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보기24763 130 g NaOH가 들어있는 용액 4 L의 몰농도 130 g NaOH가 들어있는 용액 4 L의 몰농도130 g NaOH 4 L 몰농도 ① 용질 몰질량(M) 계산 NaOH의 몰질량 = (23) + (16) + (1) = 40 g/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16840 ) ② 용질 몰수(n) 계산 n = W / M= (130 / 40) 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③ 용액 몰농도(M) 계산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 (130 / 40) mol / 4 L= 0.8125 mol/L 답: 0.8125 M [키워드] Na.. 2024. 10. 2. 화학 반응식의 이해. 2Na + Cl2 → 2NaCl 화학 반응식의 이해. 2Na + Cl2 → 2NaClNa는 2Na인데, Cl은 왜 Cl2인가? [참고] 화학 반응식 쓰기 [1]. H2 + O2 → H2O[ https://ywpop.tistory.com/4782 ] [참고] 화학 반응식 쓰기 [2]. N2 + H2 → NH3[ https://ywpop.tistory.com/5560 ] [참고] 화학 반응식의 이해 [1]. 2Cu + O2 → 2CuO[ https://ywpop.tistory.com/20458 ] [참고] 화학 반응식의 이해 [2]. 2Na + Cl2 → 2NaCl[ https://ywpop.tistory.com/20502 ] 이것을 이해하려면, ① He, Ne와 같은 비활성 기체를 제외한 모든.. 2024. 10. 2. redox H^+ + OH^- → H2O redox H^+ + OH^- → H2O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rule)[ https://ywpop.tistory.com/2719 ] > H^+ 에서, H의 산화수 = +1 > OH^- 에서, H의 산화수 = +1, O의 산화수 = –2( 참고 https://ywpop.tistory.com/470653 ) > H2O 에서, H의 산화수 = +1, O의 산화수 = –2( 참고 https://ywpop.tistory.com/24261 ) H^+ + OH^- → H2O 반응 전/후, 산화수가 변한 원자가 없으므로,이 반응은 산화-환원 반응이 아니다. [키워드] redox H^+ + OH^- 기준 2024. 10. 2. OH^-의 산화수 OH^-의 산화수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rule)[ https://ywpop.tistory.com/2719 ] OH^- 에서,H의 산화수 = +1 (넘버 2) 이므로,(O) + (H) = –1(O) + (+1) = –1 따라서O의 산화수 = –2. [키워드] OH^-의 산화수 기준 2024. 10. 2. 부피 환산. 1 ft3 = 28317 cm3 부피 환산. 1 ft3 = 28317 cm3 ▶ 환산 인자> 1 ft = 0.3048 m> 1 m = 100 cm( 참고 https://ywpop.tistory.com/20863 ) (1 ft) (0.3048 m / 1 ft) (100 cm / 1 m)= (1) (0.3048) (100)= 30.48 cm---> 1 ft = 30.48 cm (1 ft)^3 = (30.48 cm)^3 1 ft3 = 30.48^3 cm3 = 28316.846592 cm3---> 1 ft3 = 28317 cm3( 참고 https://ywpop.tistory.com/17461 ) [키워드] 부피 환산 기준, 1 ft3 = 28317 cm3 기준, f.. 2024. 10. 1. 밀도 환산. 1.41 g/cm3 to lbm/ft3 밀도 환산. 1.41 g/cm3 to lbm/ft3 ▶ 환산 인자> 1 lbm = 453.59237 g( 참고 https://ywpop.tistory.com/22440 ) > 1 ft3 = 28317 cm3( 참고 https://ywpop.tistory.com/470652 ) (1.41 g/cm3) (1 lbm / 453.59237 g) (28317 cm3 / 1 ft3)= (1.41) (1 / 453.59237) (28317)= 88.0239 lbm/ft3 답: 88.0 lbm/ft3 [키워드] 밀도 환산 기준 2024. 10. 1. ΔH 계산. CH4(g)의 연소열. 헤스의 법칙 ΔH 계산. CH4(g)의 연소열. 헤스의 법칙ΔH 계산. CH4(g) + 2O2(g) → CO2(g) + 2H2O(l) 천연가스의 주성분인 메테인은 산소 중에서 연소하여이산화탄소와 물을 생성한다.CH4(g) + 2O2(g) → CO2(g) + 2H2O(l)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메테인 연소의 ΔH°(kJ)를 계산하시오.(1) CH4(g) + O2(g) → CH2O(g) + H2O(g) ... ΔH° = –275.6 kJ(2) CH2O(g) + O2(g) → CO2(g) + H2O(g) ... ΔH° = –526.7 kJ(3) H2O(l) → H2O(g) ... ΔH° = 44.0 kJ [참고] 헤스의 법칙[ https://ywpop.tistory.com/3376 ] ※ 헤스.. 2024. 10. 1. [유기화합물 명명법] 3,3-dimethylpent-1-ene [유기화합물 명명법] 3,3-dimethylpent-1-ene [참고] 비고리형(사슬형) 탄화수소 명명법[ https://ywpop.tistory.com/13519 ] ▶ 3,3-dimethyl-1-pentene [ 관련 글 https://webbook.nist.gov/cgi/cbook.cgi?ID=C3404737 ]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1908 ]2,3-dimethylpent-1-ene; 2,3-dimethyl-1-pentene [키워드] 1-pentene 기준 2024. 10. 1. 온도 환산. 39℃를 화씨로 온도 환산. 39℃를 화씨로 ℉ = (℃ × 1.8) + 32( 참고 https://ywpop.tistory.com/6662 ) = (39 × 1.8) + 32= 102.2℉ 답: 약 102℉ [키워드] 온도 환산 기준 2024. 10. 1. C2H3Cl isomer. C2H3Cl 이성질체 C2H3Cl isomer. C2H3Cl 이성질체 How many isomeric forms can chloroethylene, C2H3Cl, have? C2H3Cl의 이성질체는 존재하지 않는다.오직 1개의 구조식만 가능하다. [PIN] Chloroethene> Vinyl chloride> Chloroethylene [참고] There is no possibility of cis-trans isomerism. Therefore, chloroethylene has only one stable structure, without geometric isomerism. So the correct answer is one stable isomeric form.. 2024. 10. 1. 이전 1 ··· 62 63 64 65 66 67 68 ··· 247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