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14장] 화학반응 속도론128 반응온도 25℃에서 35℃ 증가, 반응속도 2배. 활성화 에너지 계산 반응온도 25℃에서 35℃ 증가, 반응속도 2배. 활성화 에너지 계산 --------------------------------------------------- 아레니우스 식. 속도 상수의 온도 의존성 ln(k_2 / k_1) = Ea/R (1/T_1 – 1/T_2) ( R = 8.314 J/K•mol )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288 ) > T_1 = 273 + 25 = 298 K, k_1 = 1 > T_2 = 273 + 35 = 308 K, k_2 = 2 Ea = [ln((k_2) / (k_1)) × 8.314] / [(1/T_1) – (1/T_2)] = [ln(2 / 1) × 8.314] / [(1/298) – (1/308)] = 52894 J/mol = 53 k.. 2022. 10. 3. 1차 반응 50% 진행 100초 87.5% 진행 1차 반응 50% 진행 100초 87.5% 진행 어떤 1차 반응이 50% 진행되는데 100초가 걸렸다. 이 반응이 87.5%가 진행되려면 얼마나 걸리겠는가? --------------------------------------------------- 1차 반응 속도식 ln(C_t / C_0) = –k•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 ) C_0 = 100 일 때, C_t = 100 – 50 = 50 ln(C_t / C_0) = –k•t k = –ln(50 / 100) / (100 s) = 0.00693 /s C_0 = 100 일 때, C_t = 100 – 87.5 = 12.5 ln(C_t / C_0) = –k•t t = –ln(12.5 / 100) / (0.00693 /s).. 2022. 9. 30. 1차 반응 A → 생성물 14.2 h 55.0% 반응 1차 반응 A → 생성물 14.2 h 55.0% 반응 일반적인 1차 반응 ‘A → 생성물’ 에서 14.2 h 후에 55.0% 반응하였다. a) h^-1 단위로 속도 상수의 값은 얼마인가? b) A가 85.0% 반응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얼마인가? For a general first-order reaction, A → Products, 55.0% of A has reacted after 14.2 hours. a) What is the value of the rate constant in units of h^-1? b) How long will it take for 85.0% of A to react? --------------------------------------------------- 1차 반응 속도.. 2022. 9. 28. 1차 반응 A → 생성물 14.2 h 62.0% 반응 1차 반응 A → 생성물 14.2 h 62.0% 반응 일반적인 1차 반응 ‘A → 생성물’ 에서 14.2 h 후에 62.0% 반응하였다. a) h^-1 단위로 속도 상수의 값은 얼마인가? b) A가 88.0% 반응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얼마인가? For a general first-order reaction, A → Products, 62.0% of A has reacted after 14.2 hours. a) What is the value of the rate constant in units of h^-1? b) How long will it take for 88.0% of A to react? --------------------------------------------------- 1차 반응 속도.. 2022. 9. 28. 몇차 반응. 1차 반응인가 2차 반응인가 몇차 반응. 1차 반응인가 2차 반응인가 다음 반응에서 1/[BrO^-]를 시간에 대해서 도시하면 직선의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다음 반응은 BrO^-에 대해서 몇 차 반응인가? 3BrO^-(aq) → BrO3^-(aq) + 2Br^-(aq) --------------------------------------------------- A → P 반응이든, A + B → P 반응이든, A → P + C 반응이든, A + B → P + C 반응이든, 반응식의 유형은 아무 상관없다. 가령, A → P 반응에서, 1차 반응은 ln[A] vs. t 그래프가 직선이고,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 ) 2차 반응은 1/[A] vs. t 그래프가 직선이므로, ( 참고 https://y.. 2022. 9. 14. 700 K에서 Kc = 57. H2(g) + I2(g) ⇌ 2HI(g). ΔH > 0 700 K에서 Kc = 57. H2(g) + I2(g) ⇌ 2HI(g). ΔH > 0 다음 반응은 700 K에서 평형상수 Kc = 57이다. 이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정반응의 속도 상수 = k_f, 역반응의 속도 상수 = k_r H2(g) + I2(g) ⇌ 2HI(g) ... ΔH > 0 --------------------------------------------------- 1) Kc와 Kp는 동일하다. 반응물 계수의 합 = 생성물 계수의 합 = 2 ---> Kc = Kp ( 참고 https://ywpop.tistory.com/6523 ) 2) ΔH > 0 ---> 흡열 반응.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242 ) 주위에서 계로 에너지가 이동하여.. 2022. 9. 7. 살충제 헵타클로르 600 g 100000 m3 1차 반응 반감기 2일 6일 후 농도 살충제 헵타클로르 600 g 100000 m3 1차 반응 반감기 2일 6일 후 농도 살충제 헵타클로르 600 g이 우발적으로 100,000 m3의 호수에 유출되었다. 만약 이 살충제가 1차반응으로 분해되고 반감기가 2일이라면 6일 후 농도는? (다만, 호수는 완전 혼합된다고 가정하고 다른 유입 및 유출수는 없다) --------------------------------------------------- t_1/2 = 0.693 / k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 ) k = 0.693 / t_1/2 = 0.693 / 2 = 0.3465 /d ln(C_t / C_0) = –k•t ln(C_t / 600 g) = –(0.3465 /d) (6 d) C_t / 600 = e^[–.. 2022. 6. 29. 1차 반응은 50분 후에 40% 완료 1차 반응은 50분 후에 40% 완료 1차 반응은 50분 후에 40% 완료된다. sec-1의 속도 상수 값은 얼마인가? 몇 분 안에 80% 반응이 완료되나? --------------------------------------------------- A → P 반응에서, 40% 완료되면, 남아있는 A는 60%이므로, C_0 = 100 이면, C_t = 60 ln(C_t / C_0) = –k•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 ) k = –ln(C_t / C_0) / t = –ln(60 / 100) / (50×60 sec) = 0.00017 /sec 80% 완료되면, 남아있는 A는 20%이므로, C_0 = 100 이면, C_t = 20 t = –ln(C_t / C_0) / k .. 2022. 6. 17. rate constant 200℃ 300℃ 7.85×10^(-3) 5.72×10^(-2) activation energy rate constant 200℃ 300℃ 7.85×10^(-3) 5.72×10^(-2) activation energy 촉매상에서 어떤 물질의 탈착반응상수가 200℃와 300℃에서 각각 7.85×10^(-3) L mol-1 s-1, 5.72×10^(-2) L mol-1 s-1이다. 이 탈착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를 구하시오. --------------------------------------------------- > T_1 = 273 + 200 = 473 K > k_1 = 7.85×10^(-3) L/mol•s = 0.00785 > T_2 = 273 + 300 = 573 K > k_2 = 5.72×10^(-2) L/mol•s = 0.0572 아레니우스 식 ln(k_2 / k_1) = Ea/R (1/T_1.. 2022. 6. 16. 184 kJ/mol Pt 59 kJ/mol 500 K 1000 K rate ratio 184 kJ/mol Pt 59 kJ/mol 500 K 1000 K rate ratio The activation energy of HI decomposition reaction 2HI → H2 + I2 is 184 kJ/mole for no catalyst reaction and 59 kJ/mole for using a Pt catalyst. Assuming that the pre-exponential factor (A) is the same, find the rate ratio of catalytic and non-catalytic reactions at 500 K and 1000 K. --------------------------------------------------- k = Ae^(–Ea/R.. 2022. 6. 16. 이전 1 ··· 3 4 5 6 7 8 9 ··· 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