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기술/화학분석기사260 1.41 T 자기장 하 수소 핵의 흡수 주파수(MHz) 1.41 T 자기장 하 수소 핵의 흡수 주파수(MHz) 1.41 T의 자기장을 걸어주었을 때 수소 핵은 약 몇 MHz의 주파수에 흡수하는가? (단, 질량수가 1인 수소의 자기회전 비는 2.68×10^8 /T•s이다.) 1.41T의 자기장을 걸어주었을 때 수소 핵은 약 몇 MHz의 주파수에 흡수하는가? (단, 질량수가 1인 수소의 자기회전 비는 2.68×108/Tㆍs이다.) ① 30MHz ② 60MHz ③ 100MHz ④ 600MHz --------------------------------------------------- ΔE_흡수 = hν ΔE ∝ γ × B_0 > γ: 자기회전 비. magnetogyric ratio ( 자기 회전 비율. 핵종마다 다르다. ) > B_0: 외부 자기장 ---> 자기회.. 2021. 8. 28. 아세트산(CH3COOH)의 기본 진동 방식 아세트산(CH3COOH)의 기본 진동 방식 아세트산(CH3COOH)의 기준진동방식의 수는? ① 16개 ② 17개 ③ 18개 ④ 19개 --------------------------------------------------- ▶ 분자의 기본 진동 방식 > 선형 분자. linear molecules: 3N – 5 개 > 비선형 분자. nonlinear molecules: 3N – 6 개 ( N: 원자의 개수. number of atoms )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860 ) CH3COOH의 원자의 개수 = 8개 이고, C2 H4 O2 CH3COOH는 비선형 분자이므로, 3N – 6 = 3(8) – 6 = 18개 답: ③ 18개 [키워드] 아세트산의 기본 진동 방식 기준문.. 2021. 8. 28. 다음 중 전자전이가 일어나지 않는 것 다음 중 전자전이가 일어나지 않는 것 다음 중 전자전이가 일어나지 않는 것은? ① σ-σ+ ② π-π+ ③ n-π+ ④ σ-π+ --------------------------------------------------- ▶ 참고: 선택 규칙. Laporte selection rule [ https://ywpop.tistory.com/5576 ] ① σ → σ* ② π → π* ③ n → π* ④ σ → π* σ는 반공국가, (σ*는 다른 반공국가) π는 공산국가, (π*는 다른 공산국가) n은 중립국이라고 생각하자. 답: ④ σ → π* ( 반공국가와 공산국가는 서로 이동불가. ) 2021. 8. 28. 이론적 평형상수. Pbl2(s) ⇌ Pb^2+(aq) + 2I^-(aq)의 역반응 이론적 평형상수. Pbl2(s) ⇌ Pb^2+(aq) + 2I^-(aq)의 역반응 Pbl2(s) ⇌ Pb^2+(aq) + 2I^-(aq) 와 같은 용해반응을 나타내고, Ksp는 7.9×10^(-9) 일 때 다음 평형반응의 평형상수 값은? Pb^2+(aq) + 2I^-(aq) ⇌ Pbl2(s) Pbl2(s) ⇄ Pb2+(aq)+2I-(aq)과 같은 용해반응을 나타내고, Ksp는 7.9×10-9일 때 다음 평형반응의 평형상수 값은? ① 7.9×10-9 ② 1/(7.9×10-9) ③ (7.9×10-9)×1.0×10-4) ④ 1.0×10-14)/(7.9×10-9) --------------------------------------------------- ▶ 참고: 이론적 평형상수 [ https://ywpop... 2021. 8. 28. Cu + 2Ag^+ ⇌ Cu^2+ + 2Ag 반응의 평형상수 Cu + 2Ag^+ ⇌ Cu^2+ + 2Ag 반응의 평형상수 Cu(s) + 2Ag^+ ⇌ Cu^2+ + 2Ag(s) 반응의 평형상수 Cu(s) + 2Ag^+(aq) ⇌ Cu^2+(aq) + 2Ag(s) 반응의 평형상수 값은 약 얼마인가? 단, 이들 반응을 구성하는 반쪽반응과 표준환원전위는 다음과 같다. Ag^+ + e^- → Ag(s) ... E° = 0.799V Cu^2+ + 2e^- → Cu(s) ... E° = 0.337V Cu(s)+2.4g+⇄Cu2+2.4g(s) 반응의 평형상수 값은 약 얼마인가? (단, 이들 반응을 구성하는 반쪽반응과 표준전극전위는 다음과 같다.) ① 2.5×1010 ② 2.5×1012 ③ 4.1×1015 ④ 4.1×1018 -----------------------------.. 2021. 8. 27. 탄소, 수소, 질소, 산소의 동위원소 존재비율 탄소, 수소, 질소, 산소의 동위원소 존재비율 분자질량분석법에서는 동위원소의 존재비를 이용하여 M+1 봉우리를 계산하여 분자량 봉우리를 확인한다. 원소에 대한 존재비율 중 잘못된 것은? 분자질량분석법에서는 동위원소의 존재비를 이용하여 M+1봉우리를 계산하여 분자량 봉우리를 확인한다. 원소에 대한 존재비율 중 잘못된 것은? ① 탄소-13 : 1.08% ② 수소-2 : 0.15% ③ 질소-15 : 0.37% ④ 산소-18 : 0.20% --------------------------------------------------- ▶ 참고: 동위원소 [ https://ywpop.tistory.com/7405 ] ① 탄소-13 : 1.08% > 12C: 98.9% > 13C: 1.1% ( 참고 https://en.. 2021. 8. 27. 철근이 녹이 슬 때 질량은 어떻게 되겠는가 철근이 녹이 슬 때 질량은 어떻게 되겠는가 철근이 녹이 슬 때 질량은 어떻게 되겠는가? ① 녹슬고 전과 질량 변화가 없다. ② 녹슬기 전에 비해 질량이 증가한다. ③ 녹이 슬면서 일정 시간 질량이 감소하다가 일정하게 된다. ④ 녹슬기 전에 비해 질량이 감소한다. --------------------------------------------------- ▶ 참고: 철의 부식 [ https://ywpop.tistory.com/2896 ] 순수한 철근(Fe)에 산소가 결합한 화합물(Fe2O3 또는 Fe3O4)이 녹이므로, 철근이 녹이 슬 때 질량은 증가한다. 4Fe + 3O2 → 2Fe2O3 > 녹슬기 전: 4Fe의 질량 = 4 × 55.85 = 223.40 > 녹슨 후: 2Fe2O3의 질량 = 2 × 15.. 2021. 8. 26. 유기산 10.0 g 녹여 100 mL 용액 해리도 2.50% 유기산 10.0 g 녹여 100 mL 용액 해리도 2.50% 어떤 유기산 10.0 g을 녹여 100 mL 용액을 만들면, 이 용액에서 유기산의 해리도는 2.50%이다. 유기산은 일양성자산이며, 유기산의 Ka가 5.00×10^(-4) 이었다면, 유기산의 화학식량은? 어떤 유기산 10.0g을 녹여 100mL 용액을 만들면, 이 용액에서는 유기산의 해리도는 2.50%이다. 우기산은 일양성자산이며, 유기산의 Ka가 5.00×10-4이었다면, 유기산의 화학식량은? ① 6.40 g/mol ② 12.8 g/mol ③ 64.0 g/mol ④ 128 g/mol --------------------------------------------------- 화학식량(= 몰질량) = a 라 두면, 용액의 몰농도 = (10.0/.. 2021. 8. 26. 0.1000 M Hg^2+ 20.00 mL + 0.1000 M Cl^- 40.00 mL 0.1000 M Hg^2+ 20.00 mL + 0.1000 M Cl^- 40.00 mL 20.00 mL의 0.1000 M Hg^2+를 0.1000 M Cl^-로 적정하고자 한다. Cl^-를 40.00 mL 첨가하였을 때, 이 용액 속에서 Hg^2+의 농도는? 20.00mL 의 0.1000M Mg2+를 0.1000M Cl- 로 적정하고자한다. Cl-를 40.00mL 첨가하였을 때, 이 용액 속에서 Hg22+의 농도는 약 얼마인가? (단, Hg2Cl2(s) ⇄ Hg22+(aq) + 2Cl-(aq), Ksp = 1.2 x 10-18이다.) --------------------------------------------------- Hg2Cl2는 난용성염이므로, Hg^2+(aq) 용액에 Cl^-(aq) 용액을 .. 2021. 8. 25. EDTA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 EDTA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 EDTA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EDTA는 금속이온의 전화와는 무관하게 금속이온과 일정 비율로 결합한다. ② EDTA 적정법은 물의 경도를 측정할 때 사용할 수 있다. ③ EDTA는 Li+, Na+, K+와 같이 1가 양이온들 하고만 착물을 형성한다. ④ EDTA 적정 시 금속-지시약 착화합물을 금속-EDTA 착화합물보다 덜 안정하다. --------------------------------------------------- 지문의 내용상, 답은 1번 또는 3번이다. ① EDTA는 금속이온의 전하와는 무관하게 금속이온과 일정 비율로 결합한다. ② EDTA 적정법은 물의 경도를 측정할 때 사용할 수 있다. ③ EDTA는 Li^+, Na^+, K^+와 같이 1가 .. 2021. 8. 25.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