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14장] 화학반응 속도론128

2차 반응. 적분 속도 반응식의 유도 2차 반응. 적분 속도 반응식의 유도       A + B → P 반응의 속도식rate = k [A]^x [B]^y     1) x = 2, y = 0 또는 x = 0, y = 2 이면,A → Prate = k [A]^2( 참고 https://ywpop.tistory.com/25 )     2) x = 1, y = 1 이면,A + B → Prate = k [A] [B]     ---------------------------------------------------     A + B → P 반응의 속도식을 나타내면,( 참고: 반응 속도식 https://ywpop.tistory.com/2668 )                       [1 / (a–b)] ln [b(a–x) /.. 2018. 1. 1.
분자도와 단일단계 반응의 속도법칙 분자도와 단일단계 반응의 속도법칙반응 메커니즘과 분자도   ---------------------------------------------------▶ 참고: 제14장 화학 반응 속도론. 목차[ https://ywpop.tistory.com/12739 ]---------------------------------------------------   [1] 분자도. molecularity> 단일단계 반응에 참여하는 (반응물) 분자의 개수       ▶ 단분자 또는 일분자(uni-molecular) 반응A → Prate = k[A]       ▶ 이분자(bi-molecular) 반응1) A + A → P또는 2A → Prate = k[A]^2       2) A + B → Prate = k[A].. 2017. 11. 1.
충돌 이론의 3가지 조건(가정) 충돌 이론의 3가지 조건(가정)>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데 필요한 3가지 조건       [첫째] 화학 반응은 반응 분자들 간의 충돌에 의해 일어난다.   화학 반응이 일어나려면 먼저 분자들끼리 충돌해야 한다.⇨ 화학 반응의 전제 조건         [둘째] 효과적인 충돌 (유효 충돌)   분자들이 충돌하면 다 반응할까?소개팅 나가기만 하면, 다 커플 되나?화학 반응도 마찬가지다.화학 반응은 반응 분자들 간의 충돌에 의해 일어난다.⇨ 어떤 충돌? 효과적인 충돌.⇨ ① 방향(배향) & ② 힘(에너지)이 적절한 충돌.( 설명 https://ywpop.tistory.com/32 )         [셋째] 활성화 에너지   충돌하는 분자들의 전체 운동 에너지는화학 반응에 필요한 최소 에너지 이상이 되어.. 2017. 6. 18.
아레니우스 식. 속도 상수의 온도 의존성 ★ 아레니우스 식. 속도 상수의 온도 의존성Arrhenius equation.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reaction rate   아레니우스식으로 그래프 그리기아레니우스식으로 기울기와 절편 구하기         ▶ 속도 상수의 온도 의존성을 정량적으로(수식으로) 나타낸 식         ▶ 반응 계(system)를 가열하면,(1) 계를 구성하는 입자들의 운동 에너지 증가.계속 가열하면, 결국에는 활성화에너지 이상으로 증가.(2) 증가된 운동 에너지로 인해, 충돌 횟수 증가.증가된 충돌 횟수만큼, 효과적인 충돌 증가.---> 반응 속도 증가( 참고: 충돌이론과 활성화에너지 https://ywpop.tistory.com/32 )     ▶ 반응 속도는 온도가 10℃ 증가함에.. 2017. 6. 7.
0차 반응. 0차 반응속도. 고체 표면에서의 기체 분해 반응 0차 반응. 0차 반응속도. 고체 표면에서의 기체 분해 반응 zero order reaction --------------------------------------------------- ▶ 참고: 제14장 화학 반응 속도론.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2739 ] --------------------------------------------------- 고체 촉매 표면에서의 기체의 분해반응 예) N2O의 분해반응 2N2O(g) → 2N2(g) + O2(g) (b)에서 N2O 분자 수는 (a)보다 2배이지만, 백금 표면의 자리는 한정되어 있기에, N2O의 분해 반응 속도는 동일하다. 즉, 반응 속도는 반응물의 초기 농도에 무관하므로, ⇨ 영차 반응 고체 표면의 자리는 한.. 2016. 12. 18.
온도가 높아지면 왜 정반응, 역반응 속도가 동시에 빨라지게 되나요 온도가 높아지면 왜 정반응, 역반응 속도가 동시에 빨라지게 되나요? --------------------------------------------------- 반응 속도는 “활성화 에너지 고개”를 얼마나 빨리 넘어가느냐에 의해 결정됩니다. 온도가 높아지면, 즉 반응계를 가열하면, 반응계의 에너지 준위는 증가(상승)합니다. 이때 반응물, 생성물, 둘 다 에너지 준위가 상승하기 때문에, 정반응, 역반응 속도가 동시에 증가합니다. 반응물, 생성물, 둘 다 에너지 준위가 상승하기 때문에, 반응물도 더 빨리 활성화 에너지 고개를 넘어서 생성물이 될 수 있고, 생성물 역시 더 빨리 활성화 에너지 고개를 넘어서 반응물이 될 수 있습니다. > 정반응 속도상수, k_f. f는 forward의 f. > 역반응 속도상수,.. 2016. 10. 4.
촉매 (catalyst) ★ 촉매 (catalyst)       ▶ 반응 계(system)에 첨가되어,반응 속도를 증가시키거나(정촉매), 감소시키는(부촉매) 물질.       ▶ How 반응 속도 ↑(증가) or ↓(감소)?> 활성화 에너지를 감소시키거나(정촉매), 증가시켜서(부촉매)반응 속도를 조절한다.> 즉, 반응 경로(반응 메커니즘)를 변경시킨다.( 참고: 활성화 에너지 https://ywpop.tistory.com/15 )       ▶ 촉매가 정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면,역반응의 활성화 에너지 또한 낮아진다.   따라서 촉매는 평형 상수를 변화시키지 않으며,평형계의 위치 또한 이동시키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촉매는 반응 속도만 변화시켰기 때문에,화학 평형 자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촉매 자.. 2016. 6. 23.
속도상수(k)의 온도 의존성과 활성화에너지(Ea) 속도상수(k)의 온도 의존성과 활성화에너지(Ea) 어떤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는 54.0 kJ/mol이다. 온도를 22℃에서 더 높은 온도로 올렸더니 속도 상수가 7.00배 증가하였다. 더 높은 온도는 얼마인가? --------------------------------------------------- ▶ Arrhenius(아레니우스) 식 > 속도 상수의 온도 의존성을 정량적으로(수식으로) 나타낸 식 ln(k_2 / k_1) = Ea/R (1/T_1 – 1/T_2) ( R = 8.314 J/K•mol )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288 ) 더 높은 온도(T_2)를 계산하면, ln(7.00/1) = (54000/8.314) ((1/(22+273)) – (1/T_2)) (1/.. 2016. 1. 16.
속도법칙과 속도상수 구하기 속도법칙과 속도상수 구하기     2CO(g) + O2(g) → 2CO2(g)위 반응에 대한 반응 속도 실험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실험[CO] (M)[O2] (M)초기 속도 (M/min)1번0.020.023.68×10^(-5)2번0.040.021.47×10^(-4)3번0.020.047.36×10^(-5)   속도 법칙을 결정하고, 속도 상수를 구하시오.   ---------------------------------------------------▶ 참고: 속도 법칙[ https://ywpop.tistory.com/30 ]---------------------------------------------------   1) → 2) 실험에서,[CO] 2배 증가, [O2] 고정.---> 이때 속도 .. 2015. 10. 26.
Arrhenius(아레니우스) 식. 속도 상수와 활성화 에너지 Arrhenius(아레니우스) 식. 속도 상수와 활성화 에너지     두 온도에서 구한 속도상수로부터다음 반응에 대한 활성화에너지를 계산하시오.2N2O5(g) → 4NO2(g) + O2(g)> 25℃에서 k = 3.46×10^(-5) s^-1> 55℃에서 k = 1.5×10^(-3) s^-1       ln(k_2 / k_1) = Ea/R (1/T_1 – 1/T_2)> R = 8.314 J/K•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288 )       > T_1 = 273 + 25℃ = 298 K> T_2 = 273 + 55℃ = 328 K       Ea = [ ln(k_2 / k_1) × R ] / [ (1/T_1 – 1/T_2) ]= [ ln ( (1.5×10^(-.. 2015. 10.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