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14장] 화학반응 속도론128 120. s 1.00 M PH3 0.250 M 2.00 M PH3 0.350 M 120. s 1.00 M PH3 0.250 M 2.00 M PH3 0.350 M 포스핀(PH3) 분해 반응의 속도 법칙은 다음과 같고, 속도 = –Δ[PH3] / Δt = k[PH3] 1.00 M PH3가 0.250 M로 감소하는데 120. 초가 걸린다. 2.00 M PH3가 0.350 M의 농도로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얼마인가? The rate law for the decomposition of phosphine (PH3) is Rate = –Δ[PH3] / Δt = k[PH3] It takes 120. s for 1.00 M PH3 to decrease to 0.250 M. How much time is required for 2.00 M PH3 to decrease to a concentrati.. 2020. 9. 19. HI(g) H2(g) I2(g) 186 kJ/mol 555 K 3.52×10^(-7) L/mol•s 645 K HI(g) H2(g) I2(g) 186 kJ/mol 555 K 3.52×10^(-7) L/mol•s 645 K HI(g)가 H2(g)와 I2(g)로 분해되는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는 186 kJ/mol이다. 555 K에서 속도 상수는 3.52×10^(-7) L/mol•s이다. 645 K에서 속도 상수는 얼마인가? The activation energy for the decomposition of HI(g) to H2(g) and I2(g) is 186 kJ/mol. The rate constant at 555 K is 3.52×10^(-7) L/mol•s. What is the rate constant at 645 K? ------------------------------------------------.. 2020. 9. 8. 촉매는 화학 평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촉매는 화학 평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음 중 반응 속도에는 영향을 주지만 화학 평형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① 촉매② 농도③ 온도④ 압력 ---------------------------------------------------▶ 참고: 반응 속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 https://ywpop.tistory.com/10421 ]--------------------------------------------------- 답: ① 촉매( 참고: 촉매 https://ywpop.tistory.com/5497 ) 2020. 5. 10. 반응속도와 온도 관계 예제. 충돌과 활성화 에너지 반응속도와 온도 관계 예제. 충돌과 활성화 에너지 For a chemical reaction it is usually found that the reaction rate is faster at higher temperature. The rate increases because(a) the concentrations of reactants increase(b) more reactants collide with energy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activation energy(c) the concentrations of products increase(d) the volume expands and there is more room for new compounds (product.. 2020. 2. 12. N2O5의 분해반응은 1차 반응, 반감기는 24분 N2O5의 분해반응은 1차 반응, 반감기는 24분 45℃에서 N2O5의 분해반응은 1차 반응이며 반감기는 24분이다. N2O5의 농도가 초기 농도의 1/10이 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 ▶ 1차 반응의 반감기 t_1/2 = 0.693 / k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 ) k = 0.693 / 24 min ▶ 1차 반응의 적분형 속도 법칙 ln([A]_t / [A]_0) = –k•t ln(0.1 / 1) = –(0.693 / 24)•t t = –ln(0.1 / 1) / (0.693 / 24) = 79.7432 min 답: 80분 [키워드] 1차 반응 기준문서, 1차 반응 속도 기준문서.. 2020. 1. 2. 제14장 화학 반응 속도론. 목차 ★ 제14장 화학 반응 속도론. 목차Chemical Kinetics ---------------------------------------------------▶ 참고: 일반화학 목차[ https://ywpop.tistory.com/12971 ]--------------------------------------------------- [ https://ywpop.tistory.com/470787 ]화학 반응 속도의 범위. reaction rates time scales 14.1 반응 속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 Factors that Affect Reaction Rates [ https://ywpop.tistory.com/10421 ] 반응 속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 .. 2019. 12. 24. 1차 반응의 속도상수와 반감기. k = 1.6×10^-3 1차 반응의 속도상수와 반감기. k = 1.6×10^-3 어떤 1차 반응의 속도 상수, k = 1.6×10^(-3) s^-1 이다. 반응의 반감기는 얼마인가? --------------------------------------------------- 반감기, t_1/2 = 0.693 / k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 ) = 0.693 / (1.6×10^(-3)) = 433 답: 433 s [키워드] 1차 반응 속도상수와 반감기 기준문서 2019. 11. 26. 온도와 반응속도. 반응속도와 온도 온도와 반응속도. 반응속도와 온도 --------------------------------------------------- ▶ 참고: 제14장 화학 반응 속도론.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2739 ] --------------------------------------------------- ▶ 반응 속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 ① 반응물의 물리적 상태: 기체 > 액체 > 고체 예) 기체-기체 반응이 고체-기체 반응보다 더 빠르다. ---> 반응이 일어나려면, 맨 먼저 반응물들끼리 서로 만나야(충돌해야) 된다는 점을 기억할 것. ② 반응물의 농도: 속도 ∝ 농도 ③ 반응 온도: 속도 ∝ 온도 ④ 촉매의 존재: 속도 증가(또는 감소) ---> ①, ②, ③은 충돌 횟수에 비.. 2018. 12. 29. 속도 결정 단계 (rate-determining step, RDS) 속도 결정 단계 (rate-determining step, RDS) --------------------------------------------------- ▶ 참고: 제14장 화학 반응 속도론.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2739 ] --------------------------------------------------- ▶ 속도 결정 단계 > 일련의 단일단계 반응들 중에서 가장 느린 반응 ---> 전체 반응 속도를 결정하기 때문 > 가장 느린 단일단계 반응 ---> 전체 반응의 속도 법칙을 결정 [예제] H2와 ICl이 기체상에서 반응하여 I2와 HCl을 만든다. H2(g) + 2ICl(g) → I2(g) + 2HCl(g) 이 반응은 다음과 같이 두 단계 메커니즘.. 2018. 9. 9. 속도법칙과 반응차수. 반응차수 구하기 속도법칙과 반응차수. 반응차수 구하기 aA + bB → cC + dD 반응에서,1) 반응물 B의 농도를 일정하게 하고반응물 A의 농도를 2배 증가시켰을 때,반응속도는 4배 증가.2) 반응물 A와 B의 농도를 모두 2배씩 증가시켰을 때,반응속도는 8배 증가. v = k [A]^m [B]^n 에서 m과 n을 구하시오. 미지수는 m과 n, 2개뿐.1) 실험 결과로부터 m이 결정됨.2) 실험에서 A, B 둘 다 증가시켰지만,m은 미지수가 아님. From 1) 실험,v = k [A]^m [B]^n= [2]^m = 4 m = 2 From 2) 실험,v = k [A]^m [B]^n= [2]^2 [2]^n = 8 n = 1 v = k [A]^2 .. 2018. 1. 13. 이전 1 ··· 8 9 10 11 12 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