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17장] 수용액 평형의 다른 관점410 0.25 M HCOOH + 0.50 M HCOONa + 0.004 mol KOH 0.25 M HCOOH + 0.50 M HCOONa + 0.004 mol KOH HCOOH의 Ka = 1.8×10^(-4) 0.25 M 폼산(HCOOH)과 0.50 M 폼산 소듐(HCOONa)을 포함하고 있는 완충 용액 250 mL가 있다. (3) 이 완충 용액에 0.004 mol KOH를 첨가하였을 때 pH를 계산하시오. (단, 첨가 시 부피 변화는 무시) --------------------------------------------------- ▶ 참고: 아세트산 완충용액에 강산 또는 강염기를 가했을 때 [ https://ywpop.tistory.com/4319 ] --------------------------------------------------- (1) 이 완충 용액의 pH를 계산하시오... 2021. 6. 11. 0.25 M HCOOH + 0.50 M HCOONa + 0.002 mol HNO3 0.25 M HCOOH + 0.50 M HCOONa + 0.002 mol HNO3 HCOOH의 Ka = 1.8×10^(-4) 0.25 M 폼산(HCOOH)과 0.50 M 폼산 소듐(HCOONa)을 포함하고 있는 완충 용액 250 mL가 있다. (2) 이 완충 용액에 0.002 mol HNO3를 첨가하였을 때 pH를 계산하시오. (단, 첨가 시 부피 변화는 무시) --------------------------------------------------- ▶ 참고: 아세트산 완충용액에 강산 또는 강염기를 가했을 때 [ https://ywpop.tistory.com/4319 ] --------------------------------------------------- (1) 이 완충 용액의 pH를 계산하시.. 2021. 6. 11. 0.25 M HCOOH + 0.50 M HCOONa 완충용액의 pH 0.25 M HCOOH + 0.50 M HCOONa 완충용액의 pHHCOOH의 Ka = 1.8×10^(-4) 0.25 M 폼산(HCOOH)과 0.50 M 폼산 소듐(HCOONa)을 포함하고 있는완충 용액 250 mL가 있다.(1) 이 완충 용액의 pH를 계산하시오. > (0.25 mol/L) (0.250 L) = 0.0625 mol HCOOH> (0.50 mol/L) (0.250 L) = 0.125 mol HCOONa Henderson-Hasselbalch 식pH = pKa + log([짝염기]/[약산])(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26 ) = –log(1.8×10^(-4)) + log(0.50 / 0.25) ... 몰농도를 대입 또는=.. 2021. 6. 11. pH 3.50 완충용액 0.1 M 포름산 400 mL 포름산소듐 pH 3.50 완충용액 0.1 M 포름산 400 mL 포름산소듐 pH 3.50의 완충용액을 만들기 위해 0.1 M 포름산 400 mL에 가해야 하는 고체 형태의 포름산소듐은 몇 g인가? 단, HCOONa의 몰질량은 68.01 g/mol이다. --------------------------------------------------- ▶ 문헌에서 찾은 포름산의 Ka > HCOOH의 Ka = 1.77×10^(-4) ... pKa = 3.7520 > HCOOH의 Ka = 1.80×10^(-4) ... pKa = 3.7447 ---> 이 값을 사용하겠다. 0.1 M 포름산 400 mL에 들어있는 포름산의 몰수를 계산하면, (0.1 mol/L) (0.400 L) = 0.04 mol 포름산 Henderson-Has.. 2021. 6. 9. 1 M Na3PO4 용액의 pH 1 M Na3PO4 용액의 pH Ka1 = 7.5×10^(-3) Ka2 = 6.2×10^(-8) Ka3 = 2.1×10^(-13) --------------------------------------------------- Na3PO4(aq) → 3Na^+(aq) + PO4^3-(aq) PO4^3-(aq) + H2O(l) ⇌ HPO4^2-(aq) + OH^-(aq) Kh = Kb = Kw / Ka = 10^(-14) / (2.1×10^(-13)) = 0.04762 Kb = (x) (x) / (C–x)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294 ) 0.04762 = x^2 / (1–x) x^2 + 0.04762x – 0.04762 = 0 근의 공식으로 x를 계산하면, ( 참고 http.. 2021. 6. 7. F^-(aq) + H2O(l) ⇌ HF(aq) + OH^-(aq) F^-(aq) + H2O(l) ⇌ HF(aq) + OH^-(aq) 다음 반응은 어느 방향으로 잘 일어나겠는가? F^-(aq) + H2O(l) ⇌ HF(aq) + OH^-(aq) --------------------------------------------------- F^-(aq) + H2O(l) ⇌ HF(aq) + OH^-(aq) 이 반응은 약산(HF)의 짝염기의 가수분해로, 극히 일부만 진행되므로, 왼쪽 방향으로 잘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HF의 Ka = 3.5×10^(-4) Kh = Kb = Kw / Ka = 10^(-14) / (3.5×10^(-4)) = 2.9×10^(-11) ---> 매우 작은 평형상수 값 ---> 역반응 우세 2021. 6. 3. 0.1 M CH3COOH 20 mL + 0.1 M NaOH 10 mL 용액의 pH 0.1 M CH3COOH 20 mL + 0.1 M NaOH 10 mL 용액의 pHKa = 1.8×10^(-5) ▶ 참고: 약산-강염기 적정. 당량점 이전[ https://ywpop.tistory.com/15931 ] > 0.1 M CH3COOH 20 mL에 들어있는 CH3COOH의 몰수= (0.1 mol/L) (20/1000 L) = 0.002 mol CH3COOH > 0.1 M NaOH 10 mL에 들어있는 NaOH의 몰수= (0.1 mol/L) (10/1000 L) = 0.001 mol NaOH 산-염기 중화반응CH3COOH(aq) + NaOH(aq) → CH3COONa(aq) + H2O(l)---> 가한 염기의 몰수만큼산의 몰수는 감소(소모)되고,짝염기(C.. 2021. 6. 2. CuI의 몰용해도 CuI의 몰용해도 --------------------------------------------------- ▶ 참고: 난용성염의 용해도 [ https://ywpop.tistory.com/2966 ] ▶ 참고: CaF2의 용해도 [ https://ywpop.tistory.com/3141 ] --------------------------------------------------- > CuI의 Ksp = 1.27×10^(-1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909 ) CuI(s) ⇌ Cu^+(aq) + I^-(aq) Ksp = [Cu^+] [I^-] = (s) (s) = s^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434 ) s = [Ksp]^(1/2) .. 2021. 6. 2. Ag2SO3의 몰용해도 Ag2SO3의 몰용해도 --------------------------------------------------- > Ag2SO3의 Ksp = 1.50×10^(-14)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909 ) Ag2SO3(s) ⇌ 2Ag^+(aq) + SO3^2-(aq) Ksp = (2s)^2 (s) = 4s^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434 ) s = [Ksp / 4]^(1/3) = [1.50×10^(-14) / 4]^(1/3) = 1.55×10^(-5) M 답: 1.55×10^(-5) M 2021. 6. 2. Zn(OH)2의 몰용해도. Ksp=1.8e-16 Zn(OH)2의 몰용해도. Ksp=1.8e-16 Zn(OH)2 포화용액 중 Zn^2+와 OH^-의 농도를 구하라. --------------------------------------------------- ▶ 참고: Ksp와 몰용해도 [ https://ywpop.tistory.com/8434 ] Zn(OH)2 ⇌ Zn^2+(aq) + 2OH^-(aq) Ksp = [Zn^2+][OH^-]^2 = (s) (2s)^2 = 4s^3 s = [Ksp / 4]^(1/3) = [(1.8×10^(-16)) / 4]^(1/3) = 3.6×10^(-6) M = [Zn^2+] = [Zn(OH)2] ---> Zn(OH)2의 몰용해도 [OH^-] = 2 × (3.6×10^(-6)) = 7.2×10^(-6) M [ 관련 예제 .. 2021. 5. 29.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4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