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17장] 수용액 평형의 다른 관점410 Hg2Cl2의 몰용해도. Ksp = 1.2×10^(-18) Hg2Cl2의 몰용해도. Ksp = 1.2×10^(-18) --------------------------------------------------- ▶ 참고: 난용성염의 용해도 [ https://ywpop.tistory.com/2966 ] --------------------------------------------------- Hg2Cl2(s) ⇌ Hg2^2+(aq) + 2Cl^-(aq)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425 ) Ksp = [Hg2^2+] [Cl^-]^2 1.2×10^(-18) = (s) (2s)^2 = 4s^3 s = [(1.2×10^(-18)) / 4]^(1/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434 ) = 6.7×10^(-.. 2021. 8. 25. ICE 도표로. HA 0.40 M 80.0 mL + 0.30 M NaOH 30.0 mL 용액의 pH ICE 도표로. HA 0.40 M 80.0 mL + 0.30 M NaOH 30.0 mL 용액의 pH 약산인 HA 0.40 M 80.0 mL를 0.30 M NaOH 30.0 mL 용액과 섞을 때 pH 단, HA의 Ka = 1.7×10^(-8) --------------------------------------------------- ▶ 참고: ICE 도표로 완충용액의 pH 계산 [ https://ywpop.tistory.com/8125 ] --------------------------------------------------- > 0.40 M HA 80.0 mL에 들어있는 HA의 몰수 = (0.40 mol/L) (80.0/1000 L) = 0.032 mol ( 참고 https://ywpop.tisto.. 2021. 8. 24. 0.050 M NaI + AgI의 몰용해도. Ksp = 1.5×10^(-16) 0.050 M NaI + AgI의 몰용해도. Ksp = 1.5×10^(-16) --------------------------------------------------- ▶ 참고: 난용성염의 용해도 [ https://ywpop.tistory.com/2966 ] ▶ 참고: CaF2의 용해도 [ https://ywpop.tistory.com/3141 ] --------------------------------------------------- NaI(aq) → Na^+(aq) + I^-(aq) [NaI] = [I^-] = 0.050 M AgI(s) ⇌ Ag^+(aq) + I^-(aq) Ksp = [Ag^+] [I^-] 1.5×10^(-16) = (s) (s+0.050) s AgI의 몰질량 = 234.77.. 2021. 8. 24. AgI의 몰용해도. Ksp = 1.5×10^(-16) AgI의 몰용해도. Ksp = 1.5×10^(-16) --------------------------------------------------- ▶ 참고: 난용성염의 용해도 [ https://ywpop.tistory.com/2966 ] ▶ 참고: CaF2의 용해도 [ https://ywpop.tistory.com/3141 ] --------------------------------------------------- ▶ 순수한 물에서 AgI의 몰용해도(s) AgI(s) ⇌ Ag^+(aq) + I^-(aq) Ksp = [Ag^+] [I^-] 1.5×10^(-16) = (s) (s) = s^2 s = [ 1.5×10^(-16) ]^(1/2) = 1.2×10^(-8) M 답: 1.2×10^(-8) M [참고.. 2021. 8. 24. AgBr의 몰용해도. Ksp = 5.0×10^(-13) AgBr의 몰용해도. Ksp = 5.0×10^(-13) AgBr의 몰용해도 단, AgBr의 Ksp = 5.0×10^(-13) --------------------------------------------------- ▶ 참고: 용해도곱 상수, Ksp [ https://ywpop.tistory.com/2966 ] --------------------------------------------------- AgBr(s) ⇌ Ag^+(aq) + Br^-(aq) Ksp = [Ag^+] [Br^-] = (s) (s) = s^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434 ) s = (Ksp)^(1/2) = (5.0×10^(-13))^(1/2) = 7.0711×10^(-7) M ---> AgB.. 2021. 8. 23. 당량점 이전. 0.40 M HA 80.0 mL + 0.30 M NaOH 30.0 mL 용액의 pH 당량점 이전. 0.40 M HA 80.0 mL + 0.30 M NaOH 30.0 mL 용액의 pH Ka = 1.7×10^(-8) --------------------------------------------------- ▶ 참고: 약산-강염기 적정. 당량점 이전 [ https://ywpop.tistory.com/15931 ] > 0.40 M HA 80.0 mL에 들어있는 HA의 몰수 = (0.40 mol/L) (80.0/1000 L) = 0.032 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 0.30 M NaOH 20.0 mL에 들어있는 NaOH의 몰수 = (0.30) (30.0/1000) = 0.009 mol “약산의 몰수 > 강염기의 몰수” 이므로, 당량점 이전. .. 2021. 8. 22. 0.050 M NaCN 용액의 pH 0.050 M NaCN 용액의 pH 단, HCN의 Ka = 6.2×10^(-10) --------------------------------------------------- NaCN은 가용성염이므로, 물에서 100% 이온화된다고 가정하면, NaCN(aq) → Na^+(aq) + CN^-(aq) [NaCN] = [CN^-] = 0.050 M CN^- 이온은 약산(HCN)의 짝염기이므로, 비교적 강한 염기. ---> 물과 가수분해 반응이 일어나서, OH^- 이온 생성. ( 참고 https://ywpop.tistory.com/6264 ) 가수분해 평형에서의 농도와 평형상수 식을 나타내면, CN^-(aq) + H2O(l) ⇌ HCN(aq) + OH^-(aq) 0.050–x ...................... 2021. 8. 20. 산성 용액에서 용해도가 증가하는 난용성염. Zn(OH)2 PbF2 산성 용액에서 용해도가 증가하는 난용성염. Zn(OH)2 PbF2 의 고체 중에서 물에서보다 산성 용액에서 용해도가 증가하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Zn(OH)2, PbF2, BaSO4 --------------------------------------------------- Zn(OH)2(s) ⇌ Zn^2+(aq) + 2OH^-(aq) OH^-(aq) + H^+(aq) → H2O(l) ---> 용해도 증가. PbF2(s) ⇌ Pb^2+(aq) + 2F^-(aq) F^-(aq) + H2O(aq) → HF(aq) + OH^-(aq) ---> F^-는 약산인 HF의 짝염기이므로, 비교적 강한 염기. ---> 가수분해 반응이 일어난다. OH^-(aq) + H^+(aq) → H2O(l) ---> 용해도 증가. .. 2021. 8. 9. 요오드화 납(PbI2)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4.0×10^(-5) M 요오드화 납(PbI2)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4.0×10^(-5) M 요오드화 납(PbI2)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4.0×10^(-5) M이라고 가정하자. 요오드화 납의 용해도곱 상수는? --------------------------------------------------- ▶ 참고: Ksp와 몰용해도 [ https://ywpop.tistory.com/8434 ] PbI2(s) ⇌ Pb^2+(aq) + 2I^-(aq) Ksp = [Pb^2+] [I^-]^2 = (s) (2s)^2 ( s: 몰용해도 ) = (4.0×10^(-5)) × (2×4.0×10^(-5))^2 = 2.56×10^(-13) 답: 2.6×10^(-13) [키워드] 몰용해도로 용해도곱상수 계산 기준문서, 몰용해도로 Ksp 계산 기준문.. 2021. 8. 9. NH3 완충용액 250.0 mL에 HCl 0.0100 mol 첨가한 후 pH NH3 완충용액 250.0 mL에 HCl 0.0100 mol 첨가한 후 pH 다음 완충용액 250.0 mL에 기체 HCl 0.0100 mol을 첨가한 후 pH를 계산하라. 0.50 M NH3 + 1.50 M NH4Cl 단, NH3의 Kb = 1.75×10^(-5) --------------------------------------------------- > NH3의 몰수 = (0.50 mol/L) (250.0/1000 L) = 0.125 mol > NH4Cl의 몰수 = (1.50 mol/L) (250.0/1000 L) = 0.375 mol NH3 완충용액에 강산을 가하면, H^+(aq) + NH3(aq) → NH4^+(aq)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442 ) 가한 강산.. 2021. 8. 9.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4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