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g KHP 0.1 M NaOH 용액 적정 당량점 pH NaOH 부피
KHP 0.5 g + 증류수 45 mL 용액을
0.1 M NaOH 용액으로 적정할 때
당량점에서의 pH와 가해준 NaOH의 부피를 구하시오.
------------------------
[참고] KHP와 NaOH의 산-염기 중화반응
[ https://ywpop.tistory.com/8263 ]
KHP의 몰질량 = 204.22 g/mol 이므로,
0.5 g KHP의 몰수를 계산하면,
0.5 g / (204.22 g/mol)
= 0.00244834 mol
KHP(aq) + NaOH(aq) → KNaP(aq) + H2O(l)
KHP : NaOH = 1 : 1 반응하므로,
( KHP reacts with NaOH in 1:1 molar ratio )
NaOH의 몰수 = KHP의 몰수 = 0.00244834 mol
0.00244834 mol NaOH를 포함하는
0.1 M NaOH 용액의 부피를 계산하면,
0.00244834 mol / (0.1 mol/L)
= 0.0244834 L
= 24.48 mL
약산-강염기 적정이므로,
당량점에서 약산의 짝염기의 가수분해 결과,
OH^-가 생성된다.
---> 당량점에서의 pH > 7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736 )
KHP와 NaOH의 산-염기 중화반응의
알짜 이온 반응식
HP^-(aq) + OH^-(aq) → P^2-(aq) + H2O(l)
P^2-의 가수분해 반응식
P^2-(aq) + H2O(l) ⇌ HP^-(aq) + OH^-(aq)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502 )
> phthalic acid의 Ka1 = 1.3×10^(-3)
> phthalic acid의 Ka2 = 3.9×10^(-6)
( 핸드북 또는 구글 검색 자료 )
Kh = Kb = Kw / Ka
= (1.0×10^(-14)) / (3.9×10^(-6))
= 2.5641×10^(-9)
P^2-의 몰농도
= 0.00244834 mol / ((45 + 24.48) / 1000 L)
= 0.035238 M
Kb = x^2 / (C–x)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294 )
C–x ≒ C 라 근사처리하면,
Kb = x^2 / C
x = (Kb × C)^(1/2)
= (2.5641×10^(-9) × 0.035238)^(1/2)
= 9.50546×10^(-6) M = [OH^-]
pH = 14 – pOH
= 14 – (–log[OH^-])
= 14 – (–log[9.50546×10^(-6)])
= 8.98
답: 24.48 mL, 8.98
[키워드] KHP + NaOH 반응 기준, KHP + NaOH 중화 기준, KHP + NaOH 적정 기준, KHP + NaOH 반응 사전, KHP + NaOH 중화 사전, KHP + NaOH 적정 사전, phthalic acid의 Ka 기준, phthalic acid의 Ka dic
'일반화학 > [16장] 산-염기 평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합물 수용액이 산성인지 염기성인지 중성인지 구분 (1) | 2025.03.31 |
---|---|
가수분해하여 산성을 나타내는 것. NH4Cl NH4NO3 (5) | 2025.02.09 |
이온화도 0.01인 0.1 N HCl 용액의 pH (6) | 2025.01.01 |
0.2 M 아세트산 용액의 [H^+] (0) | 2024.11.28 |
0.10 M HCOOH 용액의 pH (0) | 2024.11.23 |
0.30 M HCOOH 용액의 pH (0) | 2024.11.23 |
0.1 M Na3PO4 용액 50 mL + 0.2 M HCl 용액 50 mL 중화 반응 (2) | 2024.11.16 |
약산 HA 산 해리 상수(Ka) 25℃ 1×10^(-5) pH 6 (0) | 2024.10.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