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원소(연소)분석312

연소 분석 실험에서 건조한 공기(O2)를 사용하는 이유 연소 분석 실험에서 건조한 공기(O2)를 사용하는 이유 원소 분석 실험에서 건조한 공기(O2)를 사용하는 이유 --------------------------------------------------- 화합물을 구성하는 수소(H)의 질량은 화합물을 연소시켰을 때 생성되는 물(H2O)의 질량으로부터 결정합니다. ( 화합물을 구성하는 H가 전부 H2O로 변했기 때문에... ) 이때 물의 질량은 흡수제의 질량 변화(증가)로 결정합니다. ( 연소 전/후 흡수제의 질량 측정 ) 그런데 만약 공기 중에 물(H2O)이 포함되어있다면, 흡수제는 화합물을 연소시켰을 때 생성되는 물(H2O) 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 포함된 물(H2O)까지 모두 흡수하기 때문에, 이 경우, 흡수제의 질량 변화(증가)로는, 더 이상, 화합.. 2017. 5. 12.
연소분석. C, H, O로 이뤄진 화합물 45 g 완전 연소 연소분석. C, H, O로 이뤄진 화합물 45 g 완전 연소 C, H, O로 이뤄진 화합물 45 g 완전 연소시, 생성된 CO2 질량이 66 g, H2O 질량이 27 g일 때, 이 화합물의 실험식을 구하시오. ----------------------------------------- [ 연소분석장치 설명 http://ywpop.tistory.com/3349 ] [ 풀이 과정 설명 http://ywpop.tistory.com/3116 ] 1) 각 원자의 질량 계산 C 질량 = 66 × (12 / 44) = 18 g H 질량 = 27 × (2 / 18) = 3 g O 질량 = 45 - (18 + 3) = 24 g 2) 각 원자의 몰수 계산 C 몰수 = 18 / 12 = 1.5 mol H 몰수 = 3 / 1 .. 2017. 5. 7.
연소분석. 실험식과 시료의 질량으로부터 H2O, CO2 질량 계산 연소분석. 실험식과 시료의 질량으로부터 H2O, CO2 질량 계산 그림과 같은 원소 분석 장치에 실험식이 CH2O인 화합물 X 60 mg을 넣고 완전 연소시켰다. 연소 후 A와 B에서 증가한 질량은 얼마인가? (단, 원자량은 C=12, H=1, O=16이다.) ----------------------------------------- CH2O의 실험식량 = (12) + 2(1) + (16) = 30 이므로, C의 질량 퍼센트 = (12 / 30) × 100 = 40.0% H의 질량 퍼센트 = (2 / 30) × 100 = 6.7% 화합물 X 60 mg에 포함된 C와 H의 질량을 계산하면, C의 질량 = 60 mg × 40.0% = 24 mg H의 질량 = 60 mg × 6.7% = 4 mg C의 질량 =.. 2017. 5. 6.
몰수비의 가장 작은 정수비 구하는 방법 몰수비의 가장 작은 정수비 구하는 방법 ----------------------------------------- 예를 들어, Fe 원자와 O 원자의 몰수비가 다음과 같다면, Fe : O = 1.29 : 1.75 [1 단계] 가장 작은 몰수로 각 몰수를 나눈다. Fe : O = 1.29/1.29 : 1.75/1.29 = 1 : 1.36 ---> 가장 작은 몰수는 1이 된다. [2 단계] 다른 몰수도 거의 정수가 되도록, ×2, ×3, ×4,...씩 곱해본다. ① 2를 곱하면, Fe : O = 1 : 1.36 = 2 : 2.72 ② 3을 곱하면, Fe : O = 1 : 1.36 = 3 : 4.08 ≒ 3 : 4 이처럼, 3.9 초과 ~ 4.1 미만 사이의 값이 나오면, 4라고 간주하고, 계산을 종료한다. .. 2017. 5. 6.
연소분석. 화합물 4.50 g을 태워서 6.60 g CO2와 2.70 g H2O 연소분석. 화합물 4.50 g을 태워서 6.60 g CO2와 2.70 g H2O 탄소, 수소, 산소로 이루어진 화합물 4.50 g을 태워서 이산화탄소 6.60 g과 물 2.70 g을 얻었다. 이 화합물의 분자량이 60.0일 때 분자식을 구하시오. An unknown compound contains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CxHyOz). Combustion of 4.50 g of this compound produced 6.60 g of carbon dioxide and 2.70 g of water. ----------------------------------------- [ 연소분석장치 설명 http://ywpop.tistory.com/3349 ] [ 풀이 과정 .. 2017. 4. 26.
실험식. 수은과 산소로만 이루어진 두 가지 화합물 실험식. 수은과 산소로만 이루어진 두 가지 화합물 수은과 산소로만 이루어진 두 가지 화합물이 있다. 가열을 하면 두 물질 모두 분해되어 산소는 대기 중으로 날아가고 수은만 남는다. 한 물질 0.6498 g을 가열하였더니 0.6018 g의 수은이 남았다. 다른 물질 0.4172 g을 가열하였더니 질량이 0.016 g 감소하였다. 각 화합물의 실험식을 구하라. There are two binary compounds of mercury and oxygen. Heating either of them results in the decomposition of the compound, with oxygen gas escaping into the atmosphere while leaving a residue of pu.. 2017. 4. 24.
원소분석. 실험식. CH2O 원소분석. 실험식. CH2O 화합물을 이루는 구성 원소들의 질량 백분율이 다음과 같을 때, 탄소 40%, 수소 6.71%, 산소 53% C 40%, H 6.71%, O 53.29% 이 화합물의 실험식량은? (원자량 C=12, H=1, O=16) ----------------------------------------- [ 풀이 과정 설명 http://ywpop.tistory.com/64 ] 1) 시료의 질량을 100 g이라 가정하면, 각 원자의 질량은 C 질량 = 40 g H 질량 = 6.71 g O 질량 = 53 g 2) n = W / M 이므로, 각 원자의 몰수는 C 몰수 = 40 / 12 = 3.3333 mol H 몰수 = 6.71 / 1 = 6.71 mol O 몰수 = 53 / 16 = 3.312.. 2017. 4. 24.
원소 분석. 염화수은의 실험식 원소 분석. 염화수은의 실험식 어떤 화합물 5.276 g은 3.989 g의 수은과 그 외에 염소로 조성되어 있다. 이 염화수은의 실험식을 구하시오. (Hg=200.59, Cl=35.45) ----------------------------------------- Hg 질량 = 3.989 g Cl 질량 = 5.276 - 3.989 = 1.287 g Hg 몰수 = 3.989 g / (200.59 g/mol) = 0.019886 mol Cl 몰수 = 1.287 g / (35.45 g/mol) = 0.036305 mol Hg : Cl = 0.019886/0.019886 : 0.036305/0.019886 = 1 : 1.8257 = 6 : 10.954 ≒ 6 : 11 실험 결과 자료만 보면 Hg6Cl11이 답이어.. 2017. 4. 20.
나일론의 원료인 화합물 A의 실험식과 분자식 나일론의 원료인 화합물 A의 실험식과 분자식 나일론의 원료인 화합물 A는 탄소, 수소, 질소로만 이루어져 있다. 화합물 A 6.315 g을 연소시키면, H2O 7.832 g, CO2 14.36 g이 발생한다. 이 화합물의 분자량이 116.2일 때, 이 화합물의 실험식과 분자식을 구하시오. (C=12.01, N=14.01, H=1.01, O=15.99) Hexamethylenediamine (MM = 116.2 g/mol), a compound made up of carbon, hydrogen, and nitrogen atoms, is used in the production of nylon. When 6.315 g of hexamethylenediamine is burned in oxygen, 14.36.. 2017. 4. 20.
K 24.75% Mn 34.77% O 40.51% 실험식 K 24.75% Mn 34.77% O 40.51% 실험식 How do you determine the empirical formula of a compound having the following percent composition by mass? K: 24.75% Mn: 34.77% O: 40.51% ▶ 참고: 원소분석 [ https://ywpop.tistory.com/64 ] 시료의 질량을 100 g이라 가정하면, 각 성분의 질량 조성 백분율 = 각 성분의 질량 > K의 질량 = 24.75 g > Mn의 질량 = 34.77 g > O의 질량 = 40.51 g [1] 몰질량을 사용하여 몰수 계산 ( 참고: n=W/M https://ywpop.tistory.com/7738 ) > K의 몰수 = 24.75.. 2017. 4.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