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24744

스펙트럼과 뉴턴 스펙트럼과 뉴턴 --------------------------------------------------- 색깔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한 최초의 인물은 아이작 뉴턴이다. 그는 유리로 만든 삼각형 모양의 프리즘에 가느다란 태양 광선을 통과시켜서, 태양 광선이 무지개 색깔을 모두 포함한 빛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때, 프리즘은 태양 광선을 여러 가지 색깔의 띠로 분리시켜 나타나게 하였으며, 이 색깔들의 띠를 뉴턴은 스펙트럼이라고 불렀다. Light dispersion of a mercury-vapor lamp with a flint glass prism [ 그림 출처: commons.wikimedia.org ]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511 ] 프리즘(Prism)을 .. 2012. 6. 24.
알짜이온반응식. Mg + HCl 수용액 중의 이온화합물의 반응, 알짜이온방정식 ---------------------------------------------------▶ 참고: 분자반응식 → 알짜이온반응식[ https://ywpop.tistory.com/2523 ]--------------------------------------------------- [분자 반응식]많은 반응이 물 속, 즉 수용액 중에서 일어난다. 예를 들면, 마그네슘 리본을 HCl 수용액에 넣으면 맹렬히 거품을 내며 수소기체가 발생한다. Mg(s) + 2HCl(aq) → MgCl2(aq) + H2(g)↑ [완전 이온 반응식]여기서 aq는 수용액 중에서 이온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염산과 염화마그네슘은 수용액 중에서 강전해질이다.). 위 반응식을 다시 고쳐.. 2012. 6. 23.
용액론. melt vs. dissolve 용액론. melt vs. dissolve --------------------------------------------------- ▶ 참고: 제4장 수용액 반응.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191 ] --------------------------------------------------- ▶ 용액(solution): 두 가지 이상 순물질의 균일 혼합물 > 용액 = 균일 혼합물 ( 참고: 물질의 분류 https://ywpop.tistory.com/2390 ) ▶ 성분(component): 용액을 구성하는 각각의 순물질 > 크게, 용질 성분과 용매 성분으로 나눌 수 있다. > 용질(solute) 성분: 용해되는 물질(○), 녹는 물질(×) > 용매(solvent) 성분.. 2012. 6. 22.
옥텟 규칙의 예외 (P, S, Cl) 옥텟 규칙의 예외. P, S, Cl       [참고] 옥텟 규칙[ https://ywpop.tistory.com/2634 ]       ▶ 바닥상태에 있을 경우,각 원자의 원자가전자의 전자배치(최외각전자의 전자배치)           ▶ 황(S)을 예로 들면,     ---> SO2 분자에서,S는 10개 전자를 갖고 있다.( 참고: SO2의 루이스 구조 https://ywpop.tistory.com/3595 )         ---> SF6 분자에서,S는 12개 전자를 갖고 있다.( 참고: SF6의 혼성 오비탈 https://ywpop.tistory.com/7476 )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7591 ] 3주기 원소와 18전자  .. 2012. 6. 22.
몰농도 사용할 때 문제점 티스토리 구형 에디터로 작성된 글을 수정/저장했을 때, 줄 간격 오류가 발생하여 아래 주소에 새로 작성해 놓았습니다. [ https://ywpop.tistory.com/21346 ] 2012. 6. 21.
실제 기체 실제 기체 --------------------------------------------------- 이상 기체의 특징인 no interaction & point mass를 고려해보면, 실제 기체의 거동에 대해 예측해 볼 수 있다. 실제 기체라도 어떤 상태에 있으면, no interaction & point mass에 가까울까? 기체 분자들끼리 최대한 멀리 떨어져 있으면, no interaction 할 것이다. 그리고 기체가 담겨있는 용기의 부피가 엄청나게 커다면, 기체 분자 자체의 부피는 무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결국 문제는 기체가 담겨있는 용기의 부피(V)이다. 즉, V가 클수록, 실제 기체 ≒ 이상 기체가 될 것이고, V가 작을수록, 실제 기체 ≠ 이상 기체가 될 것이다. 보일의 법칙에 .. 2012. 6. 21.
확산. diffusion 확산. diffusion       기체(또는 액체) 분자들은 끊임없이 운동하고 있다.그 운동의 형태는 무질서하다.그 증거가 바로 “확산”이다.         [그림] random walk.       ▶ 확산> 한 종류의 분자들이 다른 종류의 분자들 속으로 이동해 섞이는 현상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3478 ] 그레이엄의 확산 법칙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1810 ] 브라운 운동. Brownian motion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8 ] 콜로이드       [키워드] 확산 기준, 확산의 정의 기준 2012. 6. 21.
제곱근 평균 제곱속도. 제곱 평균근 속도 ★ 제곱근 평균 제곱속도. 제곱 평균근 속도       어떤 온도 T에서 분자는 평균적으로 얼마나 빨리 운동할까?       기체 분자 운동론에 따르면,(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 )             u_rms = sqrt[3RT / M]u_rms = root[3RT / M]u_rms = [3RT / M]^(1/2)( 참고 https://ywpop.tistory.com/45 )   > u_rms = 제곱근-평균-제곱속도(root-mean-square speed)         [예제] –23℃의 성층권에서 N2 분자의 제곱근 평균 제곱속도   ---------------------------------------------------   ▶ N2의 몰질.. 2012. 6. 21.
Kinetic theory of gases. 기체 분자 운동론 ★ Kinetic theory of gases. 기체 분자 운동론Kinetic Molecular Theory of Gases       [가정](1) 기체 분자는 질량은 있으나 부피는 무시할 정도로 작다.---> point mass로 간주.   (2) 기체 분자는 서로 충돌하면서 무질서하게 끊임없이 운동한다.단, 분자들 사이의 충돌은 완전탄성충돌이다.   (3) 기체 분자 간의 상호작용(인력 및 반발력)은 무시한다.---> no interaction.   (4) 기체 분자들의 평균 운동 에너지는 절대 온도에 비례한다.같은 온도에 있는 기체 분자들의 평균 운동 에너지는 항상 같다.       분자 1개의 평균 운동 에너지(KE)KE = 1/2 mu^2 = CT     > T = 절대 온도> C = 비례 .. 2012. 6. 21.
소살리토(Sausalito)에서 샌프란시스코로 버스 타고 가기 소살리토(Sausalito)에서 샌프란시스코로 버스 타고 가기 구글 지도에서 검색하면 알 수 있습니다.http://maps.google.co.kr/ 그런데 출발시간대별로 버스가 달라짐에 주의하세요.버스에 따라 오전에만, 혹은 오후에만 운행되는 것 같습니다. 2012. 6.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