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24636

대구 수성구 고산서당(3) 2009. 6. 24.
대구 수성구 고산서당(2) * 서당 뒤편의 옛 사당터. 이황과 정경세의 강학유허비(講學遺墟碑)가 세워져 있습니다. * 이황 나무(왼쪽)와 정경세 나무(오른쪽). * 이황 나무. * 정경세 나무. 2009. 6. 24.
대구 수성구 고산서당(1)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5호.* 소재지 : 대구 수성구 성동 산22* 다음 지도 보기퇴계 이황(1501∼1570)과 우복 정경세(1563∼1633) 선생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당이다. 처음 지은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이곳에서 이황 선생과 정경세 선생이 강의하였던 곳이라하여 1500년대로 추정하고 있다. 숙종 16년(1690)에는 서당 뒤편에 사당을 지어 서원이라 하였다. 고종 5년(1868)에는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철거되었다가, 고종 16년(1879)에 서원 옛터에 강당만을 다시 지어 고산서당이라 하였다. 그 뒤 1964년 수리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규모는 앞면 4칸·옆면 2칸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현재 사당 자리에는 이황·정경세 선생.. 2009. 6. 24.
대구 동구 최흥원 정려각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0호.* 소재지 : 대구 동구 둔산동 375* 다음 지도 보기이 건물은 1789년(정조 13년) 최흥원 선생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각으로 옺골(둔산동)의 마을 안길 우측에 동계를 끼고 서향으로 좌정하고 있다. 서쪽 정면 중앙의 사주문과 마주하여 단칸 규모의 비각을 두고, 주위에 한식 토석담장을 방형으로 둘러 일곽을 형성하였다.비각은 단칸 규모의 겹처마 맞배집으로 얕은 기단 위에 화강석 다듬돌 초석을 놓고 원주를 세워 벽면을 구성하였는데 벽면의 상부에는 모두 홍살을 설치하였다. 원주 위에는 이익공을 올리고, 창방과 도리 사이는 원형화반을 놓아 장식하였다. 포작은 연봉을 올린 앙서형의 초익공과 수서형의 2제공으로 꾸몄으며, 제공 위의 보머리는 봉두 끼워 장식하였다. 상부.. 2009. 6. 23.
국가지정 중요민속자료 - 가옥 1245721876_중요민속자료(가옥).xls[출처 : 문화재청] 2009. 6. 23.
대구 동구 수릉향탄금계표석(수능향탄금계표석)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1호. *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 39 * 다음 지도 보기 동화사 집단시설 지구내 팔공산 자연공원 관리사무소 앞 넓은 마당 한가운데 조성된 화단 위에 놓인 이 표석은 현 위치에서 100m 가량 아래쪽에 있었던 것을 주변을 조경함에 따라 이곳으로 이전하였다. 비에 새겨진 '수릉향탄금계'의 명문 중 수릉은 조선왕조 헌종의 부왕인 익종의 능을 말하고, 향탄은 왕릉에 사용하는 목탄을, 금계는 출입금지경계를 표시한 것이다. 즉 이 표석은 수릉에 사용되는 목탄의 생산을 위해 국가에서 출입을 금하게 한 표석이다. 경계석은 이곳과 수태골에 걸쳐 2기가 있다. 이것을 근거로 보아 최소한 지금의 부인사와 이곳 집단시설지구 사이의 산림은 보호림임을 말해준다. 표석의 아래에 있는 광서6.. 2009. 6. 22.
대구 동구 성재서당 *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호 (1984. 7. 25 지정)*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미대동 169* 다음 지도 보기파군재에서 동화사로 가는 길을 따라 약 2km정도 거리에 있는 미대 마을에서 북쪽의 삼마산(三麻山)을 향해 1.5km 가량 올라가면 사방이 울창한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인 산속에 남서향으로 서당과 부속건물이 배치되어 있다. 동쪽으로 난 계곡은 사철 맑은 물이 흐르고 있어 주위 소나무 숲과 더불어 자연과의 조화를 한층 잘 이루고 있다.조선 인조 때의 선비인 채명보(1574-1644) 선생이 정자를 짓고 만년에 학문을 강론하던 곳으로 그 뒤 후손들이 선생의 높은 덕행을 기리고자 새로 수축하고, 그 이름을 성재서당으로 개칭하였다. 이 서당은 원래 조선 인조 때의 선비인 양전헌(兩傳軒) 채명보.. 2009. 6. 22.
대구 동구 불로동 고분군 * 사적 제262호 (1978. 6. 23 지정)*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335* 다음 지도 보기총 211기의 대소고분들이 밀집되어 있는 이곳은 1938년과 1963년 두 차례에 걸쳐 몇 기만 표본 발굴 조사한 결과 내부구조는 냇돌 또는 깬돌로 사방 벽을 쌓고 큼직한 판석으로 뚜껑을 덮은 장방형의 수혈식 석곽으로 금동제의 장신구와 철제무기, 토기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된 바 있다. 이들 출토유물로 보아서는 대구지역의 타 고분들 특히 비산동, 내당동 등의 고분군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고분의 입지가 구릉이라는 점과 내부가 할석으로 축조되었고, 석곽이 좁고 긴 점 등이 이들과 유사하여 같은 계통임을 짐작케 한다. 전체 고분군의 축조 시기는 대략 5∼6세기에 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불로동 고분군은.. 2009. 6. 22.
달성군 삼가헌 - 하엽정 * 하엽정 최근 모습입니다.* 안채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현재 안채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태그에서 하엽정을 검색해 보시면, 이전 사진을 볼 수 있습니다. 2009. 6. 22.
달성군 삼가헌 - 안채 * 최근 전기누전으로 인해화재가 발생한 안채 모습입니다.* 완전 철거 후 새로이 건축될 예정입니다. 2009. 6. 22.
반응형