화된다고 가정한다. HCl(aq) → H^+(aq) + Cl^-(aq) HCl : H^+ = 1 : 1 계수비 이므로, [HCl] = [H^+] = 5.789 M [참고] HClO4, HI, HBr, HCl, HNO3와 같은 1가 강산의 경우, 산의 농도와 H^+ 이온의 농도는 같다. [강산] = [H^+] pH = –l.. 2019. 5. 24.
25℃에서 0.1 M Ca(OH)2 용액의 pH 25℃에서 0.1 M Ca(OH)2 용액의 pH(단, Ca(OH)2의 이온화도는 1이고, log2=0.3이다.)       이온화도는 1이므로, 즉 100% 이온화된다고 가정하면,Ca(OH)2(aq) → Ca^2+(aq) + 2OH^-(aq)   [OH^-] = 2 × 0.1 M = 0.2 M       pOH = –log[OH^-]= –log(0.2) = 0.7( 참고 https://ywpop.tistory.com/2706 )       또는–log(0.2)= –log(2×10^(-1))= (–log(2)) + (–log(10^-1))= (–0.3) + (1)= 0.7( 참고: 로그 계산 https://ywpop.tistory.com/11015 )       pH = 14 – pOH= 14 .. 2019. 5.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