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보기24750 충전기와 전자기기(배터리)의 전압 전류 문제 충전기와 전자기기(배터리)의 전압 전류 문제 ▶ 충전기의 전압 = 전자기기의 전압 ▶ 충전기의 전류 ≥ 전자기기의 전류 충전기의 출력 전압과 전자기기(배터리)의 입력 전압은정확하게 맞춰주는 것이 좋습니다. 충전기의 출력 전압이 낮으면전자기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며,반대로 높은 경우에는전자기기의 회로가 손상되거나 화재가 날 수 있습니다. 전류를 나타내는 암페어(A)는표기되어 있는 용량과 일치하거나더 높은 용량의 충전기를 사용하면 됩니다. 전자기기가 1 A를 요구하는데,500 mA짜리 충전기를 사용하면충전기가 과열되어 손상되거나 화재가 날 수 있습니다. 충전기의 출력 전압이 낮거나 10% 이상 높은 경우,그리고 출력 전류가 부족한 경.. 2012. 7. 14. USB 무선공유기 ipTIME N150U로 무선 AP(와이파이 존) 만들기 (2) USB 무선공유기 ipTIME N150U로 무선 AP(와이파이 존) 만들기 (2) 드라이버/유틸리티 설치하고 나서 시작프로그램 폴더를 보면, 위와 같이 2개 프로그램이 새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평소에는 이 프로그램들이 필요하지 않기에(출장이나 여행 때만 필요) 시작프로그램 폴더에서 삭제해 버렸습니다. 그리고 리부팅 후 2개 프로그램을 직접 클릭하여 실행시킨 다음, N150U를 연결시키고 와이파이 존을 만들려고 했는데,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와이파이 존은 물론 무선랜카드 기능도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제공된 CD로 다시 프로그램을 설치하려다, 혹시나 싶어 ipTIME 홈페이지에 있는 최신 드라이버/유틸리티를 다운받아 설치해 보았습니다. 역시나 올바른 선택이었습니다. 수동으로 실행시켜도 완벽하게, 아.. 2012. 7. 14. 파란 블로그 종료 파란 블로그 종료 --------------------------------------------------- 파란 블로그를 티스토리로 이전 중입니다. 2012. 7. 14. USB 무선공유기 ipTIME N150U로 무선 AP(와이파이 존) 만들기 (1) USB 무선공유기 ipTIME N150U로 무선 AP(와이파이 존) 만들기 (1) 미국 여행할 때 현지 숙소에서 와이파이를 사용하고 싶어서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맨 처음 관심을 끈 것은 USB 무선공유기인 "WeVO AIR"라는 제품이었습니다. 처음 보는 형태의 제품이라 관련 자료를 검색하다가 "Connectify"라는 프로그램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Connectify"는 (유선) 인터넷에 연결된 노트북PC를 무선 AP(Access Point)로 만들어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무료 프로그램입니다.이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했으나,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습니다. 이상하게도 노트북PC가 무선 인터넷에 접속된 상태에서만 와이파이 존이 만들어지고 스마트폰을 연결할 수 있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 2012. 7. 13. 물리적 변화와 화학적 변화를 구분 짓는 잣대 물리적 변화와 화학적 변화를 구분 짓는 잣대 ----------------------------------------- ① 원자간(화학) 결합 파괴 + [ 새로운 결합 생성 유/무 ] ⇨ 기존 결합이 파괴됨과 동시에 새로운 결합이 생성되어야 화학적 변화이다. ⇨ 기존 결합이 파괴되었지만, 새로운 결합이 생성되지 않았으면, 물리적 변화이다. ② 반응열, Q의 차이 ... 결정적인 증거 ⇨ 물리적 변화가 일어날 때도 반응열의 출입이 발생하지만, 대부분 인간의 감각으로 느낄 수 없을 정도로 미미하다. (물론 예외는 있다.) ⇨ 진한 염산 또는 황산에 물을 가해 묽힐 때, 플라스크 표면을 만져보라. 따뜻하다는 것을 느낄 것이다. (맨손으로 쥘 수 없을 정도로 뜨겁다.)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증거이다. .. 2012. 7. 11. 흡착 이론 흡착 이론 --------------------------------------------------- 흡착은 어떤 물질이 이성분간의 계면에 축적되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현상으로써 정수에서는 물속의 오염물이 고형물 표면에 축적됨으로써 발생한다. 이때 물에서 계면으로 제거되는 오염물을 흡착질(adsorbate), 오염물이 축적되는 고형물을 흡착제(adsorbent)라 한다. 흡착질이 흡착제에 의하여 제거되는 것은 물로부터 흡착질을 흡착제의 표면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있기 때문이며, 열역학적으로는 흡착질이 물속에 존재하는 것보다 흡착제의 표면에서 더 작은 자유 에너지(free energy)를 갖기 때문이다. 즉 흡착질을 고체-액체간의 계면으로 끌어당기는 힘이나 메커니즘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인 것이다. [ 흡착.. 2012. 7. 11. 흡착열이 발생하는 이유 흡착열이 발생하는 이유 --------------------------------------------------- 흡착열이 발생하는 이유는 수증기가 기체 상태로 있는 것 보다 고체 표면에 붙어있는 것이 더 안정하기 때문이다. 안정하다는 것은 불안정한 것보다 에너지 준위가 낮은 상태이므로, 기체가 표면에 흡착되면 그 차이만큼 에너지(열)를 방출한다. 흡착열의 예를 생활 속에서 찾아보면, 양모섬유로 만든 옷을 들 수 있다. 겨울철에 양모 옷을 입으면 다른 옷보다 더 따뜻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데, 그것은 양모가 수분을 흡수하면서 흡착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이 다른 섬유보다 양모에서 더 두드러지는 까닭은 양모가 다른 섬유보다 친수성이 강하여 수분을 쉽게 흡수하고 더 많이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 2012. 7. 11. 파나소닉 LX3 샘플 사진 파나소닉 LX3 샘플 사진해바라기. 비온 후 맑은 하늘. 컵. 다원이와 친구. 머리 커트했어요. 2012. 7. 7. [구입기] 파나소닉 LX3 [구입기] 파나소닉 LX3 파나소닉 LX3 디카를 구입했습니다. 도대체 몇 번째 컴팩트 디카인가? 1. 카시오 QV-100 2. 코닥 DC3800 3. 니콘 쿨픽스 4500 * DSLR 올림푸스 E-300 4. 올림푸스 뮤 770 SW 5. 캐논 익서스 105 6. 캐논 익서스 310 HS 세어보니 7번째 컴팩트 디카이네요. 올 초에 익사(?)한 익서스 310 HS를 제외한 모든 디카가 작동 가능합니다. QV-100은 이제 폰카보다 성능이 훨씬 떨어지고, DC3800은 200만 화소라 좀 그렇고, 4500은 한 여름철에 깜빡하고 차안에 몇 시간 두었더니 CCD 센서에 불량화소가 다수 발생해서 사용하기가 좀 그렇고, 770은 원래 방수용으로 구입했기에, 화질이라든지, 동영상 성능이 마음에 안 들고, 익서스.. 2012. 7. 7. 샌프란시스코 쇼핑 아웃렛 매장, TJ Maxx 샌프란시스코 쇼핑 아웃렛 매장, TJ Maxx파월 St. BART역에서 걸어서 15분 이내 거리(약 1.13 km)에 있습니다.매장이 1층뿐이고, 그리 넓지 않다고 하네요.그래도 한 번 가볼 예정입니다.참고로, 빨강색 화살표는 San Francisco Caltrain Station(칼트레인 역) 가는 길입니다. 작년에 파월 역에서 걸어서 칼트레인 역까지 갔었죠.855 Harrison StreetSan Francisco, CA 94107, United States(415) 896-9880http://www.tjmaxx.com/ 원본 사진 보기 1341627224_tjmaxx-2.jpg 2012. 7. 7. 이전 1 ··· 2344 2345 2346 2347 2348 2349 2350 ··· 247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