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24654

방전극 집진극 거리 6 cm 배출가스 유속 1.5 m/sec 이동속도 8 cm/sec 방전극 집진극 거리 6 cm 배출가스 유속 1.5 m/sec 이동속도 8 cm/sec     평판형 전기집진장치에서방전극과 집진극과의 거리가 6 cm,배출가스의 유속이 1.5 m/sec,입자가 집진극으로 이동하는 속도(겉보기 이동속도)가 8 cm/sec 일 때이 입자를 100% 제거하기 위한 집진장치의 이론적인 길이는?(단, 층류영역 기준)     평판형 전기집진기의 방전극과 집진극과의 거리가 6 cm,배출가스의 유속이 1.5 m/sec,입자의 집진극으로 이동속도가 8 cm/sec 일 때이 입자를 100% 제거하기 위한 이론적인 집진기의 길이는?(단, 층류영역 기준)① 0.815 m② 0.925 m③ 1.125 m④ 1.250 m       집진판의 길이(m) = d × (V_g / W)> d: 집진.. 2024. 11. 29.
탄소 85%, 소수 13%, 황 2% 중유 공기비 1.4 건연고 가스 SO2 부피분율 탄소 85%, 소수 13%, 황 2% 중유 공기비 1.4 건연고 가스 SO2 부피분율     탄소 85%, 소수 13%, 황 2% 인 중유를공기비 1.4로 연소시킬 때건연고 가스 중의 SO2 부피분율(%)은?     탄소 85%, 수소 13%, 황 2% 인 중유를공기비 1.4 로 연소 시킬 때건 연소 가스중의 SO2 부피분율(%)은?① 약 0.09② 약 0.18③ 약 0.21④ 약 0.32       [이론 공기량, Ao 계산]Ao = [1.867×(%C) + 5.6×(%H) + 0.7×(%S)] / 0.21= [1.867×(85/100) + 5.6×(13/100) + 0.7×(2/100)] / 0.21= 11.09 m3       [실제 건조 배기 가스량, Gd 계산]Gd = Ao×공기비 – 5.. 2024. 11. 29.
배출가스 분석 용량비 질소 86%, 산소 4%, 이산화탄소 10% 공기비 배출가스 분석 용량비 질소 86%, 산소 4%, 이산화탄소 10% 공기비     굴뚝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분석하였더니용량비로 질소 86%, 산소 4%, 이산화탄소 10%의 결과치를 얻었다면 이때 공기비는 약 얼마인가?① 1.2② 1.5③ 1.7④ 1.9       [참고] 공기비(m) 계산 공식[ https://ywpop.blogspot.com/2024/07/m.html ]       m = N2 / [N2 – 3.76(O2 – 0.5CO)]= 86 / [86 – 3.76(4 – 0.5(0))]= 1.21       답: ① 1.2         [키워드] 공기비 계산 기준, 공기비 계산 공식 기준 2024. 11. 29.
비열 0.4 J/g•℃ 물질 200 g 가열 온도 10℃ 상승 비열 0.4 J/g•℃ 물질 200 g 가열 온도 10℃ 상승     비열이 0.4 J/g•℃인 물질 200 g을 15분 동안 가열하여온도가 10℃ 올랐을 때 가해준 열량은?       q = C m Δt(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97 )   = (0.4 J/g•℃) (200 g) (10 ℃)= (0.4) (200) (10)= 800 J       답: 800 J         [키워드] 열용량과 비열 기준 2024. 11. 29.
250 Sm3/h 배출가스 중 2500 ppm SO2를 탄산칼슘으로 제거 250 Sm3/h 배출가스 중 2500 ppm SO2를 탄산칼슘으로 제거     250 Sm3/h의 배출가스를 배출하는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SO2를탄산칼슘으로 이론적으로 완전 제거하고자 한다.이때 필요한 탄산칼슘의 양(kg/h)은?(단, 배출가스 중의 SO2 농도는 2500 ppm이고,이론적으로 100% 반응하며, 표준상태 기준)       배출가스 중 SO2의 부피를 계산하면,250 Sm3 × (2500 / 10^6) = 0.625 Sm3 SO2       [참고] (0.625 / 250) × 10^6 = 2500 ppm( 참고: ppm https://ywpop.tistory.com/2657 )       > CaCO3의 몰질량 = 100.0869 ≒ 100 g/mol       SO2 +.. 2024. 11. 28.
많은 석탄 기체화 공정들은 탄소와 수증기로 합성가스를 생성 많은 석탄 기체화 공정들은 탄소와 수증기로 합성가스를 생성     많은 석탄 기체화 공정들은 탄소와 수증기로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것에서 시작한다.C(s) + H2O(g) ⇌ CO(g) + H2(g) ... ΔH°_반응 = 131 kJ/mol   25℃에서 Kp가 겨우 9.36×10^(-17)임을 알고 있는 공학자가수득률이 더 높은 온도를 찾으려 한다. 700.℃에서의 Kp를 구하라.       반트호프 식. van’t Hoff equationln(K_2 / K_1) = (ΔH° / R) (1/T_1 – 1/T_2)( 참고 https://ywpop.tistory.com/13022 )( R = 8.314 J/mol•K )       > T_1 = 273 + 25 = 298 K> T_2 = 273 + 7.. 2024. 11. 28.
redox balance. C6H8O6 + I3^- → C6H8O7 + I^- (acidic) redox balance. C6H8O6 + I3^- → C6H8O7 + I^- (acidic)redox balance. C6H8O6 + I3^- + H2O → C6H8O7 + I^- + H^+ (acidic)       [참고] 산화-환원 반응 균형 맞추기 (산성 용액)[ https://ywpop.tistory.com/4264 ]       용매(H2O), 산 촉매(H^+)를 제거해서,반응식을 간단하게 만든다.C6H8O6 + I3^- → C6H8O7 + I^-       1. 반쪽 반응식 나누기산화: C6H8O6 → C6H8O7 (C의 산화수는 +2/3에서 +1로 증가, C6H8O6는 산화됨.)( 참고: C6H8O6, C6H8O7의 산화수 https://ywpop.tistory.com/10241 .. 2024. 11. 28.
redox balance. H4XeO6 + NO → XeO3 + NO3^- (basic) redox balance. H4XeO6 + NO → XeO3 + NO3^- (basic)     What is the balanced chemical reactionfor the following under basic conditions:H4XeO6 + NO → XeO3 + NO3^-       [참고] 산화-환원 반응 균형 맞추기 (염기성 용액)[ https://ywpop.tistory.com/6321 ]       1. 반쪽 반응식 나누기산화: NO → NO3^- (N의 산화수는 +2에서 +5로 증가, NO는 산화됨.)환원: H4XeO6 → XeO3 (Xe의 산화수는 +8에서 +6으로 감소, H4XeO6는 환원됨.)( 참고: H4XeO6 XeO3 산화수 https://ywpop.tistory.c.. 2024. 11. 28.
H4XeO6의 산화수. XeO3의 산화수 H4XeO6의 산화수. XeO3의 산화수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rule)[ https://ywpop.tistory.com/2719 ]       H4XeO6 에서,H의 산화수 = +1 (넘버 2) 이고,O의 산화수 = –2 (넘버 3) 이므로,4(H) + (Xe) + 6(O) = 04(+1) + (Xe) + 6(–2) = 0     따라서Xe의 산화수 = +8.         XeO3 에서,O의 산화수 = –2 (넘버 3) 이므로,(Xe) + 3(O) = 0(Xe) + 3(–2) = 0     따라서Xe의 산화수 = +6.         [키워드] H4XeO6의 산화수 기준, XeO3의 산화수 기준 2024. 11. 28.
0.2 M 아세트산 용액의 [H^+] 0.2 M 아세트산 용액의 [H^+]단, Ka = 2×10^(-5)       Ka = (x) (x) / (C–x)( 참고 https://ywpop.tistory.com/4294 )       C–x ≒ C 라 근사처리하면,x = [Ka × C]^(1/2)= [2×10^(-5) × 0.2]^(1/2)= 0.002 M = [H^+]       답: 2×10^(-3) M         [키워드] 약산의 초기농도 기준 2024. 11.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