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기술/대기환경기사336

굴뚝 배출가스 평균유속 피토관 동압 측정 12.8 m/s 굴뚝 배출가스 평균유속 피토관 동압 측정 12.8 m/s 굴뚝 내를 흐르는 배출가스 평균유속을 피토관으로 동압을 측정하여 계산한 결과 12.8m/s였다. 이때 측정된 동압은?(단, 피토관 계수는 1.0이며, 굴뚝 내의 습한 배출가스의 밀도는 1.2 kg/m3) ① 8 mmH2O ② 10 mmH2O ③ 12 mmH2O ④ 14 mmH2O --------------------------------------------------- [Blogger 블로그스팟] [ https://ywpop.blogspot.com/2023/09/128-ms.html ] V = C(2gh/γ)^(1/2) h = (V^2 γ) / (2C g) = (12.8^2 × 1.2) / (2 × 1.0 × 9.8) = 10.031 kg/m2 .. 2023. 9. 1.
배출가스 중 SO2 2286 mg/Sm3를 ppm으로 환산 배출가스 중 SO2 2286 mg/Sm3를 ppm으로 환산     배출가스 중의 SO2량이 2,286 mg/Sm3일 때,ppm으로 환산한 값은? (단, 표준상태 기준)① 약 300② 약 800③ 약 1,200④ 약 6,530       2286 mg/Sm3 SO2 = 2286 mg SO2 / 1 m3 공기이므로,   ① 2286 mg SO2의 mol수와( SO2의 몰질량 = 64 g/mol )② 1 m3 공기의 mol수를 계산해보자.( 1 m3 = 1000 L )       (2286 mg) (1 g / 10^3 mg) (1 mol / 64 g)= (2286) (1 / 10^3) (1 / 64)= 0.03572 mol SO2       PV = nRT 로부터,n = PV / RT= [(1) (1.. 2023. 8. 23.
유효굴뚝높이 60 m 980000 m3/day 유량 SO2 1200 ppm 최대지표농도 유효굴뚝높이 60 m 980000 m3/day 유량 SO2 1200 ppm 최대지표농도     유효굴뚝높이 60 m에서 980,000 m3/day의 유량과SO2 1,200 ppm으로 배출되고 있다.이때 최대지표농도(ppb)는?(단, Sutton의 확산식을 사용하고, 풍속은 6 m/s,이 조건에서 확산계수 Ky=0.15, Kz=0.18이다.)① 485② 361③ 177④ 96       Sutton 확산식   C_max = (2 Q C) / (π e U He^2) × (Kz / Ky)> C_max: 최대 지표농도, 최대 착지농도 (ppm)> Q: 오염물질 배출유량 (m3/s)> C: 오염물질 농도 (ppm)> π: 3.14> e: 자연상수 (2.718)> U: 풍속 (m/s)> He: 유효 굴뚝높이 (m.. 2023. 8. 21.
유효굴뚝높이 200 m 연돌 가스량 20 m3/sec SO2 1750 ppm ★ 유효굴뚝높이 200 m 연돌 가스량 20 m3/sec SO2 1750 ppm     유효굴뚝높이 200 m인 연돌에서 배출되는가스량은 20 m3/sec, SO2 농도는 1750 ppm이다.Ky=0.07, Kz=0.09인 중립 대기조건에서SO2의 최대 지표농도(ppb)는? (단, 풍속은 30 m/s이다.)① 34 ppb② 22 ppb③ 15 ppb④ 9 ppb       Sutton 확산식   C_max = (2 Q C) / (π e U He^2) × (Kz / Ky)> C_max: 최대 지표농도, 최대 착지농도 (ppm)> Q: 오염물질 배출유량 (m3/s)> C: 오염물질 농도 (ppm)> π: 3.14> e: 자연상수 (2.718)> U: 풍속 (m/s)> He: 유효 굴뚝높이 (m)> Ky: 수평.. 2023. 8. 21.
피토관 동압 25 mmH2O 온도 211℃ 굴뚝 배출가스 유속 피토관 동압 25 mmH2O 온도 211℃ 굴뚝 배출가스 유속 A굴뚝 내 배출가스의 유속을 피토관으로 측정한 결과 동압이 25 mmH2O였고, 온도가 211℃이었다면 이때 굴뚝 내 배출가스의 유속은? (단, 표준상태에서 배출가스의 밀도: 1.3 kg/Sm3, 피토관 계수: 0.98, 기타 조건은 같다고 가정) ① 18.6 m/sec ② 20.4 m/sec ③ 22.8 m/sec ④ 25.3 m/sec --------------------------------------------------- V = C(2gh/γ)^(1/2) > V: 배출가스 유속 (m/s) > C: 피토우관 계수 > g: 중력가속도 (9.8 m/s^2) > h: 피토우관에 의한 동압 측정치 (kg/m^2) ( 1 mmH2O = 1 kg.. 2023. 8. 21.
피토우관 동압 2.2 mmHg 굴뚝 배출가스 평균유속 온도 250℃ 피토우관 동압 2.2 mmHg 굴뚝 배출가스 평균유속 온도 250℃ 굴뚝내의 배출가스 유속을 피토우관으로 측정한 결과 그 동압이 2.2 mmHg 이었다면 굴뚝내의 배출가스의 평균유속(m/sec)은? (단, 배출가스 온도 250℃, 공기의 비중량 1.3 kg/Sm3, 피토우관계수 1.2 이다.) ① 8.6 ② 16.9 ③ 25.5 ④ 35.3 --------------------------------------------------- V = C(2gh/γ)^(1/2) > V: 배출가스 유속 (m/s) > C: 피토우관 계수 > g: 중력가속도 (9.8 m/s^2) > h: 피토우관에 의한 동압 측정치 (kg/m^2) ( 1 mmH2O = 1 kg/m^2 ) > γ: 연도내의 습한 배출가스 밀도 (kg/m^.. 2023. 8. 21.
기체연료의 이론공기량(Sm3/Sm3). H2, CO, CxHy, O2 체적비 기체연료의 이론공기량(Sm3/Sm3). H2, CO, CxHy, O2 체적비 기체연료의 이론공기량(Sm3/Sm3)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H2, CO, CxHy, O2는 연료 중의 수소,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산소의 체적비를 의미한다.) ① 0.21 {0.5H2 + 0.5CO + (x+y/4)CxHy – O2} ② 0.21 {0.5H2 + 0.5CO + (x+y/4)CxHy + O2} ③ 1/0.21 {0.5H2 + 0.5CO + (x+y/4)CxHy – O2} ④ 1/0.21 {0.5H2 + 0.5CO + (x+y/4)CxHy + O2} --------------------------------------------------- 기체의 경우, 부피비(체적비) = 몰수비 ① H2 연소 반응.. 2023. 8. 20.
가시거리 계산. 상대습도가 70%일 때 가시거리 계산. 상대습도가 70%일 때시정거리 계산. 상대습도가 70%일 때     입자상 물질의 농도가 200 μg/m3 이고,상대습도가 70%인 상태의대도시에서의 가시거리는 몇 km인가?(단, A = 1.3)       가시거리(L) 계산 식L (km) = A × 10^3 / C> C: 입자상 물질(분진)의 농도(μg/m3)> A: 실험 정수 또는 계수       L = A × 10^3 / C= 1.3 × 10^3 / 200= 6.5 km       답: 6.5 km         [ 관련 글 https://ywpop.blogspot.com/2024/12/160-gm3-70-km.html ]먼지농도 160 μg/m3 상대습도 70% 대도시 가시거리 km16. 먼지농도가 160 μg/m3.. 2023. 8. 19.
파장 5320 Å 빛 밀도 0.95 g/cm3 직경 0.42 μm 기름방울 분산면적비 4.5 파장 5320 Å 빛 밀도 0.95 g/cm3 직경 0.42 μm 기름방울 분산면적비 4.5     파장 5,320 Å인 빛 속에서 밀도가 0.95 g/cm3, 직경 0.42 μm인기름방울의 분산면적비가 4.5일 때 먼지 농도가 0.4 mg/m3이라면,가시거리는 약 몇 km인가? (단, V=[(5.2×ρ×r)/(K×C)] 식 적용)① 0.33 km② 0.38 km③ 0.58 km④ 0.82 km       가시거리 계산 식 (분산면적비)V = [5.2 × ρ × r] / [K × C]> V: 가시거리 (시정거리) (km)> ρ: 입자상 물질의 밀도 (g/cm3)> r: 입자상 물질의 반지름 (μm)> K: 분산면적비 (산란계수)> C: 입자상 물질의 농도 (mg/m3)       V = [5.2 ×.. 2023. 8. 19.
500 ppm SO2 시간당 80 m3 하루 총 배출량 500 ppm SO2 시간당 80 m3 하루 총 배출량     A공장에서 배출되는 아황산가스의 농도가 500 ppm이고,시간당 배출가스량이 80 m3이라면하루에 총 배출되는 아황산가스량(kg/day)은?(단, 표준상태 기준 및 24시간 연속가동)① 1.26② 2.74③ 3.77④ 4.52       1 ppm = 1 mL/m3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744 )   500 ppm = 500 mL/m3= 500 mL SO2 / 1 m3 배출가스       (500 mL/m3) (80 m3/hr) (24 hr/day) (1 L / 1000 mL)= (500) (80) (24) (1 / 1000)= 960 L/day---> 하루에 총 960 L SO2 배출   .. 2023. 8.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