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보기24691 대구 동구 둔산동 경주최씨 종가 및 보본당 사당 1982년 3월 4일 대구광역시 민속자료 제1호로 지정된 이 건물은 조선인조때 학자 대암 최동집(催東集)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지은 집이다. 살림채는 1694년(숙종20)에 지은“ㄷ”자형의 안채와 1905년(고종42)에 지은 “ㅡ”자형 사랑채로 이루어져 있는데, 지붕은 모두 책을 펴서 엎어놓은 것 같은 형태, 즉 八자형 지붕인 박공지붕(뱃지붕 또는 맞배지붕이라고도 함)으로 되어 있다. 사랑채의 동쪽 토담 안에 있는 보본당(報本堂)은 1742년(영조18)에 지은 것으로 재실로 사용되며 그 뒤편에는 가묘와 별묘의 사당(祠堂) 2동이 각각 일곽의 흙담장 안에 배치되어 있다. 가묘와 별묘, 보본당으로 이어지는 조상과 관련된 공간은 양의 상징적인 의미인 동쪽에 배치하고, 이에 비해 생활공간인 안채와 사랑채는 음의 .. 2009. 6. 21. 대구 동구 둔산동 옻골마을 * 소재지 : 대구 동구 둔산동 386* 다음 지도 보기금호강의 아양교를 넘어 하양으로 향하는 국도를 따라 2km정도 거리에 있는 방촌시장에서 북측으로 대구국제공항의 동편 외곽도로를 따라 1km정도 가면 둔산동이 있다. 경주최씨종가는 이 도로를 직진하여 제일 끝 마을인 옻골에 위치한다. 옻골은 경주최씨 광정공파(匡靖公派)의 후손들이 모여 사는 동성촌락(同姓村落)으로 현재 20여 호의 고가들이 어우러져 있다.[출처 : 관광지식정보시스템] 2009. 6. 21. 대구 동구 동화사 입구 마애불좌상 * 보물 제243호.부조(浮彫)로 조각된 이 마애불좌상은 동화사 남쪽 입구에 있는 높직한 절벽의 천연바위에 새겨져 있으며 하늘에서 막 내려오는 듯 나는 구름을 탄 개성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머리는 소라껍데기 모양의 나발(螺髮)이며 육계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호는 원만하고 이마에는 백호가 있던 자리가 있다. 법의는 통견으로 좁은 간격으로 평행하게 주름을 표현한 점이 통일신라 말기의 형식으로 보인다. 가슴과 배에는 내의와 띠매듭이 표현되어 있다. 수인(手印)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이고 자세는 완전한 결가부좌(結跏趺坐)라기 보다는 오른쪽 다리를 대좌 위에 비스듬히 올려놓은 특이한 모습으로 소위 유희좌의 형태이다. 대좌는 상·중·하대로 구성되었는데 하대는 구름무늬에 가려져 중대와 상대만 보인다. 이 구름무늬.. 2009. 6. 20. 대구 동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 보물 제247호.* 다음 지도 보기이 탑은 신라 민애왕(閔哀王, 838∼839)이 왕위다툼 과정에서 억울하게 죽게 되자 그의 명복을 빌기 위해 그와 4촌간인 심지대사가 863년(경문왕 3)에 조성한 것으로 민애대왕석탑이라고도 부른다.전체 높이는 371cm이고 기단은 이중기단인데 하층기단은 지대석과 중석을 같은 돌로 만들어 각면에 중간기둥 한 개를 표현하였다. 갑석은 4개의 돌을 짜 맞춘 것으로 윗면에 괴임을 만들고 아랫면은 잘록하게 안으로 파고 있다. 상층기단은 중석의 각 면을 1개의 돌로 하고 그 면에 중간기둥 1개를 묘사하였다. 갑석은 2개의 판석으로 구성하였다. 탑신부의 옥개석과 옥신석도 각각의 돌로 만들었다. 옥개석 받침은 각층 모두 4단이다. 상륜부에는 노반(露盤), 복발(覆鉢), 보주(寶珠.. 2009. 6. 20. 대구 동구 동화사 당간지주 * 보물 제254호.*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산 124* 다음 지도 보기마애불상을 지나서 동화사 통일대불의 동측 입구 앞에 있는 금당암 아래 아름드리나무들 사이에 어우러져 우뚝 선 돌기둥 둘을 볼 수 있다. 이것이 동화사 당간지주(幢竿支柱)이다.당간지주는 당간을 지탱하기 위하여 당간의 좌우에 세운 돌기둥을 말한다. 당간은 당을 달아두는 장대로 보통 철재로 만든다. 당은 본래 사찰의 입구에 꽂는 기당의 일종으로 사찰에서 기도와 법회 등의 의식이 있을 때 당간 꼭대기에 달도록 되어 있다. 동화사의 당간지주는 당간은 없어진 채 지주만이 66cm의 간격을 두고 동서로 짝을 이루고 있다. 양 지주의 안쪽에는 조각이 없고 바깥쪽은 양쪽 각을 없애고 중심에 세로로 1m 길이의 능선을 조각했다. 지주의 안.. 2009. 6. 20. 대구 달성군 효부 성주이씨 비각 * 소재지 : 대구 달성군 다사읍 이천리 668-1* 다음 지도 보기* 다음 지도에 표시된 장소에서 도로 건너편 7시 방향에 비각이 있습니다.다사면 매곡리에 소재, 효성이 지극한 성주 이씨의 유덕을 기리기 위해 1958년 지방유지들이 뜻을 모아 건립한 비각이다.효부 성주이씨는 평소 남편인 김영근에게 이르기를 "자식으로 부모를 공양할 책임이 장남, 차남 구별이 있겠습니까? 부모를 모시고 와서 당신은 물고기를 잡고 나무를 하고 저는 베를 짜고 방아 품드는 것을 직분으로 삼으면 부모를 봉양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하며 반신불구의 시어머니를 45년간이나 성의를 다하여 섬겼다.이후 이씨의 효행은 향토인들의 귀감이 되어 전해지고 있다.[출처 : 달성군] * 비각 위치에서 도로변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입니다. 2009. 6. 19. 대구 달성군 효부 경주김씨 비각 * 소재지 : 대구 달성군 가창면 행정리 321-1* 다음 지도 보기가창면 행정리에 소재하는 비각으로서 김씨는 90노령의 시아버지가 병들자 정성껏 봉양하고 기도하여 지성을 들였으나 낫지 않으므로 병을 구완하기 위하여 눈쌓인 산속을 헤맨 끝에 죽순을 구해 드리고, 얼음속의 잉어를 잡아다 드리니 시아버지가 완쾌되었다.이에 후세 사람들이 김씨를 "효부로 백가지 군자의 행실을 하였다"고 칭송하며 비각을 세웠다.[출처 : 달성군] * 주변 문화재 : 송병규 효자비-바로 길 맞은편에 있습니다. 2009. 6. 19. 대구 달성군 현풍향교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7호.* 소재지 : 대구달성군 현풍면 상리 326-1* 다음 지도 보기 * 현풍향교 입구. 향교 바로 앞에 주차장이 있습니다.* 명륜당. * 대성전.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현풍향교를 처음 지은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옛 교동에 다시 지었고 영조(재위 1724∼1776) 때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지었다. 대성전은 영조 26년(1750)경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현재 남아 있는 건물로는 대성전, 동무, 서무, 명륜당, 동재, 서재 등이다.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지내는 곳이다.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 2009. 6. 19. 대구 달성군 현풍곽씨 십이정려각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9호.* 소재지 : 대구 달성군 현풍면 지리 1348-2* 다음 지도 보기현풍 곽씨 집안의 유교 도덕에 기본이 되는 삼강(三綱)을 지킨 28인의 정려비로, 선조 31년(1598)부터 영조 때(재위 1567∼1608)까지 포상된 12명을 한 곳에 모시고 있다.조선시대에는 임금과 신하, 아버지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인 삼강을 잘 지키면 이를 국가에서 포상하며 기리도록 하였다. 한 마을의 한 성씨(곽씨)에서 12명의 포상자가 나왔다는 것은 흔치 않은 일로서, 정려를 받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임진왜란 때 안음현감 곽준이 황석산성에서 두 아들과 같이 전사하게 되자 며느리와 출가한 딸이 남편을 따라 자결하였기에 선조가 정려했다.곽재훈의 아들 4형.. 2009. 6. 19. 대구 동구 동화사 금당암 삼층석탑 * 보물 제248호.* 다음 지도 보기동화사 금당암의 극락전 앞에 동·서로 서 있는 2기의 석탑으로, 두 탑 모두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먼저 동쪽의 탑은 2단의 기단 대부분이 나중에 보수된 것이라서 돌을 다룬 수법과 끝맺음 처리 부분에서 조화를 잃어버리고 있다. 위층 기단의 각 면에는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겼다.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따로 새겨 쌓아 올렸으며, 각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을 뿐 다른 장식은 없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4단씩 새겨져 있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 앙화(仰花:솟은 연꽃모양의 장식),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가 차례로 올려져 .. 2009. 6. 18. 이전 1 ··· 2444 2445 2446 2447 2448 2449 2450 ··· 247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