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24023

air 21% O2 density 1.31 g/L 55 kg volume(L) air 21% O2 density 1.31 g/L 55 kg volume(L) 공기는 부피로 21% 산소를 포함하고 있다. 산소의 밀도는 1.31 g/L이다. 55 kg의 산소가 들어 있는 공기로 채워진 방의 부피는 리터 단위로 얼마인가? Air is 21% oxygen by volume. Oxygen has a density of 1.31 g/L. What is the volume, in liters, of a room that holds enough air to contain 55 kg of oxygen? 55000 g / (1.31 g/L) = 41984.7328 L O2 41984.7328 L / (21/100) = 199927.3 L air ( 참고 https://ywpop.tistory.com.. 2024. 4. 24.
NaHCO3 분해 반응식 NaHCO3 분해 반응식 탄산수소나트륨 분해 반응식 [참고] 균형 맞춘 화학 반응식 [ https://ywpop.tistory.com/9887 ] 문제 지문에 나오는 그대로 화학 반응식을 작성한다. 불균형 반응식 NaHCO3 → Na2CO3 + H2O + CO2 미정계수법으로 균형을 맞춘다. 균형 맞춘 반응식 2NaHCO3 → Na2CO3 + H2O + CO2 계수의 총합 = 2 + 1 + 1 + 1 = 5 [ 관련 글 https://ywpop.blogspot.com/2024/04/nahco3.html ] 미정계수법 NaHCO3 분해 반응식 [키워드] NaHCO3 → Na2CO3 + CO2 + H2O, NaHCO3 분해 반응식 기준, 탄산수소나트륨 분해 반응식 기준 2024. 4. 24.
0.5 N KOH로 0.2 N KOH 500 mL 만들기 0.5 N KOH로 0.2 N KOH 500 mL 만들기 M1V1 = M2V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0.5 N) (? mL) = (0.2 N) (500 mL) ? = (0.2) (500) / (0.5) = 200 mL 500 mL 부피 플라스크에 0.5 N KOH 200 mL를 가하고, 플라스크 표선까지 증류수를 가하면, 0.2 N KOH 500 mL가 된다. 2024. 4. 24.
물(H2O) 분자 0.5 mol에 들어있는 산소(O) 원자의 질량(g) 물(H2O) 분자 0.5 mol에 들어있는 산소(O) 원자의 질량(g) 0.5 mol 물(H2O) 분자에 들어있는 산소(O) 원자의 질량(g) H2O 분자 : O 원자 = 1 : 1 개수비(= 몰수비) ---> H2O의 몰수 = O의 몰수 이고, O의 몰질량 = 16 g/mol 이므로, 0.5 mol 산소(O) 원자의 질량(g)을 계산하면, 0.5 mol × (16 g/mol) = 8 g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답: 8 g [ 관련 글 https://ywpop.blogspot.com/2024/04/h-1-mol-h2o-05-mol.html ] 수소(H) 원자 1 mol이 포함된 물(H2O) 분자의 질량(g) 2024. 4. 23.
NiCO3의 산화수. NiCl2의 산화수 NiCO3의 산화수. NiCl2의 산화수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rule) [ https://ywpop.tistory.com/2719 ] [참고] CaCO3의 산화수 [ https://ywpop.tistory.com/7984 ] NiCO3 에서, CO3의 이온전하 = –2 이므로, (Ni) + (CO3) = 0 (Ni) + (–2) = 0 따라서 Ni의 이온전하 = +2. ---> 이온전하 = 산화수 NiCl2 에서, Cl의 산화수 = –1 이므로, ( Cl은 넘버 1인 F의 동족(사촌). ) (Ni) + 2(Cl) = 0 (Ni) + 2(–1) = 0 따라서 Ni의 산화수 = +2. [참고] 탄산 이온(CO3^2-)과 결합하고 있는 모든 금속의 산화수와 염화 이온(Cl^-)과 결합하고 있는 모든 .. 2024. 4. 23.
pH가 6.32인 0.2 M 인산 완충용액 200 mL 만들기 pH가 6.32인 0.2 M 인산 완충용액 200 mL 만들기 pH가 6.32인 0.2 M 인산 완충용액 200 mL를 만드는데 필요한 각 인산의 양은? (단, KH2PO4의 몰질량 = 136 g/mol, K2HPO4의 몰질량 = 174 g/mol) H2PO4^-(aq) ⇌ H^+(aq) + HPO4^2-(aq) ... Ka2 pKa2 = –log(6.2×10^(-8)) = 7.21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182 ) pH = pKa + log([짝염기]/[약산])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26 ) pH = pKa + log([A^-]/[HA]) 6.32 = 7.21 + log([A^-]/[HA]) log([A^-]/[HA]) = 6.32.. 2024. 4. 23.
DNA hydrogen bonds. DNA 수소결합 DNA hydrogen bonds. DNA 수소결합 DNA 구조에서 수소 결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염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생략함. ( 참고: 핵산 nucleic acids https://ywpop.tistory.com/5994 ) 피리미딘 염기인 티민(T)과 시토신(C)을 각각 퓨린 염기인 아데닌(A)과 구아닌(G)과 연결하는 수소 결합을 보여주는 왓슨-크릭 DNA 구조의 섹션. > 빨간색 점선이 수소 결합. Section of the Watson-Crick DNA structure showing hydrogen bonds connecting the pyrimidine bases thymine (T) and cytosine (C) with, respectively, the p.. 2024. 4. 23.
분자간 힘. Ar HCl HF CaCl2 CH4 분자간 힘. Ar HCl HF CaCl2 CH4 고체일 때 가장 중요한 형태의 입자간 힘 [참고] 분자간 힘 [ https://ywpop.tistory.com/2579 ] > Ar: London 분산력 > HCl: 쌍극자-쌍극자 힘 > HF: 수소결합 > CaCl2: 이온결합 (이것만 화학 결합)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995 ) > CH4: London 분산력 [키워드] 분자간 힘 기준 2024. 4. 23.
0.050 M NaOH 10.0 mL 0.0250 M C6H5COOH 40.0 mL 0.050 M NaOH 10.0 mL 0.0250 M C6H5COOH 40.0 mL Calculate the pH in the solution formed by adding 10.0 mL of 0.050 M NaOH to 40.0 mL of 0.0250 M benzoic acid (C6H5COOH, Ka = 6.3×10^(-5)). 각 반응물의 몰수를 계산하면, (0.050 mol/L) (10.0/1000 L) = 0.0005 mol NaOH (강염기)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0.0250) (40.0/1000) = 0.001 mol C6H5COOH (약산) “약산의 몰수 > 강염기의 몰수” 이므로, 당량점 이전. 산-염기 반응식 C6H5COOH + NaOH .. 2024. 4. 22.
table 5.4 1.0 atm He partial pressure 25℃ cm3 He atoms table 5.4 1.0 atm He partial pressure 25℃ cm3 He atoms Use the data in Table 5.4 to calculate the partial pressure of He in dry air assuming that the total pressure is 1.0 atm. Assuming a temperature of 25℃, calculate the number of He atoms per cubic centimeter. 전체 압력이 1.0 atm인 건조한 공기에서 He의 부분압 계산 25℃에서 cm3 당 He 원자의 수 계산 Table 5.4 ---> He의 몰분율 = 0.00000524 돌턴의 분압 법칙 P_He = P_tot × X_He ( 참고 http.. 2024. 4.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