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기술/대기환경기사336

C 75%, H 17%, O 8% 연료 2 kg 완전연소에 필요한 이론 공기량 C 75%, H 17%, O 8% 연료 2 kg 완전연소에 필요한 이론 공기량 중량비가 C=75%, H=17%, O=8%인 연료 2 kg을 완전연소 시키는데 필요한 이론 공기량(Sm3)은? (단, 표준상태 기준) ① 약 9.7 ② 약 12.5 ③ 약 21.9 ④ 약 24.7 각 원자의 몰질량으로부터, 각 원자의 몰수를 계산하면,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 2000 g × (75/100) / (12 g/mol) = 125 mol C > 2000 × (17/100) / 1 = 340 mol H > 2000 × (8/100) / 16 = 10 mol O 각 원자의 연소 반응식으로부터, 각 원자의 완전연소에 필요한 산소의 몰수를 계산하면, ① C + O2 → CO2 .. 2023. 8. 17.
배출가스량 2000 Sm3/h HF 500 mL/Sm3 50 m3 물 24시간 폐수 pH 배출가스량 2000 Sm3/h HF 500 mL/Sm3 50 m3 물 24시간 폐수 pH 굴뚝 배출 가스량은 2000 Sm3/h, 이 배출가스 중 HF 농도는 500 mL/Sm3이다. 이 배출가스를 50 m3의 물로 세정할 때 24시간 후 순환수인 폐수의 pH는? (단, HF는 100% 전리되며, HF 이외의 영향은 무시한다.) ① 약 1.3 ② 약 1.7 ③ 약 2.1 ④ 약 2.6 --------------------------------------------------- 배출가스 중 HF의 부피(L/h)를 계산하면, (2000 Sm3/h) (500 mL/Sm3) (1 L / 1000 mL) = (2000) (500) (1 / 1000) = 1000 L/h HF 표준상태에서 기체 1 mol = 22... 2023. 7. 21.
염소농도 0.2% 배출가스 3000 Sm3/h 제거 수산화칼슘 양(kg/h) 염소농도 0.2% 배출가스 3000 Sm3/h 제거 수산화칼슘 양(kg/h) 염소농도 0.2%인 굴뚝 배출가스 3000 Sm3/h를 수산화칼슘 용액을 이용하여 염소를 제거하고자 할 때, 이론적으로 필요한 시간당 수산화칼슘의 양(kg/h)은? (단, 처리효율은 100%로 가정한다.) ① 16.7 ② 18.2 ③ 19.8 ④ 23.1 --------------------------------------------------- 균형 맞춘 화학 반응식 2Cl2 + 2Ca(OH)2 → CaCl2 + Ca(OCl)2 + 2H2O ▶ 참고: Sm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41 ) 배출가스 3000 Sm3에 들어있는 Cl2의 부피를 계산하면, 3000 Sm3 × (0.2/100) =.. 2023. 7. 21.
액체연료 완전연소 Orsat 분석 CO2 15%, O2 5% 과잉공기계수 액체연료 완전연소 Orsat 분석 CO2 15%, O2 5% 과잉공기계수 어떤 액체연료를 보일러에서 완전연소시켜 그 배출가스를 Orsat 분석 장치로서 분석하여 CO2 15%, O2 5%의 결과를 얻었다면 이때 과잉공기계수는? (단, 일산화탄소 발생량은 없다.) ① 1.12 ② 1.19 ③ 1.25 ④ 1.31 --------------------------------------------------- ▶ 참고: 오르자트(Orsat) 분석법 [ https://ywpop.tistory.com/17176 ] --------------------------------------------------- ▶ 배기가스 분석 결과로 공기비(m) 계산 > 완전연소 시 (배기가스 분석결과 CO가 없을 때) 공기비, m .. 2023. 7. 21.
저위발열량 5000 kcal/Sm3 기체연료 이론 연소온도(℃) 저위발열량 5000 kcal/Sm3 기체연료 이론 연소온도(℃)     저위발열량이 5000 kcal/Sm3인 기체 연료의이론 연소온도(℃)는 약 얼마인가?(단, 이론 연소가스량 15 Sm3/Sm3, 연료 연소가스의 평균 정압 비열 0.35 kcal/Sm3•℃,기준온도는 0℃, 공기는 예열되지 않으며,연소가스는 해리되지 않는다고 본다.)① 952② 994③ 1008④ 1118         이론 연소온도 = [저위발열량 / (연소가스량×정압비열)] + 기준온도= [5000 / (15×0.35)] + 0= 952.38 kcal       답: ① 952         [참고] 계산에 사용된 각 항목의 단위가평균정압비열 0.35 kcal/Sm3•℃의kcal, Sm3, ℃ 단위와 일치하는지 체크할.. 2023. 7. 21.
프로판 부탄 용적비 3:2 혼합 가스 1 Sm3 완전연소 발생 CO2 프로판 부탄 용적비 3:2 혼합 가스 1 Sm3 완전연소 발생 CO2     프로판과 부탄이 용적비 3:2로 혼합된 가스 1 Sm3가이론적으로 완전연소 할 때 발생하는 CO2의 양(Sm3)은?① 2.7② 3.2③ 3.4④ 4.1       프로판과 부탄이 용적비 3:2로 혼합된 가스 1 Sm3---> 프로판의 부피 = 1 Sm3 × (3/5) = 0.6 Sm3---> 부탄의 부피 = 1 Sm3 × (2/5) = 0.4 Sm3       프로판 연소 반응식C3H8 + 5O2 → 3CO2 + 4H2O( 참고 https://ywpop.tistory.com/7441 )   C3H8 : CO2 = 1 : 3 계수비(= 부피비) 이므로,0.6 Sm3 C3H8 연소 시,생성되는 CO2의 부피를 계산하면,0.6 .. 2023. 7. 21.
1차 반응 반감기 10분 반응물 1/10 농도로 감소 시간(분) 1차 반응 반감기 10분 반응물 1/10 농도로 감소 시간(분)     어떤 물질의 1차 반응에서 반감기가 10분이었다.반응물이 1/10 농도로 감소할 때까지 얼마의 시간(분)이 걸리겠는가?① 6.9② 33.2③ 693④ 3323       [참고] 전형적인 1차 반응 계산 문제[ https://ywpop.tistory.com/471069 ]       1차 반응 반감기t_1/2 = 0.693 / k(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 )       k = 0.693 / 10 min= 0.0693 /min       1차 반응 속도식ln(C_t / C_0) = –k•t   t = –ln(C_t / C_0) / k= –ln((1/10) / 1) / (0.0693 /min.. 2023. 7. 19.
대기압력 900 mb 높이 온도 25℃일 때 온위 대기압력 900 mb 높이 온도 25℃일 때 온위     대기압력이 900 mb인 높이에서의 온도가 25℃일 때온위(potential temperature, K)는? (단, θ=T(1000/P)0.288)① 307.2② 377.8③ 421.4④ 487.5       온위(θ) = T × (1000 / P)^0.288( 참고 https://ywpop.tistory.com/24071 )       온위 = T × (1000 / P)^0.288= (273 + 25) × (1000 / 900)^0.288= 307.18 K       답: ① 307.2         [키워드] 온위 기준 2023. 7. 19.
배출가스량 125 Sm3/h HCl 200 ppm 5000 L 물 2시간 흡수 pOH 배출가스량 125 Sm3/h HCl 200 ppm 5000 L 물 2시간 흡수 pOH 굴뚝 배출가스량이 125 Sm3/h이고, HCl 농도가 200 ppm일 때, 5000 L 물에 2시간 흡수시켰다. 이때 이 수용액의 pOH는? (단, 흡수율은 60%이다.) 굴뚝 배출가스량이 125 Sm3/h 이고, HCl 농도가 200 ppm 일 때, 5000 L 물에 2시간 흡수시켰다. 이 때 이 수용액의 pOH는? (단, 흡수율은 60% 이다.) ① 8.5 ② 9.3 ③ 10.4 ④ 13.3 --------------------------------------------------- ppm = (용질의 부피 / 용액의 부피) × 10^6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7 ) .. 2023. 7. 19.
H2 40%, CH4 20%, C3H8 20%, CO 20% 부피조성 실제공기량(Sm3) H2 40%, CH4 20%, C3H8 20%, CO 20% 부피조성 실제공기량(Sm3) H2 40%, CH4 20%, C3H8 20%, CO 20%의 부피조성을 가진 기체연료 1 Sm3을 공기비 1.1로 연소시킬 때 필요한 실제공기량(Sm3)은? ① 약 8.1 ② 약 8.9 ③ 약 10.1 ④ 10.9 --------------------------------------------------- ▶ H2 연소 반응식: H2 + (1/2)O2 → H2O ▶ CH4 연소 반응식: CH4 + 2O2 → CO2 + 2H2O ▶ C3H8 연소 반응식: C3H8 + 5O2 → 3CO2 + 4H2O ▶ CO 연소 반응식: CO + (1/2)O2 → CO2 ---> 연료 1 mol당 연소에 필요한 O2의 mol수를 알.. 2023. 7.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